# Hiit

[개발] 도메인 계층을 안전하게!
관련 코드 바로가기최근에 오브젝트라는 책을 읽고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숫자야구, 자동차경주)를 하며 객체지향적에 관해서 더 깊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그러다 보니 프로젝트 아키텍처 및 유즈케이스 계층 설계에 관한 글을 작성하지도 벌써 3달이 다 되어 가는 시점이지만

[개발] 스프링 배치 설정
관련 코드 바로가기개발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내가 배치를 할 수 있었으면 기능이 더 풍성하였을 텐데.."하는 생각을 많이 하였던 것 같습니다.드디어 배치에 관해 공부하고 프로젝트에 맞도록 배치 관련 설정을 해보았는데 함께 살펴봅시다.@EnableBatch

[개발] 시큐리티 설정을 하며
관련 코드 바로가기이번 프로젝트에서 시큐리티 관련 설정의 경우 이전에 함께하게 된 프로젝트에서 다른 분이 작성하신 설정을 레퍼런스로 하여 일부분을 Hiit 프로젝트에 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습니다.그렇기에 "이번에는 이런 이유로 이렇게 설정했었구나?!"하는 느낌으로 가

[개발] Repository 계층을 설계하며 고민한 것들
관련 코드 바로가기"그냥 JPA가 해주는 거 잘 사용하면 되는 거 아니야?!"라고 할 수 있지만..ㅎㅎㅎ이번 프로젝트에서 Repository 계층을 설계하며 고민한 것들을 나누어 보려 합니다.사실 저는 BaseEntity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자바에

[개발] 프로젝트 아키텍처 및 유즈케이스 계층 설계
관련 코드 바로가기프로젝트를 몇 번 진행하다 보니 비즈니스 로직에 관한 고민과 함께 가장 많이 한 고민이 프로젝트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었습니다.그렇기에 이번에는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가기 전에 아키텍처에 대한 고민을 먼저 하였습니다.우선 가장 먼저 한 고민은 "어떤 모듈

[개발] JPA 설정
관련 코드 바로가기스프링으로 백엔드 개발을 한다면 JPA는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이번 글에서는 Hiit 프로젝트에 JPA 관련 설정을 어떻게 하였는지 살펴봅시다.JPA 관련 설정 역시 스프링의 AutoConfiguration을 사용하지 않고 설정을 구현하

[개발] Flyway 설정
관련 코드 바로가기flyway는 데이터베이스의 형상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툴입니다.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코드로 옮기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아직 형상 관리에 대한 필요성은 느낀 경험은 없지만 스키마를 코드로 옮기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큰 매력으로 다가왔습니다.

[개발] 로컬 개발 환경 구축
관련 코드 바로가기최근 현직자들이 포함된 팀에서 애플 로그인 기능을 담당하여 개발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해당 작업 PR)그렇기에 지금 작성하는 코드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해당 개발을 하며 현직자분들과 이야기를 하며 느낀 것은 생각보다 개발에

[기획] IA와 인덱스
프로젝트 기획을 하면서 개발자가 고민해야 하는 것은 핵심 기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고민할 것은 아래와 같다고 생각합니다.사용자에게 어떤 정보가 담기 화면을 보여줄 것인가?사용자에게 어떤 정보를 요구할 것인가?즉, 화면마다 어떤 Get, Post API가 필요한지

[기획] Hiit은?
Hiit의 핵심 기능은 다른 사람들에게 독촉받고 싶은 무언가를 작성하고 그것을 공유하여 사람들에게 독촉받는 기능입니다.연초에 "책을 읽겠다"라는 다짐을 한 번쯤 해보았겠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생활이 바쁘고 여유가 없어지다 보면 그러한 다짐을 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게 될

Hiit 시리즈 모아보기
Velog의 시리즈 기능보다 더 구분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모아보기 글을 작성합니다.서버 깃허브 바로가기주제별로 링크를 모아둘 예정이고 글 간의 관련성에 관해서도 남겨둘 예정입니다.감사합니다.

Hiit 시리즈의 방향성
안녕하세요!! Hiit 시리즈를 기록할 김종준이라 합니다.지금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새로운 무언가를 배우는 경우가 많아 프로젝트를 크게 바라보지 못하고 제가 개발해야 할 부분만 보아왔던 것 같습니다.이번 Hiit 프로젝트의 경우 지난 2년간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