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P

객체지향 5원칙 (SOLID)
😵 목적 정리한 개념들의 포스트들은 있지만, 한번에 보기 난해하고 전체적인 흐름을 바로 잡고 OOP의 더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 정리하려고 한다.
SRP
클래스는 기능 또는 목적에 의해서 만들어진다.하나의 클래스에 다기능 또는 다목적을 포함시키면, 단일 책임원칙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Une classe sont créée par fonction ou objectif.Inclurer multifonctionnel
SOLID 원칙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하고 클래스의 모든 기능은 그 책임을 수행하는데 집중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어떤 변화에 의해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어야함을 의미한다.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원인에 의해서 변경이 잦다면 각 책임을 별도의 클래스로 분할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in GO
☝ Single Responsibility"In any well-designed system, objects should only have a single responsibility." by Robert Martine.
SOLID 원칙
SOLID는 로버트 마틴이 정의한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말합니다. 학교에서 소프트웨어공학 수업시간에 배울 당시에는 학문적인 부분에서만 나올 것 같은 내용이라 생각했지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할 때 깔끔한 코드 작성을 위해 지켜야함을 깨달았습니다.하나의 클

OOP 5대 원칙 SOLID
어떤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어야 한다.덧셈 로직을 바꾸고 싶다 → sum 클래스를 고친다 (O)덧셈과 뺄셈 로직을 바꾸고 싶다 → 계산기 로직을 바꾼다 (X)그리고 작은 클래스 여러개를 만들어서 한 곳에 몰아 넣기보다는 이름과 기능에 따라 명확한

[노개북 1기] TIL (2022.02.09)
🔖 오늘 읽은 범위 : 10장, 클래스하지만 코드의 표현력과 그 코드로 이루어진 함수에 아무리 신경 쓸지라도 좀 더 차원 높은 단계(=클래스)까지 신경 쓰지 않으면 깨끗한 코드를 얻기는 어렵다.클래스 체계표준 자바 관례가장 먼저 변수 목록이 나온다.정적(static)

SOLID Principle
이전글들은 사실 이 원칙을 위해 달려온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OOP의 정수로 불리우는 SOLID원칙에 대해서 깊게 알아보고, 실제 iOS Framework의 설계 방향에 대입하면서 보다 찐한 이해를 경험해보자.

[매.컴.싸] SOLID (객체지향설계)
사랑해요 SOLID3차 프로젝트 발표에서 만난 튜터님이 좋은 개발자인지 보는 기준으로 SOLID를 지켰는가를 꼽는다고 언급했었습니다. 대충 말만 들어봤지 뭔지 잘 몰라서 준비해봤습니다. SOLID는 로버트 마틴이 낳으시고 마이클 페더스가 기르신 용어입니다. 객체 지향
1. 객제 지향 설계와 스프링
EJB 컨테이너 -> SpringEJB 엔티티빈 -> 하이버네이트 -> JPA스프링 기술스프링 프레임워크 : 핵심스프링 부트 :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줌스프링 데이터스프링 세션스프링 시큐리티스프링 Rest Docs 스프링 배치스프링 클라우드스프링 프레임워크핵심 기술

SRP:단일 책임 원칙
좋은 벽돌로 좋은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원칙.SOLID 원칙은 함수와 데이터 구조를 클래스로 배치하는 방법, 그리고 이들 클래스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해준다.'클래스' 단어를 사용했다고 해서 SOLID 원칙이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에만 적용된다는 뜻은 아니다.여기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