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Beans

자바시리즈 4 - ejb의 등장 1 (Feat. Java Beans)
Servlet, JSP의 등장 이후 시스템 규모가 점점 커져갔다. 대량의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서버를 나누고, 여러 대의 서버와 DB가 데이터를 주고 받다보니 시스템 구조의 복잡성이 증가했다. 한 가지 요청을 위해 여러 서버나 DB가 개입해야 한다든지, 여러 db 요청이 오가야 한다든지, 요청 중 다른 요청을 동시에 처리해야 한다든지 등의 복잡한 기술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여러 시스템이 운용되다보니, 데이터가 오가는 데에 있어 보안이 취약해지는 부분이 생기기도 했다. 하지만 기업 내 한정된 개발자 풀 내에서 비즈니스 로직 뿐만 아니라 위의 문제와 요구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기술이 바로 이번 포스팅에 소개할 EJB이다. EJB EJB의 사상은 위에 제기된 여러 문제, 즉 로우 레벨의 기술에 대한 문제를 신경쓸 필요 없이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EJB는 독립적으로 개발한 컴포넌트를 배포하고, 서로 연동해

자바빈즈(Java Beans)
자바빈즈(Java Beans)란? 자바 언어에서 사용하는 복합적 데이터 표현의 최소 단위로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음 → 클래스의 사용과 재사용 그리고 클래스의 재배치를 가능하게 함 규칙 자바빈즈는 반드시 패키지가 있어야한다. 멤버변수 접근자를 private로 설정해야 한다. 기본 생성자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접근자를 public으로 하여 를 작성한다. 🖥️ 예시 > 기본적인 구성 셋 생성자 getter setter
JavaBeans
JavaBeans 표준 EJB(Enterprise Java Beans) 와 혼동해선 안된다. 자바빈즈 관례 클래스는 직렬화 되어야 한다. (클래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저장 혹은 복원시키기 위해) implements java.io.Serializable 클래스는 기본 생성자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public TestClass() {} 모든 property들은 private 해야한다. 클래스의 property 들은 get, set 또는 표준 명명법을 따르는 메소드를 사용해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클래스는 필요한 이벤트 처리 메서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boolean 형의 getter 는 is로 시작한다. Bean의 현재 상태를 비휘발성의 저장소에 저장하고 나중에 꺼낼 수 있어야 한다. 장점 Bean의 속성, 이벤트, 메소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자바 빈즈(Java Beans)란?
자바 빈즈(Java Beans) >- Builder Tool에서 시각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자바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 현재 실행되고 있는 JVM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인스턴스이며 이 중 어떤 인스턴스들은 필요에 따라 내가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 >- 자바로 작성한 자바 클래스 중에 바 빈즈 컨벤션(Java Beans Convention) 에 맞게 작성된 클래스를 JSP에서 사용 가능 >- EJB(Enterprise Java Beans)와는 다른 것 자바 빈즈 사용 목적 >- JSP페이지의 로직 부분을 분리해서 코드를 재사용함으로 프로그램의 효율을 높임 >- 프로그램의 모듈화(component)는 코드를 재사용하므로 프로그램의 작성 기간이 단축되고, 이미 실 시스템에 사용했던 코드를 사용하므로 코드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유지 보수가 쉽다. 자바 빈즈 컨벤션(J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