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setta

[Xcode] KakaoMap 및 로제타 설정에 관한 고찰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중 카카오맵 SDK를 연동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참고로 글쓴이의 개발 환경은 아래와 같다. ** 노트북 : M2 Air 16GB 개발 IDE 및 버전 : Xcode 14.3 빌드 환경 : arm64(default)** > In DaumMap.framework/DaumMap(HashUtils.o), building for iOS Simulator, but linking in object file built for iOS, file 'DaumMap.framework/DaumMap' for architecture arm64 위의 문제는 모듈간 링킹하는데 발생하는 문제로써, 이렇게 나오면 사실상 해결할수있는 방법은 빌드 아키텍쳐 수정, 브릿징 헤더 경로 추적, XCode 버전 등 복잡해진다 카카오맵의 경우 SPM, CocoaPods, Carthage 등 패키지 설치 지원을 안하기때문에 수동으로 해야하고 Kaka
[iOS] xcode 14.3 version - Error
Error1 14.3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빌드시 위의 에러가 발생 m1 맥 build 실패로 인해서 응용프로그램 -> xcode 우클릭 -> get info -> rosetta로 열기 를 설정했던 부분이 없어짐 해결방법 xcode 실행 상단 네브바에서 Product 클릭 Destination 클릭 Destination Architectures 클릭 show both 클릭 시뮬레이터에서 (rosetta) 붙은걸로 선택 후 빌드 Error2 xcode 실행 좌측 프로젝트 네비게이터창 클릭 Pods 클릭 TARGETS에서 React-Codegen 클릭 Build Settings 클릭 Deployment의 iOS Deployment Target 버전 12버전 이상으로 변경 빌드 참고 자료 rosetta 관련 : <a href="https://armen-mkrt
리액트 네이티브 실행을 위한 맥 설정 - without Rosetta (2022.12.08.)
개인적으로 mac m1 칩을 쓰면서 "로제타를 사용하여 터미널 열기" 등을 통해 인텔 아키텍처를 가져가는게 어색하다고 생각한다. 아래의 방법으로 설치했더니 신규 생성한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git clone으로 내려받은 프로젝트 모두 잘 구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래 링크를 통해 homebrew 및 chruby 설치 (이 부분이 핵심이다. 리액트 네이티브 공식문서를 따라서 루비 버전을 바꿔보면 항상 에러가 발생했지만 아래 링크를 따라하면 mac m1 하에서도 잘 동작한다. thanks to 진현) https://www.moncefbelyamani.com/how-to-install-xcode-homebrew-git-rvm-ruby-on-mac/#start-here-if-you-choose-the-long-and-manual-route cocoapods은 brew install이 아닌, gem install을 통해서 설치. gem install coco
[Conda] Rosetta + Conda Env 세팅
https://github.com/conda-forge/miniforge/issues/165 생각보다 간단하게된다..!

etc - M1에서 NVM 사용하기
목차 > Homebrew 설치 > NVM 설치 > NVM 적용 방법 및 사용법 > 마치며 NVM은 npm을 여러 버젼을 쓰게 해주는 좋은 버젼 매니저입니다. M1에서 사용할 수 있게 설치해보겠습니다. node가 설치되어 있으면 충돌이나 에러가 날 수 있으니 설치를 진행하기전 node를 다 지워주시기 바랍니다. Homebrew 설치 NVM은 window기반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해선 별도의 관리자가 필요합니다. homebrew는 apple이나 linux에서 제공하지 않는 패키지들을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관리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터미널에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Homebrew를 설치하여 줍니다. NVM 설치 준비가 되었으면 명령어를 통해 NVM을 설치합니다. > brew로

[ React Native ] Arch 버전 문제에 따른 M1 의 문제로 pod install 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터미널 정보에서 Rosetta 를 사용하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하더라도 vscode 터미널에서는 적용되지 않으니 vscode 도 설정을 다시 하거나 터미널의 직접 열어 pod install 을 하도록 하자 Rosetta Rosetta 에 대한 애플 공식문서 M1 을 사용해서 일어난 문제라 Rosetta 를 사용하면 Int

Error : Cannot install on Intel processor in ARM default prefix (/opt/homebrew)!
M1 맥북을 사고나서 개발환경 세팅, github.io 를 로컬로 구성하던 중 homebrew, ruby, jekyll 을 설치하는데 꽤나 애를 먹었다.. 🤦♂️ 위 포스팅에는 Rosetta로 homebrew 를 깔면서 환경설정이 뒤죽박죽된것에 대한 해결책을 정리해놓는다. 원인? brew를 사용하여 install을 진행하던 중 나타났던 에러 brew config 로 경로확인 HOMEBREW_PREFIX: 부분이 /usr/local 로 되어 있음 해결방법 초기 설정 때 터미널을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를 사용하여 설치해서 생긴 에러라 판단되어 homebrew 를 re-install 하였다. Rosetta를 사용하여 열고 끄기 설정 Finder -> 응용프로그램 -> 사용하는 터미널 프로그램 오른쪽 클릭 -> 정보 가져오기에 가면 이런 창이 나타나는데, <img src="https://user-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