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teless

97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웹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쿠키-세션과 JWT의 동작 과정

2023년 9월 1일
·
0개의 댓글
·

Stateless vs Stateful

Stateless/Stateful 이란?서버 사이드와 클라이언트 사이드간 통신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State(상태)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 기록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내용을 서버가 기억하고 있다.클라

2023년 8월 20일
·
0개의 댓글
·

Cookie와 Session은 로그인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HTTP 통신의 특징은 Connectionless, stateless이다.

2023년 7월 14일
·
0개의 댓글
·

스프링 빈은 항상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하자

스프링 빈을 항상 무상태(statelses)로 설계하라는 말이 있다.이 말은 즉, 스프링 빈 클래스는 공유가 될 수 있는 전역 변수를 사용하면 안된다를 의미한다.이유를 알아보자!!!stateless protocol은 들어 보았다. stateless protocol은 어

2023년 6월 26일
·
0개의 댓글
·

[HTTP] HTTP 기본

HTTP 기본 > - 모든것이 HTTP >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 Stateful, Stateless > - 비 연결성 (connectionless) > - HTTP 메시지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 - HTML, TEXT > - 이미지, 음성, 영상, 파일 ...

2023년 6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ullter 시작하기

위젯은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 이다.주로 바탕화면 등에서 날시나 뉴스, 생활정보 등을 보여준다.그래픽이나 데이터 요소를 처리하는 함수를 가지고있다.UI를 만들고 구성하는 모든 기본 단위 요소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들, 예를들어 UI 디자인 관련해서 레이아웃을

2023년 6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기초 CS 개념] 쿠키 vs. 세션

✅ 포스팅 요약 제곧내. 내가 헷갈려서 내가 보려고 만든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쿠키랑 세션은 일단 모두 웹 개발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으로, 상태(state)를 유지(maintain)하고 사용자 정보(user information)을 관리()하

2023년 5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rotocol 및 html

HTTP protocol > HTTP는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으로 구성된 방식입니다. > 프토토콜은 통신 규약을 뜻합니다. 과거에는 우리가 오늘처럼 리소스가 풍부하지 않았습니다.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큰 효율을 내기 위해서 여러 규칙을 정해서 통신을 하여

2023년 4월 29일
·
0개의 댓글
·

[HTTP] HTTP의 Stateless와 로드 밸런싱

여기서는 HTTP의 Stateless에 대해서 다루는 것은 아니고, HTTP의 Stateless와 TCP/IP의 Connection이 연관 관계가 있는지 궁금해서 정리해보는 글임을 알리고 시작합니다.

2023년 4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RF] 1 HTTP와 웹의 동작 방식

이 글은 KDT 실무형 AI 웹 개발자 양성과정중 DRF를 활용한 Restful한 백엔드 만들기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수정 및 변경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역할을 이해한다. HTTP 메시지의 구조를 이해한다. Request와 Response

2023년 4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ompose의 상태(state)를 알아보자!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 있는 값을 말한다. room 데이터베이스부터 클래스까지 매우 다양하고, 예시는 다음과 같다.채팅 앱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사용자의 프로필 사진recyclerView와 같은 list의 스크롤 위치상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값이라면,

2023년 4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art 6. 모든 것이 HTTP(HTTP 기본)

주제Q 1 : 모든 걸 전송할 수 있는 HTTP 메시지?Q 2 : HTTP의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는?Q 3 : HTTP의 특징,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Q 4 : HTTP의 특징,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의 한계는?Q 5 : HTTP의 특

2023년 3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twork] HTTP (1) - What Is HTTP?

[Network] What Is HTTP?

2023년 3월 15일
·
0개의 댓글
·

로그인 기능 구현시 쿠키와 세션을 이용하는 이유

로그인 기능을 이용할 떄 쿠키, 세션, 토큰을 사용하는 이유는 결국 HTTP가 stateless(무상태), connectionless(비연결성) 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비연결성 : 클라이언트 요청에 서버가 응답을 하면 연결을 끊어버리는 것을 말한다.

2023년 2월 18일
·
0개의 댓글
·

Stateful과 Stateless 차이 알아보기

네트워크 프로톨인 Stateful과 Stateless차이와 비교

2023년 2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twork] HTTP 특징

바야흐로 대HTTP시대. HTTP에 대해 알아보자.

2023년 1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코린이에서 코른이로 ( HTTP )

HTTP Message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는 방식이다. HTTP Messages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요청(Requests)응답(Responses)HTTP Messages는 몇 줄의 텍스트 정보로 구성된다. 그러나 개발자는 이

2023년 1월 3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