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en

3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리눅스 커널 내부구조 부록 #A, Xen 가상화 사용법 (Ubuntu, Windows 10 설치)

 앞 장의 글을 읽고 설치를 따라했다면 grub 부트로더가 Xen 으로 부팅을 잡아준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부트로더가 제대로 Xen 을 잡아줬다는 뜻이다. 필자는 맨 위의 Fedora, with Xen 4.15.2 and Linux 5.16.16-200.fc35.x86_64 로 부팅했다. 1. 명령어 테스트 컴퓨터가 실행되면 터미널에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Xen 이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https://images.velog.io/images/mythos/post/2df266ea-bc41-42b5-9698-570a85d7a09b/%EC%8A%A4%ED%81%AC%EB%A6%B0%EC%83%B7,%202022-03-24%2010-05-0

2022년 3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커널 내부구조 부록 #A, Xen 설치

 이유는 모르겠으나 Xen 을 설치하는 것만으론 Xen 가상화 시스템을 통한 부팅이 이뤄지지 않는다. 설치 이후에 몇 가지 설정을 더 잡아줘야 정상적으로 부팅이 가능하다. 그 방법을 아래에 기술하려 한다.  필자는 UEFI, x86-64, Fedora 35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고 위 시스템에서 설치를 진행하려 한다. 독자마다 설치 방법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 1. Xen 다운로드 https://xenproject.org/downloads/xen-project-archives/xen-project-4-16-series/ 위 페이지에 들어가면 자세히 설치 방법이 나온다. 필자가 사용하는 Fedora Linux 35 (Workstation Edition) 의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https://images.velog.io/images/mythos/post/1807e498-81da

2022년 3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커널 내부구조 부록 #A, 가상화(Virtualization)란

1. 가상화(Virtualization) 란?   가상화는 물리적인 자원과 사용자가 사용하는 자원을 분리하는 것이다. 가상화는 물리적인 자원과 논리적인 자원을 구분하며, 이를 위해 가상화 층(virtualization layer)을 도입한다. 이 층은 실제 물리적인 자원의 복잡함을 숨기고 단일하며 일관된 가상 자원들을 제공한다. 2. 가상화의 장점 1. 이용률(Utilization) 증대  가상화는 서버의 이용률을 높이고 관리 부하(느낌상 load balancing 에 도움이 된다는 뜻으로 해석됨)를 줄일 수 있다. 가상화는 다양한 응용들과 시스템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consolidation)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률이 증가하며, 가상화 층에서 통합 관리가 가능하므로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고립(isolation)  가상화는 각 사용자의 수행 환경을 다른 환경들로부터 고립(`iso

2022년 3월 14일
·
2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