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nit5

태깅과 필터링
@Tag tag를 사용하여 각 테스트를 구분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intellij에서는 다음 코드를 테스트별로 실행하기 위해서 환경변수를 잡아주면 된다.

Junit4 vs Junit5
Junit을 활용하여 단위테스트를 작성하는 책을 보고 공부하는 중인데, 책에서 Junit4 사용하여 예시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길래 이참에 4와 5의 차이에 대한 정리를 하면 좋겠다싶어 , 작성하게 되었다. JUnit? 단위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팅 프레임워크 정확히

테스트를 조건에 따라 실행하기
테스트를 진행하면 로컬 환경, 테스트 환경, 실서버 환경을 고려해서 테스트 코드를 짜야한다. 로컬에서는 잘 돌아가고 테스트를 해야하는 코드인데 만약 실서버에서 실행이 되지 않을 코드를 작성한다면 실제 배포시에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에러가 나서 배포가 안될수도 있기 때문

Assertions
Assertion이란 JUnit5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테스트 api이다. assertEqual(), assertNotNull(), assertTrue(), assertAll(), assertThrows(), assertTimeout() 등 여러 메서드들을 제공하며 테

JUnit5
JUnit5란 Spring에서 제공해주는 Test Framework이다. Java 개발자의 대부분이 JUnit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진행하고 있으며 JUnit5의 경우 현재 Spring Boot 2.xx 대의 기본 테스트 프레임워크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Java8
JUnit5 출력 테스트 시 AssertionFailedError
테스트 대상 테스트 코드 이렇게 하니 값은 똑같이 나오는데 계속 값이 같지 않다고 뜬다.. 이게 뭔고...하니 줄바꿈시 window는 CRLF를 사용하는데 compareResult에는 LF밖에 선언을 안해주어서 그런듯하다.. 로 문자열 인덱스별 바이트를 확인해보
[ Junit5 ] 단위 테스트 @WebMvcTest / @ExtendWith
이 책을 참조해 최신 개발 환경(2022년도 기준) 에서 진행하였습니다. Spring Boot 2.6.5 gradle 7.1.1 Java 11 2장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이번 장에서는 HelloController 를 만들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연습을 했다. jUn
Todolist 통합 TestCode 만들기
https://velog.io/@mooh2jj/Todolist-TestCode-만들기이 블로그에서 JUnit5를 이용한 단위테스트를 살펴보았습니다.이번에는 실제 상용할 DB에 연결해서 Test 작업을 하는 것은 통합 테스트 을 똑같이 Todolist 작업을 예

Spring Boot junit 5 어노테이션 정리
테스트가 실행될때 가장 처음 실행 (@BeforeEach보다 먼저 실행 됨) 각 테스트 메소드가 실행될때 실행됨 모든 테스트가 끝나고 실행 (@AfterEach보다 늦게 실행 됨) 각 테스트 메소드가 끝나고 실행됨 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소드는 실행에 빠짐 클래스
[TDD시작하기/Chap05]
목표: JUnit5 를 배워보자JUnit5는 크게 세 개의 요소로 나누어져있다JUnit 플랫폼JUnit 주피터(Jupiter)JUnit 빈티지(Vintage)현재 build.gradle 의 dependencies 내에 등록되어있는 jupiter는 JUnit을 실행시키기

[번역] JUnit5 공식문서 - Writing Tests
Ref. JUnit5 User Guide v.5.8.2📌 이 글에서는 공식문서의 Writing Tests 부분만 다룹니다.

[번역] JUnit5 공식문서 - Overview
Ref. JUnit5 User Guide v.5.8.2 📌 이 글에서는 공식문서의 Overview 부분만 다룹니다.

Junit Test 관련 어노테이션 사용법
지금까지 단순히 레이어를 테스트하는데에 있어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만을 사용해 테스트를 진행했었습니다.그러다보니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테스트 속도가 현저히 떨어져 개발 생산성이 점점 저하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junit5 테스트 코드 이쁘게 작성하기
학습 동기 > 테스트를 실행했는데 이해가 잘 되질 않네요.. TDD 방법을 적용해보기 위해 익숙하지 않은 단위 테스트를 구현하고 실제 코드를 구현했다. 초록색 체크만 확인하고 넘어갔는데 위 사진과 같은 괴상한 내용들이 적힌 테스트 실행 결과를 확인했다. 리뷰를 해주시는 코니는 일정한 패턴을 찾으라고 하셨고 찾다보니 BDD 라는 패턴을 찾을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