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ponses

HTTP/네트워크 기초(2)
1. HTTP Messages 1.1. HTTP messages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 클라이언트가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서버도 HTTP message 양식에 맞춰 응답함. HTTP는 특정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특징이 있음. (무상태성) 요청(Requests), 응답(Responses)이 있다. 1.2. 요청(Requests) 1.2.1. Start line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메세지 입니다. 3가지 요소가 있다 수행할 작업(GET, PUT, POST)이나 방식(HEAD or OPTIONS)을 설명하는 HTTP method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 요청

HTTP Messages
HTTP Messages HTTP 즉,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되었다. 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클라이언트가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요청(Requests)을 보내면, 서버도 HTTP messages 양식에 맞춰 응답(Responses)한다. 
TIL 21
HTTP/네트워크 기초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클라이언트-서버의 개념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을 분리시킨 것을 2티어 아키텍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라고 부름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는 관계 요청없이 응답이 오는 경우는 없음 일반적으로 서버는 리소스를 전달해주는 역할만 수행 리소스를 저장하는 별도의 공간이 '데이터베이스'이며 DB가 추가된 형태를 3티어 아키텍처라고 부름 클라이언트는 플랫폼에 따라 구분 웹 플랫폼(브라우저): 웹 사이트/웹 앱이라고 부름 스마트폰/태블릿 플랫폼(iOS, 안드로이드) 데스크탑 플랫폼 파일 서버: 파일을 제공하는 앱 웹 서버: 웹사이트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앱 메일 서버: 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 데이터베이스 또한 데이터 제공자로서 일종의

[CS] HTTP/네트워크 기초 Day-37
Client Server Architecture 인터넷 연결이 없다면, 앱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정보를 인터넷 어딘가에 존재하는 서버로부터 받아오기 때문입니다. 특정 서버에 접속하려 할 때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서버가 죽었다"라고 표현합니다. 앱과 연결된 서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 관계이며, 요청하지 않았는데, 응답이 오는 경우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서버는 리소스를 전달해주는 역할만 담당하고 리소스를 저장하는 공간을 데이터베이스(DB)라고 부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통신과 API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