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PT
TIL 231127 리액트 뉴스피드 프로젝트 KPT
일주일 간의 리액트 심화과정 뉴스피드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KPT 먼저 작성해놓고, 추후에 이번 프로젝트 코드를 리뷰해보도록 하겠다!작업브랜치 분리 후 dev 브랜치에 pull request 줘서 merge하는 걸 처음 했는데 변경사항과 진행상황이 뚜렷하게 보여서 좋다
[내일배움캠프 - 노드숙련주차] 프로젝트 회고 - </> D-ingco
딩코 로고내일배움캠프 Node.js 숙련주차 팀프로젝트입니다.👉 https://github.com/choisooyoung-dev/d-ingcoNode.jsExpressMySQLPrismaexpress-validatorJWT처음으로 Prisma를 적용해보았다!

[내일배움캠프] 주특기 숙련주차 프로젝트 회고
스파르타의 부트캠프를 참여한지 약 두달이 지났고, 팀원들과 처음으로 협업을 통해 백엔드를 구축했다. 팀원들과의 소통과 함께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스스로 발전한 것, 아쉬웠던 점, 앞으로의 생각등을 정리할려고 한다. 1\. 이슈를 생성해 기능별로 역할을 분담해서 깃허브
[TIL] 뉴스피드 - 팀 프로젝트 KPT 회고
https://github.com/phdljr/news-jin스프링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를 지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KPT 회고를 작성하려 한다.KPT 회고란 Keep, Problem, Try의 약자로
Spring 오늘뭐먹지? 팀 프로젝트 KPT 회고
Keep : 지속할 것Problem :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Try : 문제를 바탕으로 시도할 것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좋았던 점을 <span style="color:Problem(문제)을 정의하고,<span style="color:<span style="
[회고] 10월
11월 중순에 올리는 10월 회고글입니다. 10월 말부터 11월초까지 대략 3주간 파이널 프로젝트를 끝내고 멋쟁이 사자처럼 프론트엔드 스쿨 7기를 수료했습니다. 많이 성장한 것을 느꼈고, 이에 대해서는 멋사 회고글로 돌아오겠습니다!
[내일배움캠프 - 사전교육] 프로젝트 회고 - PART 2. 🍔 먹고하조 프로젝트
첫 프로젝트 회고를 이제야 작성하다니..전에는 회고글은 기록하는 용도라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다른 팀 프로젝트를 해보니 같은 문제점이 보이는 걸로 보아 전체적인 팀 프로젝트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으로 회고를 꼭 작성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내배캠에서 알
[KPT] 내일배움캠프 2~3주차
자바스크립트 학습 주차가 시작되면서 학습과 동시에 개인/팀 과제 병행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다음엔 어떠한 점을 지속적으로 가져갔으면 좋겠고 무엇이 문제점이었으며 어느 관점에서 새로운 시도를 해볼 것인지 회고를 해보겠다.
스파르타 팀 과제(호텔예약시스템) KPT 회고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Chapter 2 호텔 예약 시스템 과제를 마치며 12조 팀원들과 함께 KPT를 작성해 보았다.미리 팀원별로 업무를 나누고, 계획에 맞게 잘 진행되었다코드를 짜기 전 클래스와 메소드를 어떻게 할지 잘 정리해서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덜했다깃허브나 코드
스파르타 팀 프로젝트 - KPT 회고 2회차
호텔 예약 프로그램고객이 객실을 예약하고, 호텔이 예약 목록을 조회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개인 과제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협업하여 팀 과제를 완성하자!Java 문법 기본 다지기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어려운 문제를 공유하여 해결하기서로를 존중하는 이쁜 말 사용하기모르는 문제
2회차 - 팀 과제 KPT
호텔 예약 프로그램고객이 객실을 예약하고, 호텔이 예약 목록을 조회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개인 과제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협업하여 팀 과제를 완성하자!Java 문법 기본 다지기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어려운 문제를 공유하여 해결하기서로를 존중하는 이쁜 말 사용하기모르는 문제
Java를 활용한 키오스크 팀 프로젝트 KPT 회고
Keep : 지속할 것Problem :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Try : 문제를 바탕으로 시도할 것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좋았던 점을 <span style="color:Problem(문제)을 정의하고,<span style="color:<span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