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W

3개의 포스트

Link Layer / Network Layer

MAC Addr MAC 주소 컴퓨터의 물리적인 주소값 (Physical Address or Ethernet Address) 하나의 NIC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주소로 총 48 bit로 첫 24 bit는 제조업체 식별번호 ARP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를 통해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ARP table을 통해 일대일 매칭된다. ARP 동작 순서 ARP Request - Sender는 SRC MAC, SRC IP, DST IP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로 broadcast. 수신한 기기들이 자신의 IP와 맞지 않으면 Drop, DST IP가 일치하는 PC는 Response. ARP Reply - IP가 맞는 PC는 송신자에게 본인으 MAC Addr을 추가해 Response, 이때는 unicast로 응답 (src의 ip, mac dst의 ip, mac을 다 알고 있기 때문)

2022년 8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twork #2 :: Cookie VS Local Storage VS Session Storage

🙊 잘못 쓴 정보가 있다면 댓글달아주세요! 🍪쿠키?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웹사이트 어디를 가던지 쿠키를 허용해달라는 얘기가 있는데 쿠키는 뭘까? 로컬 스토리지는? 세션 스토리지는? Storage 얘기가 붙어있는 걸 보니 저장소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찾아보니 대강 이런 개념들이었다. 셋 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임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 그러고보니 온갖 웹사이트들에 가면 쿠키를 허용해달라는 말이 있던게 그런 느낌인 것 같다. 데이터베이스에 부담을 주기 보다는 서버를 돌리는 입장에서는 이런 임시 저장소들이 효율이 좋겠지? 임시 용도 목적의 데이터나 캐시, 방문 기록 기능,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들(장바구니, 좋아요 등)을 저장할 때도 쓰이고, 임시글을 저장할 때에나 그 외에 서버에 저장할 필요가 없는 정보, 보안적인 문제가 될 만한 것들을 저장할 때 쓰인다. 물론 각자마다 쓰임새는 다르다. 🍪쿠키가 뭔데

2022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OSI 7계층 & TCP/IP 5계층

📝 OSI Model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이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만든 개념 모델이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7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했다. OSI 표준 모형은 7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층별로 역할을 분리해서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계층 간 통신을 통해 전체 통신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도 문제 계층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HW와 SW를 __표준화

2021년 8월 2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