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ki

[K8S] CI/CD Pipeline, 모니터링, 로깅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 로깅 시스템 구축
이번 게시글에서는 클러스터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추적하기 위해서 Grafana Dashboard와 Loki를 사용하여 로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기
include : 사용할 엔드포인트(url) 설정ex) health, info, prometheusport : 프로메테우스 접속 시 사용할 포트(PROMETHEUS_PORT)base-path : 프로메테우스 접속 시 사용할 경로(PROMETHEUS_PATH)이때 서버의

PLG 스택 설치
PLG 설치한 이유 사내의 기존 시스템에서 filebeat kibana Elasticsearch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외주로 인해 제대로 된 설치에 대한 가이드 부족 및 무료 라이센스 Alert 미지원으로 Error 로그에 대한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Grafana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Promtail과 Loki를 통해 로그를 수집하는 방...

모니터링 서버 구축 (feat. Grafana, Loki, Promtail..)
현재 여러 대의 인스턴스에(AWS 클라우드) 서버(SpringBoot App)가 배포되어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체계화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만 하고 있는 상태였다가 시간이 나는 김에 구축해보았다. 스스로 생각한 제약조건은 대충 다음과 같다.하나의 모니
[Grafana] Loki & Promtail 설치
Metrics 받는 서버도커 이미지 다운로드docker pull grafana/lokiLoki 설치 경로 생성mkdir /etc/lokiLoki yaml 다운로드cd /etc/loki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graf

Logging & Monitoring - 3. Grafana
앞서 loki와 prometheus로 수집한 정보를 Grafana 대시보드로 시각화 (feat. Import)

Logging & Monitoring - 1. Loki
모니터링, 로깅을 위해 Loki, Grafana, Prometheus를 도입한 내용 정리

Prometheus 기반의 Real-time 시스템 모니터링
저는 지난 2021년 여름부터 Prometheus를 사용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고 사용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rometheus를 이용한 모니터링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활용 예시를 보여드리려 합니다.모니터링과 로그, 메트릭 분석, 검색 시스템으로는 유명한 ELK

모니터링
이번주는 Prometheus 구성, 메트릭 수집이후 Grafana 로 대시 보드 구성, 슬랙으로 얼럿 연동까지 해보자.(이미지 출처: https://sysdig.com/blog/kubernetes-monitoring-prometheus/ )비교 : t3a.xl
2023.03.28.TUE
[ 메인 프로젝트 ] promtail과 loki로 spring boot 서버에서 콘솔로 나타나는 slf4j 로그 스크래핑 성공..! 로그 파일을 밖으로 내보내고, 우리 서버는 도커에서 실행 중이므로, 도커 내부에서 생성된 로그 파일을 도커 밖의 EC2에서 volume으로 연결했다. 볼륨 연결이 어려웠는데 팀원 분들이 도와주셨다. yml 설정에서 loggin...
2023.03.27.MON
[ 메인 프로젝트 ] RDS의 max-connections 수정하기. 각 사양마다 디폴트 값이 있다. 커넥션이 많을 수록 thread pool이 많아진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test용 DB에서 계속 Too many connections 에러 떠서 해결하려고 찾아본 내용. https://support.bespinglobal.com/ko/support/s...

Loki + Promtail + 그라파나
Loki와 Promtail을 이용해서 그라파나에서 실시간 로그를 관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Loki를 깔아주자. 그리고 yml파일에 아래 코드를 추가해줍니다. 로키 서비스를 생성해준다. 파일을 만들어 Loki 서비스를 데몬화합니다. 시스템 데몬을 다시로드 한 다음
Promtail , Loki
앞서 그라파나 설치 후 자사 솔루션 로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웹에서 테일링 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해보고자 Promtail 과 Loki를 설치해보았다. Logging 아키텍쳐 아키텍쳐에서 보다시피 해당 로그를 Promtail이 수집하고 Loki로 라벨링화하여 데이터를
5인 개발팀에서 DevOps가 일하는 방법
떠밀린 고양이창업한 회사에 팀원이 늘어나게 되니 직접적인 개발보다는 방향을 잡는 업무가 자연스럽게 늘어나버렸다.처음 창업했을 때는 프론트엔드 + 백엔드 개발이 위주였다가 개발팀이 3명이 되니 프론트엔드 업무가 사라지고 백엔드 + 인프라 업무를 맡게 되었다.이제 개발팀이
Grafana Cloud 사용기 - Loki 짱짱
이번에 개인적으로 로컬에 셋업해서 사용하고 있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모니터링 스택을 재설치할 일이 생겼다. 기존에는 Elasticsearch + Fluent-bit + Kibana (EFK) 스택을 셋업해서 쓰고 있었는데, elasticsearch랑 kibana

Loki - Promtail - Grafana
이거는 어디에 쓰는 물건인가?로그 수집과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한다.이 과정을 이해 하기 위해서는 Loki, Promtail, Grafana의 역할을 알아야한다. 그리고, 이런 구조가 필요했던 이유는? \- Elastic search, Fluent-bit, Ki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