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3

😉블록체인 부트캠프 지원 후기 !
안녕하세요! 2023년 블록체인 부트캠프 지원 후기를 시작합니다! 저는 2가지의 블록체인 부트캠프에 지원을 하였습니다.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부트캠프 9기, TECHIT 블록체인 스쿨 3기 2곳의 지원한 후기가 궁금하다면? 놀러오세요!
XREAL 메타버스 학회 후기
XREAL 은 내가 작년 이맘때쯤에 들어갔던 메타버스 학회이다. 처음에는, 그저 게임, 만화 등의 콘텐츠에 관심이 많아서 이러한 콘텐츠를 개발을 통해 구현할 기회가 많을 것 같아서 들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그때는 내가 이 학회에 이렇게 진심이 될줄은 몰랐다. 일단 얻

2022년 마무리, 2023년 시작
안녕하세요, 블로그에 글을 올린지도 시간이 꽤 지났습니다. 작년 회고 후에 글을 하나도 올리지 못했는데요, 지난 1년 동안 있었던 일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ethernaut] Gatekeeper Three
이 문제는 Gatekeeper One, Two 처럼 3개의 modifier를 통과하면 풀리는 문제이다. 접근 방식 문제에 의도를 처음 부터 알려주고 시작하기 때문에 modifier를 하나 씩 분석 해보자.
엔에프.. 뭐? 엔에프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이 토큰이 나의 것이다' 라는 것을 기록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내 것'이라는 것을 열심히 기록했는데 똑같은 것이 여러개면 의미가 없겠죠? NFT는 다른 암호화폐(이더, 비트 등등)과 다르게 Non-fungible(대체 불가능)한 토큰입니다.

Web3 - Library
이더리움 노드들은 JSON-RPC방식을 통해 서로 소통한다.JSON-RPC방식은 사람이 읽기 어렵다.이러한 문제를 web3.js가 해결하며 web3.js를 통해 자바스크립트 interface로 우리는 이더리움 노드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Web3.js에서 Web3 pr
프론트엔드의 Web3 에러 핸들링
이더리움과 연결된 프론트엔드 사이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에러종류는 아래와 같다.JSON-RPCProviderEVM지갑을 통해서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애초에 Provider 및 JSON-

rawTransaction 보내기 [TIL / 이더리움]
Infura가 제공하는 provider를 이용하여 이더리움 클라이언트에 원격으로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를 요청해봤다. 이는 web3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쉽게 가능하다. 하지만 Infura에서는 sendTransaction이라는 메소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덕분에 htt
Ethereum 트랜잭션 수수료 계산
트랜잭션 수수료에 관한 정리Tx Fee = Gas Used(Used by txn) \* Gas PriceGas Used는 Contract.methods.methodName.estimateGas 를 통해 추정 가능하다.단, 추정일뿐 실제 사용량이랑은 차이가 있다, 아래

web3의 provider가 무엇인가(feat. EIP-1193)? [TIL / 이더리움]
항상 블록체인 관련 개발은 기존의 웹개발과 다르다는 생각을 하며 접근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에도 스마트컨트랙트와 디앱을 연결하면서 맞딱뜨린 개념, Provider가 있었다. Provider가 있어야만 비로서 작동하는 디앱과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연결시켜 상호작용
[스마트 컨트랙트] 4. Web3, Web3js
Web1은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이었다.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읽기(Read)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Information Economy라고도 불렸다.AJAX의 등장으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단순히 정보를 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와

Smart Contract for Token Swap #5 Node js - web3 모듈로 contract 호출하기 (마지막 편)
🎊 최종목표: nodejs의 Web3 라이브러리를 통해 smart contract를 써보자! 🎉
Project #3 - JMT(메이플스토리st 웹3 NFT게임) 회고
🚩 팀명 : JMT(Joyful Maplystory NFT) 📆 프로젝트 기간 (8/31~9/29) 📃 프로젝트 소개 이 프로젝트는 ERC20, ERC721, ERC1155를 모두 활용하고 메이플스토리st를 적용한 Web3 기반 게임 개발이다. 메이플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