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v4
[CS스터디] 네트워크 계층,제어
OSI 7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며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놓은것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7단계로 크게 구분하여 한눈에 들어올수있도록 단계별로 파악 1계층: 물리계층 (Physical Layer) 2계층: 데이터링크
ip주소란?
movie IP : Internet Protocol의 약자.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한 곳의 네트워크상 위치 IP형식 IPv4 0~255까지 숫자 4개가 이어지는 형태(255.255.255.255) 256의 4승. 대략 46억개의 IP가 만들어질 수 있지만 현재 지구의 인구밀도를 생각하면 턱없이 부족함. 공인IP와 사설IP로 나뉨. 두가지 모두 고정IP와...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3) Network layer
네트워크의 근본적인 역할은 매우 단순.네트워크 레이어 장비인 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기능송신 호스트 → 수신 호스트로 패킷을 전달이를 위한 네트워크 계층의 중요한 2가지 기능하지만, 사실 이 두 가지 단어는 혼용되기도 함.포워딩(데이터평면, HW)패킷이 라우터의 입력 링

IP 종류와 차이점
IP(Internet Protocol) 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입니다.IPv4는 32비트로 이루어져있고 약 43억개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아직까지도 가장 많

3계층 2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일 IPv4 프로토콜의 구조 ICMP ICMP가 하는일 ICMP 프로토콜의 구조 라우팅 테이블 내가보낸 파일은 어디로 가는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과정 다른 네트워크까지 내 패킷의 이동 과정 IPv4의 조각와 조각화란? 조각화하
IPv4 주소체계
\-IP주소 = Host에 대한 식별자대한민국의 행정체계에서의 나대한민국 = Network, 나 = HostInternet ProtocolIPv4 : 32bit, 2^32 =~ 43억, 많이씀IPv6 : 128bit, 2^128, 잘안씀Net ID(24bit) + Ho
IP란?
사전지식 인터넷의 원리 들어가기에 앞서 위와 같은 사진을 본 적 있는가? 나는 대학생 시절 기숙사에 거주했는데, 노트북에 저걸 수동으로 등록해줘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다. 기숙사 방을 바꿀 때마다 저 정보를 새롭게 등록해줘야 했는데 숨이 턱턱 막혔다. 개발을

서브넷팅과 VLSM
IPv4 > IPv4는 32bit의 크기를 가지며, 4개의 옥텟(Octet)으로 구분되어 10진수로 나타내어진다. 주로 네트워크 장치에 할당하는 IP주소를 의미하며, 이 주소는 사설 IP 대역과 공인 IP 주소 대역으로 나뉘어진다. 네트워크 장치가 외부로 통신하기 위해
URL & URI / IP & PORT / 도메인과 DNS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한 URL은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CLI 환경에서 폴더와 파일의 위치를 찾아 이동하듯이, 슬래시(/)를 이용해 서버의 폴더에 진입하거나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URL은 scheme, hosts, url-path로
IP에 관하여
인터넷에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었으나, 오늘날에는 IPv6이 대중화되었다.IPv4는 3자리수 4개, 총 12 자리를 갖는다.각 부분은 0~255까지로 표현된다. 따라서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주소공간의 고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NetWork] IP(Internet Protocal) - 2
IP 주소의 class & network address & host addresss

[AWS] IP네트워크와 서브넷
IP 주소는 흔히 사용되는 IPv4와 IPv6 두 종류가 있다. 주로 사용되는 IPv4의 경우 32bit로 되어 있기 때문에 IP 주소를 약 43억 개를 만들 수 있는데,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IP 주소가 부족해지자 새로운 주소가 필요해 IPv6가 탄생했다. IPv
IPv4의 조각화
조각화란? *MTU:데이터의 최대 전송 단위, 네트워크 장비들마다 설정이 되어있음. 일반적인 값은 대부분 1,500byte 큰 IP 패킷들이 적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갖는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려면 여러개의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조각

#4 IPv4의 조각화
큰 IP 패킷들이 적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갖는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려면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조각화 되어 전송돼야 한다.즉,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 통과하는 각 라우터마다 전송에 적합한 프레임으로 변환이 필요

🌱 IP? IPv4? IPv6?
IP(Internet Protocol)이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IP주소는 IPv4,IPv6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IP 주소라 하면 IPv4 주소를

IP의 주소체계
네트워크 장치들은 각각의 주소를 가지고 있다. 택배를 생각해보자. 주소를 기반으로 택배를 주고 받는 것 처럼, 네트워크 장치들도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 때, 주소는 IPv4, IPv6가 있다.
[네트워크] IPv4
Address is 32 bits longaddresses are unique and universaladdress space is 2 ^ 32 or 4,294,967,29632 2진수 ip 주소를 8비트씩 4그룹으로 나눠 10진수로 표현 함255 이상일 수 없음10진

네트워킹의 기본
컴퓨터 사이에 통신을 하려면 컴퓨터의 위치값을 알앙야 한다.각 컴퓨터의 위치값(주소)를 IP주소라고 지칭한다(IPV4)각각의 자리수는 8비트로 구분된다172.16.254.1 = 10101100.00010000.11111110.00000001표현가능한 총 개수(8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