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DP

Remote Desktop 원격 접속
서론 공문서를 다운로드할 때 가끔씩 키보드보안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맥북을 통해서 진행할 수 없었기에 집에 있는 윈도우 노트북에 원격 접속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여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다. 이 외에도 윈도우 OS에서만 작동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기 때문에 RDP를 이용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호스트(host)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포트(port) :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논리적 주소 ( 0 ~ 65535 ) 클라이언트(client) : 접속을 시도하는 호스트 서버(server) : 접속을 허락하는 호스트 엔드포인트(endpoint) : 접속을 하락하는 호스트의 IP 주소 ( 포트는 제외 ) 같은 네트워크 : 같은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경우 같은 네트워크에서 RDP 원격 접속 같은 네트워크에서 RDP를 통해 원격 접속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윈도우 RDP 보안설정하기
최근 노트북(맥)을 사게 되면서, 미니pc로 집에서 윈도우 or 리눅스를 구동하고 싶어졌다. 여차 저차 미니pc를 구매하게 되면서, rdp를 사용해서 맥과 윈도우를 연결하게 되었는데, 찾아보다 보니 단순하게 그냥 포트 열고 연결하는 포스트가 많아서 보안 연결은 어떻게 해야하지 하다 찾은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서 작성한다. 구성은 ssh 터널링을 통해서 rdp포트를 열어서 통신 >결론 -> rdp 안전하게 사용하자! 0. 환경 접속할 pc : m1맥북 서버 pc : 윈도우11 공유기 : iptime 1. 선행 준비 rdp활성화, openssh설치, ssh 공개키 정도는 가지고 있을거라 생각하고 작성합니다. 요것들은 나중에 시간나면 적겠습니다. 2. 포트포워딩 이 과정에서의 포트포워딩은 rdp포트를 열어주는게 아니라 ssh터널링을 위해서 열어주는 것. 2.1 iptime 포트포워딩  차단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원격제어 차단 방법입니다. CMD를 이용할 경우 반드시 관리자 권환으로 실행해야합니다. 원격제어 열기 >reg add "HKEYLOCAL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 /v fDenyTSConnections /t REG_DWORD /d 0 /f 원격제어 차단 >reg add "HKEYLOCAL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 /v fDenyTSConnections /t REG_DWORD /d 1 /f 
"Apache Guacamole"란 무엇인가??
Guacamole는 원래 브라질에서 아보카도로 만든 소스이다. 위 그림을 보면 무엇인지 대충 짐작이 갈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pache Guacamol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Apache Guacamole란?? Apache Guacamole는 클라이언트리스 원격 데스크톱 게이트웨이이다. VNC,RDP 및 SSH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플러그인이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리스라고 한다. HTML5 덕분에 Guacamole가 서버에 설치되면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데스크탑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픈 소스이다. 이글을 쓰고 있는 지금 2023년 2월 7일 현재 최신 버전은 1.4.0 버전이며, 2023년 초 1
RDP로 원격 접속하기
지난 글에서 dynamic DNS를 활용하여 외부에서도 domain name을 통해 접속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었다. 이제 외부에서 단순히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Gnome desktop 환경으로도 접속할 수 있도록 RDP 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물론 Linux는 terminal 로 접속하여 모든 것을 할 수 있으나, Gnome의 GUI를 활용하면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일들도 있고, 또한 Chrome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일반 PC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MS Windows를 사용하다 보면 원격접속 기능을 볼 수 있다. 해당 원격접속 기능은 MS에서 개발한 RDP(Remote Desktop Protocol)을 활용하여 local PC에서 다른 PC/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방식으로, 서버에서의 GUI환경을 실시간으로 받아와 보여주면서, 사용자의 입력을 서버에 보내 서버를 local PC에서 사용하는 것 처럼 해 주는 기술이다. X-windows에서도

나의 원격 접속 환경 구성 공유
정리 장비 집 개인용 데스크탑 + 개인용 32인치 4K모니터 호스트 접속용으로 사용 (QHD 환경) 업무기기 랩탑 윈도우 호스트로 사용 회사 업무기기 아이맥 27인치 2020년식 + 업무기기 모니터 27인치 4K모니터 호스트 접속용으로 사용 (QHD 환경) 휴대용 맥북프로 M1 14인치 회의용 소프트웨어 크롬 원격 데스크톱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아니지만 항상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호스트의 환경이 바뀌거나 한 것을 알기 위해 설치 크롬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접속을 원활하게 한다 RDP 호스트의 경우 윈도우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Remote Desktop Protocol 을 사용하면 쉽게 사용 가능 장점 또는 단점으로는 컴퓨터의 세션을 가져와서 호스트의 모니터에 현재 작업이 보이지 않음 Windows 소프트웨어 추천 Remote Desktop

[macOS] Microsoft Remote Desktop으로 라데온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윈도우 데스크탑 원격 접속 시 색상 문제
Macbook Pro M1 Pro 모델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으로 RX6900XT를 사용하는 데스크탑 접속시 위와 같이 색상이 노이즈 낀 것 처럼 보임. 
JSON/RDP/주요 서비스 예약 포트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이란? : JavaScript Object Notation라는 의미의 축약어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량의 DATA 교환 형식 JSON 특징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교류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과 아주 유사하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JSON 형식의 문서를 쉽게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JSON 문서 형식은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형식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자바스크립트의 문법과 굉장히 유사하지만 텍스트 형식일 뿐이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특정 언어에 종속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JSON 포맷의 데이터를 핸들링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출처 : https://velog.io/@surim014/JSON%EC%9D%B4%EB%9E%80-%EB%AC%B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