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ipple

React에서 Material Ripple Effect를 커스텀 훅으로 만들기
시작하기 전에 🛫 회사에서 디자인시스템을 만들고 있는 어느 날... 디자인 시스템내에 Button 컴포넌트의 클릭 효과를 *MUI 처럼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버튼을 클릭할 때 클릭한 마우스 커서의 좌표값에 맞춰서 물결이 퍼지는 효과를 만들어야 했다. > *MUI란? 본래의 이름은 Material-UI라고 불렸었고, React 기반의 UI 라이브러리이다. MUI는 Google의 Material Design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으며, React를 사용하는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UI 컴포넌트를 제공해준다

[Ripple] 리플 합의 알고리즘 시작
[2020. 1. 15. 13:40] 요 며칠을 알바에- 감기에- 뭐에- (사실 별거 안 했지만) 심신이 망가질 대로 망가져서 해야 할 일들도 다 미뤄두고 있었다가 오늘에서야 정신을 그나마 차렸다. 아무래도 지금 사는 집이 나랑 안 맞는 것 같아 요즘 집을 열심히 알아보는 중인데 과연 언제쯤 옮길 수 있을련지... 겁도 많고 그래서 하숙집으로 옮겼던 건데 지금 사는 집으로 이사한 이후부터 흉흉한 일도 많이 일어나고 거-의 안 꾸던 악몽부터 시작해서 건강이 정말 눈에 띄게 안 좋아졌다. -라는 핑계 아닌 핑계를 시작으로 리플 합의 알고리즘 시작 - ! 00. 리플? 리플은 분산 장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결제 시스템/프로토콜이다. 2020년 1월 15일 오전 11시 46분을 기준으로

[Ripple] 리플이 뭐야
[2020. 1. 10. 2:05] 방학도 했겠다, 이제 졸업반이겠다- 열심히 살 줄 알았는데 온갖 핑계로 벌써 1월이 3분의 1이나 지나갔다. 사실 졸업 프로젝트 주제를 꽤 오랜 시간 생각해오다가 도저히 답이 안 나와서 블록체인, 그중에서도 관심 있는 코인을 다시 공부하기로 했다. 뭔가 읽다 보면 이런저런 잡생각도 많이 하면서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을까- 하고. 제일 먼저 선택한 리플. 영어 읽기 싫어서 리플 알고리즘 해석본을 읽는데 처음 부분부터 이해가 안 돼서 한글을 또 해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고, 결국 화가 잔뜩 나서 대충대충 읽은 건 안 비밀- 대충 읽은 것과 이것저것 찾아본 것을 토대로 리플이 뭔지 정리하고 다음 코인으로 넘어가려 한다. 블로그에 굳이 이것저것 끄집어와서 정리 아닌 정리하는 이유는 이래야 이해가 조금이라도 더 되니... 까...? 00. 분산 장부 기술 블록체인-비트코인-의 등장 이후 분산화된 장부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