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A

6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기획] IA와 인덱스

IA와 인덱스 프로젝트 기획을 하면서 개발자가 고민해야 하는 것은 핵심 기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고민할 것은 아래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에게 어떤 정보가 담기 화면을 보여줄 것인가? 사용자에게 어떤 정보를 요구할 것인가? 즉, 화면마다 어떤 Get, Post API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백엔드 개발자에게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API라도 화면의 정보에 따라 요청, 응답에 필요한 정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요청에 대한 응답의 일부가 이미 화면에 있는 상황이라면 응답에는 해당 정보들을 제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화면을 잘 파악하여야 API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기에 백엔드 개발자에게도 화면 파악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이번 글에서는 개발자가 화면의 정보를 잘 파악하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에 도입하였던 방

2023년 8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프론트 개발자의 PM 경험기 (1) - IA , Flow Chart 작성법

안녕하세요, 주인장입니다. 돌아오는 학기에 저는 4학년이 되고, 졸업을 위해 방학부터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제 학부생활에서 마지막 프로젝트가 될 것 같습니다 ㅎㅎ... 이번 프로젝트 멤버는 프론트 2, 백엔드 2, AI 1로 이루어진 5명입니다! 개발자만 있습니다 ㅋㅋ 프론트가 PM(문서 관련)와 디자인까지 모두 해내야하기 때문에 저는 프로젝트 개발을 들어가기 직전 IA, Workflow, 화면설계서, 기능명세서 등등을 작성하기 위해 하나하나 이해하면서 제 프로젝트에 관한 모든 문서를 작성해나아고자 합니다. 이번 시리즈를 요약하자면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PM으로 살아남기가 되겠네요 ㅋㅋ 첫 포스트의 내용은 프로젝트 전체를 한눈에 파악하는 IA 작성하는 방법, Flow chart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본 시리즈 작성 계기 일단 Workflow, 기능명세서 작성해야한다는 거 알고 피그마를 열고 작성을 시작했는데 개발자라 그런지 페

2023년 7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apstone] User Flow, IA, 요구사항 명세서 📝

수정 중 Android Part는 해당 포스팅에서 제외 협업을 진행하면서 소통이 명확하지 않다는 팀원 조언을 듣고, 요구사항을 이미지와 텍스트로 정리해 봤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제가 맡은 부분만 다룹니다. 홍정완(daydream) 역할 : Web(FE, BE), AWS 인프라 구축(EC2, RDS, Route 53, ELB, S3, CodeDeploy) 팀원 A 역할 : 차량 번호 인식 모델 구축, App Part 팀원 B 역할 : DB, App Part 프로젝트 주제 : 영상처리 및 문자인식 OCR을 통한 주차 관리 서비스 문제 : 현재 대학 주차 관리 서비스는 필요한 서류 제출과 결제를 위해 독립적인 기관에 고객이 대면 방문을 해야 되는 불편함을 지니고 있다. 개발 목적 : 주차 서비스의 문제점을 통합 솔루션을 제공해 해결하고

2022년 5월 7일
·
0개의 댓글
·

IA (Information Architecture)

IA 란 UX 의 중요한 기법중의 하나로써,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를 체계화하고 이용자가 가장 빠르고 정확히 원하는 콘텐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기술 프로그램의 구조를 명확히 파악하기에도 좋으며, 의사결정과정에서 구조적으로 구분된 자료를 통해 빠른 의사결정을 하기에도 용이하다. > #### IA 의 구성요소 정보구조 (Organization System) 의 정의 네이게이션 (Navigation System) 레이블링 (Labeling System) 검색 (Search System) 컨텐츠 디자인(Contents Design) IA 의 구성요소 (5단계) 정보구조 (Organization System) 의 정의 시각차이, 언어의 모호성, 언어의 이질성, 내부정책 등에 따라 정보를 분류해낼 수 있다. 주제별로 분류해 낼 수도 있으며, 이용자별, 작업지향형, 기능별, 상징별, 은유형 등으로 데이터 및 정보를

2022년 1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IA(정보구조도, Information Architecture) 쉽게 알아보기

Summary : > 정보구조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보구조도가 뭐야? 정보구조(IA, Information Architecture)는 정보를 다양한 목적, 즉 이용자의 직업, 기능, 정책 등에 따라 이해하기 쉽게 분류하는 서비스 구축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입니다. 정보구조는 1.인포메이션 체계 내의 네비게이션 체계, 레이블링, 조직화이며, 2.컨텐츠에 직관적으로 접근하고, 업무 처리가 용이하게 정보 공간을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잘 짜여진 IA는 우리 서비스의 전체 그림과 흐름을 파악하기 쉽게 보여줍니다. 서비스의 기능들이 어떻게 묶여져 있는지, 화면의 상하구조 파악과 골격 정리에 도움을 줍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내가 찾고자 하는 기능을 가장 빠르게 발견해야하므로, IA를 잘 짜는 것은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보구조도의 종류 1.

2021년 9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IA 정보구조 잘 설계하기

정보구조 (Information Architecture) 을 정의하면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자가 가장 빠르고 정확히 원하는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기술이라고 합니다. IA 정의는 기획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한번쯤 필수적으로 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많은 글들을 보면 IA 개념적인 설계 방식만 많이 알려주기 때문에 어떤 방식이 잘 설계 하는건지에 대한 의문점이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구조 정의부터 시작하여 방법과 여러 정보구조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IA 정보구조 구성 네비게이션 레이블링 검색 컨텐츠 디자인 목적 프로덕트의 전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함 짜임새 있는 프로덕트 구축하기 위함 IA와 유저플로우 IA는 어드민을 포함해서 고객이 이용하는 화면까지 전체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판을 만들고 정리하는데에 적합하고, 유저 플로우는 유저들이 행동하고 보게 될 다양하고 최대

2021년 7월 3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