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
Today i learned Day-1
검색이 잘되는 사람이 되자집에 드라버가 있는 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없다 : 집에 드라이버가 없는 것이다지식은 검색이 안되는 순간 지식이 아니게 된다.따라서 검색이 안되는 사람은 없는 사람이다.제일 중요한 것 LINKIND, 로켓펀지, wanted 등 에 나의 이력서를

overflow 제어 in CSS
아래 사진과 같이 게시물 제목이 지나치게 길면부모영역을 벗어나 다른 영역까지 영향을 미치게된다.이를 제어 하기 위해서는제목을 표시하는 태그에CSS 스타일을 추가하였다.이처럼 베스트 게시물 제목과, 게시물 제목을 표시하는 태그에스타일을 추가하였다.white-space:
새로고침 하지않고 실시간으로 응답값 출력하기
게시글 상세페이지에서 페이스북 처럼 좋아요, 싫어요를 누를 때마다 실시간으로 백엔드에서 몇 개나 눌렸는지 가져와서 보여주고 싶었다.3시간을 삽질한 끝에 구현해냈다...😂위의 삼항연산자는 아래 if문과 같은 의미이다.게시글 페이지에서 좋아요 수가 data.fetchBo

툴팁 띄우기
일단 position relative와 absolute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이는 간단하다 부모의 태그에 position: relative 속성을 주고,자식 태그에서 position: absolute 를 주면부모 태그의 position: relative 를 기준으로
모든 것이 HTTP (8-1) - HTTP 헤더와 캐시
모든 것이 HTTP (7-1) - HTTP 헤더
모든 것이 HTTP (6-1) - HTTP 상태코드
모든 것이 HTTP (3-2) - 웹브라우저 요청흐름
지금까지 배운 모드 내용을 바탕으로 http를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어떻게 서로 메세지를 주고받는지 정리해보자. 첫번째로, 클라이언트는 http 메시지를 tcp/ip패킷에 포장하여서 구글서버에 전달한다 . 두번째로, 구글서버는 전달된 패킷을 뜯어서 , http
모든 것이 HTTP (3-1) - URI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niform: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URI는 로케이터(locator
모든 것이 HTTP (2-2) - PORT, DNS, Packet
PORT IP 프로토콜이 가지는 2가지 문제점을 TCP 프로토콜이 해결했다고 배웠다. 그러면 3번째 문제점 * 3. 프로그램의 구분* 이라는 문제점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 우리는 여기에서 포트라는 개념을 배우게 된다. 포트는 같은 IP내에서 , 서로 다른 프로
모든 것이 HTTP (2-3) - 프로토콜 계층
프로토콜 계층 프로토콜끼리는 계층을 가진다. 계층을 가진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계층을 가진다는 의미는 , 기본적으로 해당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작동하면서도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계층이 올라갈수록 더욱더 복잡하고 추상화된 프로세스(프로그램)의 요구를 처리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반대로 계층이 내려갈수록 간단하면서도 실제적인 과정을...
모든 것이 HTTP (2-1) - 프로토콜
프로토콜의 발전이유는 단 한가지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터넷이 복잡해지고, 앞으로도 더욱더 복잡해질것이라는 점이다. -> 인터넷 속도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더욱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프로토콜의 존재가 필요해진다. 프로토콜의 종류 IP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