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rtual Machine

Docker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가? 배경, 구조, 예시 코드
Virtualization과 Containerization Virtualization 위 그림은 전통적인 컴퓨팅 아키텍처와 가상화된(virtualized) 컴퓨팅 아키텍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전통적인 컴퓨팅 아키텍처를 나타낸 왼쪽 그림에는 하드웨어 위에 하나의 OS가 올라가 있지만, 가상화된 컴퓨팅 아키텍처를 나타낸 오른쪽 그림은 각각의 가상머신(VM) 안에 개별적으로 guest OS가 하나씩 들어가 있다. Virtualization이 필요한 이유는 application들이 OS, 하드웨어 등에 종속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왼쪽 그림에서는 특정한 하드웨어와 OS 환경 안에서만 동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올릴 수 있지만, 오른쪽 사례에서는 각각의 virtual machine에서 각기 다른

[CS지식의 정석]클라우드 기반 기술인 가상머신
클라우드 1. 가상머신 1.1 전통적 배포방식 > 물리적인 컴퓨터 한 대(하드장비)에 하나의 OS를 깔고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식. 계정을 나눠 여러명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경우 다른 앱에 영향을 미친다. 1.2 가상화 배포방식 > 가상머신을 기반으로 배포하는 방식이다. 가상머신이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것을 말한다. 한 대의 컴퓨터 위에 하이퍼바이저 계층을 두어 그 안에서 여러개의 OS를 구동하기 때문에 가상머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였기 때문에 계정당 필요한 RAM용량을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AWS EC2
EC2란? EC2란 Elastic Compute Cloud로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말한다. 컴퓨터 한대를 원격으로 빌리는 것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성능, 시간, 데이터등을 사용한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 ❗️ 관련 용어 인스턴스 :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일컫는 단어로 주로 EC2 인스턴스 1대, 이런식으로 말한다. EC2 사용 시 장점 탄력적 본인이 계획한 워크로드에 따라 EC2 인스턴스의 타입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단순한 프로젝트일 경우 저렴하고 낮은 성능에 인스턴스 타입을 이용할 수 있고 대규모 워크로드, 빅테이터 작업등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경우에는 높은 성능에 인스턴스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몇분만에 수백, 수천개의 서버 인스턴스를 시작, 종료할 수 있다. > ❗️ 관련 용어 워크로드 : 애플리케이션이나 백엔드 프로세스 같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리소스 및 코드 모음
KVM 설치
요구사항 먼저 cpu가 virtualization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합니다. 만약 1이상이면 virtualization을 지원하는것입니다. (그러나 BIOS에서 virtualization을 enable 해야하는것 확인) 이렇게 나오면 지원하는것입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이 다 지원을 하게되면 이제 설치를 시작하겠습니다. 필요한 패키지 설치 ubuntu(18.10) or later 유저 그룹에 추가 현재 유저를 libvirt에 추가 현재 유저를 kvm에 추가 설치 확인 아래의 결과가 나오면 설치가 완료된것입니다. 참고 : https://help.ubuntu.com/community/KVM/Installation
anaconda 설치, 가상 환경 설치 방법
개발 환경을 다시 세팅 해야하는 경우, 주위 개발자들은 가상 환경을 쓰는 것을 권고한다. 왜 그럴까? 결론은 종속성 때문이다. 예를들어 10년 전 P언어 1.0.0 버전으로 코드가 이루어진 SW가 있다. 이 SW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는 A, B가 있는데 이들도 동일하게 1.0.0 버전이다. 10년 후 P언어는 5.0.0 버전, 라이브러리 A는 꾸준히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5.0.0, B는 여러가지 이유로 2.0.0 버전에서 릴리즈 되지 않았다. 과거에 진행했던 SW의 시뮬레이션 결과물을 토대로 보고 해야하는 중요한 일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해야 좋을까? 위에 예시처럼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되지 않거나, 업데이트가 되어도 과거 문법 그대로 지원이 될지는 미지수이다. 그리고 최악의 경우 원하는 라이브러리가 OS를 지원하지 않거나 업데이트 하며 A와 B가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다 하더라도, 더 이상 라이브러리 배포 자체를 안 할 수도
[VM] VirtualBox에 Ubuntu 설치하기
맥북에서 Ubuntu를 사용하기 위해 VM에 우분투를 설치하였다. 1. VirtualBox 설치 Virtual Machine 소프트웨어인 VirtualBox를 설치한다.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에서 설치 본인은 본인 컴퓨터에 맞게 MacOS에 Intel 칩으로 설치했다. 2. Ubuntu 설치 Ubuntu를 설치한다.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iso 파일의 이미지가 커서 설치가 엄청 오래 걸린다. 10-20분 정도 기다린다는데 본인은 1시간

Docker Introduction
본 포스팅은 https://docker-curriculum.com 의 글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INTRODUCTION What is Docker? 위키피디아에선 Docke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an open-source project that automates the deployment of software applications inside containers by providing an additional layer of abstraction and automation of OS-level virtualization on Linux. 간단히 말하면 Docker는 개발자, 시스템 관리자 등이 샌드박스(container라고 함)에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배포하여 호스트 운영 체제(Linux 등)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입니다. 도커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관련된 의존성을 모두 묶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표준화 된 단

인셉션
VM 세팅(UTM) https://velog.io/@zhy2on/Ubuntu-20.04-for-ARM-설치해보기 ubuntu 20.04 desktop 최소설치 & firefox 설치 환경으로 세팅했다. Common Ground docker https://velog.io/@zhy2on/Docker-간단-정리 environment docker에서는 컨테이너에서 사용할 환경변수를 미리 지정하고, 파일로 넣어줄 수 있다. 대신 image 단계에서 들어가는 게 아니라 container 단계에서 들어가기 때문에 환경변수를 사용하려면 ENTRYPOINT나 CMD에서 사용 해줘야 했었다. (RUN에서 환경변수 사용하면 적용 안 됨) 때문에 COPY로 이미지 단계에서 복사할 파일에는 {$환경변수

Docker 와 Virtual Machine
Docker?? Docker는 사전적인 의미로 항만노동자라는 뜻이고 Docker의 정의는 컨케이너 기반 오픈소스 가상 플랫폼입니다. 서버에서 이야기하는 컨테이너는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리를 단순하게 해줍니다. 백엔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서버, 메시지 큐등 어떤 프로그램도 컨테이너로 추상화할 수 있고 조립PC, AWS, Azure, Google cloud등 어디에서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즉 Docker는 Docker Hub를 통해 여러 application을 전 세계에 배포와 관리를 도와줍니다. Container 컨테이너는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기술입니다. 가상화 기술의 하나지만 기존방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기존의 가상화 방식은 주로 OS를 가상화하였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VMware나 VirtualBox같은 가상머신은 호스트 OS위에 게스트 OS 전체를 가상화하여 사
1. born2beroot
1.1. Mandatory Part 1.1.0. Background knowledge 1.1.0.0. Virtual Machine 가상머신 : 물리적 컴퓨터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퓨터 : 물리적 컴퓨터처럼 어플리케이션과 운영체제를 실행하나, 가상머신은 물리적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물리적 컴퓨터처럼 작동하는 컴퓨터 파일 : 호스트 컴퓨팅 환경에서 생성됨 : 하나의 호스트에 여러 가상머신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음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이유 바이러스에 감염된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운영체제를 테스트하는 등, 호스트 환경에서 수행하기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가상머신은 *샌드박스화 되므로, 가상머신 내의 소프트웨어는 호스트 컴퓨터를 변조할 수 없다 *샌드박스화: 외부로부터 받은 파일을 바로 실행하지 않고 보호된 영역에

<UTM> 10단계로 끝내는 MacOS M1에서 가상머신(virtual machine) 사용하기
M1 기반의 CPU에서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던 Oracle virtualbox가 호환되지 않는다. 인텔기반 mac에서는 가능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을 쓰께되었고 M1 칩을 사용하는 mac에서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보았다. 이번 글은 Ubuntu server 20.04 설치를 기반으로 제작하였습니다. UTM 설치하기 - 다운로드 UTM을 열기 3.새 가상머신 만들기를

M1 Mac 가상머신(UTM) 설치 - Ubuntu 20.04 for ARM 설치해보기 + ssh 연결
Ubuntu iso 다운 (20.04 ver) https://cdimage.ubuntu.com/releases/20.04/release/ `ubuntu-20.04.5-live-server-arm64.iso` UTM 다운 https://formulae.brew.sh/cask/utm Ubuntu 설치 (1) 새 가상머신 만들기 클릭 Virtualize 클릭 운영체제 Other 선택 후 탐색 버튼 클릭. 다운 받았던 iso 파일 선택 
How to increase UDP buffer size on Docker Desktop
Docker Desktop runs containers on its host virtual machine (VM). It's highly recommended to read The Magic Behind the Scenes of Docker Desktop if you'd like to learn further more. The UDP buffer size of a container depends on its host VM. This means that the buffer size can only be changed inside the host machine. Step-by-Step Connect to the host VM In fact, there is no official way to interact or connect to th

🪄 VM & OS 🚀
가상 운영체제 virtual operating system 가상 머신 VM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가상의 컴퓨터, 컴퓨터 안에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개발 시 원래 의도했던 것과는 다른 운영체제 실행 가능 예) _디스크에 몇 개의 운영체제를 저장해 두고 컴퓨터를 켤 때마다 어느 것을 실행할지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멀티 부트multiple boot기능. (윈도우를 사용하려고 했던 컴퓨터에서 리눅스를 실행, 맥이 맥OS 대신 윈도우를 실행) _VM웨어(VMware), 버추얼박스(VirtualBox), 오픈소스 젠(Xen) "컴퓨터인 것처럼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흔히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이라고 한다." 소프트웨어로만 존재하지만 마치 하드웨어인 것처럼 그 작동 방식을 모방하는 프로그램. * 가상 머신이 사용되는 이유와 목적. 1. 물리적 장

virtual machine 가볍게 둘러보기 (born2beroot)
juson 님과 함께 작성했습니다. bonus 대로 partition 설정 : https://velog.io/@appti/born2beroot-Virtualbox-Debian-%EC%84%A4%EC%B9%98 기본 설정 : https://techdebt.tistory.com/18?category=833728 나는 이 과제의 목표를 (가장 중요) 가상 머신의 사용 방법을 알고, 각 OS의 차이점을 알고 선택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설정만이 되어있는 리눅스를 이용해 자신이 필요한 서비스를 설치하고 이용할 수 있다. 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자세히 찾아본다고 해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개념들은 간단히 찾아보고 사용 방법을 중점적으로 찾았다. > 예) ufw (Uncomplicated firewall) (간단한 설명) Uncomplicated FireWall의 약자이다. 복잡하지 않고 쉽게 방화벽을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커에 대한 어떤 것 : 1.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란 무엇인가] 개발팀, 운영팀 가리지 않고 누구나 좋아하는 도커. 도커란 무엇일까요? 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일종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가상화란 물리적 자원인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하드웨어 공간 위에 가상의 머신을 만드는 기술이고, 컨테이너란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 os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프로세스를 격리해 독립된 환경을 만드는 기술을 뜻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도커는 독립된 환경을 만들어서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가상화와 컨테이너] 가상화와 컨테이너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해 볼까요? 앞서 가상화는 하나의 하드웨어를 여러 개의 가상 머신으로 분할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언급했는데요, 분할된 가상 머신들은 각각 독립적인 환경으로 구동됩니다. 이 때 베이스가 되는 기존의 환경을

Windows 10 에 MacOS Big Sur 개발 환경 구축하기: VMware Workstation Pro 16
📌 왜? 대학에서 빌려준 맥북을 통해 iOS 개발을 하던 중 졸업이 다가와 맥북을 반납하게 되면서, 프로젝트 진행이 어렵게 되었다. 혼자 하는 프로젝트면 상관이 없겠지만, 여러 사람과 함께 하는 프로젝트다 보니 급하게 Mac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무료 가상머신 툴인 VirtualBox를 사용해 보았는데.. > 너무, 너무, 너무 느려.. 따라서 구글링을 통해 성능이 괜찮다고 소개된 "VMware workstation" 을 통해 내 윈도우 데스크톱에 Mac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자 했다. 📌 문제점 처음에는 여느 환경 구축 일들처럼 구글링으로 바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저녁쯤 끝날 줄 알고 약속을 잡기도 했다,, 결국 못갔지만) 그런데 생각보다 VMware에 대한 최근 포스트가 많이 없어서, 여러 포스트를 종합해 22년 버전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 필요한 파일들 다운받기 우선, VMwa

[CS] Docker Day-69
Docker 설치하기 https://docs.docker.com/desktop/mac/install/ 경로에서 Intel 또는 Apple chip 본인에게 맞는걸 설치하기 명령어를 통해 docker 설치를 확인할 수 있다. Docker란? 개발자들을 위한 일종의 컨테이너 기술로 소프트웨어 수송, 배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행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Docker의 장점 의존성 충돌 문제를 해결해 준다. 개발과 배포 환경을 일치시킨다. 수평 확장을 쉽게 해준다. 각 서버에 새로운 내용을 배포하기 쉽게 만든다. 의존성 문제 해결 일반적으로 한 컴퓨터에는 한 가지 버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시킵니다. 이 때

2022-02-08 DevOps
# Docker 가상머신 Virtual Machine(VirtualBox) 컴퓨터 운영체제 위에 새로운 운영체제 설치 가능. 출처: [잡다한 IT 개발 이야기 ](https://hwanine.github.io/web/Container-vs-VM/) ## 본론 >가상머신 > 가상머신(VM)은 컴퓨터 환경을 말 그대로 가상화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이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VM은 서버, Host OS, Hypervisor 위에 올라가게 되고, 각 VM은 OS, 드라이버, 메모리 등 컴퓨터 환경이 구성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갖추게 된다. > VM을 사용하면 서버 한 대 안에서도 여러 개의 OS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그만큼 서버의 공간을 효율적
가상화 입문 - 에뮬레이션, 가상머신, 컨테이너
가상화의 정의 위키백과에서는 '가상화'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가상화(假像化, virtualization)는 컴퓨터에서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물리적인 컴퓨터 리소스의 특징을 다른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최종 사용자들이 리소스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부터 감추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설명을 보고 가상화가 뭔지 곧바로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다른 예를 통해 살펴보자. 컴퓨터에 '가상'이라는 말이 쓰이는 곳이 하나 더 있다. 바로 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이다.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운영체제는 메모리에 저장할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한다. 그러나 응용 프로그램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고 있다고 생각한다. 메모리가 부족할 때 메모리 대신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는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에게 제공되는 공간이 물리적으로 실제 메모리인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