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ile

"함께 자라기 - 애자일로 가는 길 (p1~p41)" 을 읽고
기술 습득을 위한 목적이 아닌 책을 읽는 것은 거의 몇 년 만인 것 같고 읽은 소감을 글로 남기는 것은 고등학생 이후로 처음인 것 같다. 하지만 근 2달 동안 자소서를 위해 글을 작성하는 시간이 하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개발자라고 개발만 해서는 안된다고도

Rule of Extreme Programming(XP)
그동안 내가 팀원분들과 꽤나 애자일스럽게 일을 해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http://www.extremeprogramming.org/rules.htmlhttp://www.extremeprogramming.org/map/project.htmlPlan

Second edition of Extreme Programming(XP 2nd Edition)
Agile Alliance, extremeprogramming.org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https://www.agilealliance.org/glossary/xp/http://www.extremeprogramming.org/https&#x
SK shieldus rookies 16기 특강내용 정리
SK shieldus rookies 10월 23일 특강내용 정리SK shieldus에서 진행하는 클라우드기반 스마트융합보안 과정 첫날의 특강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특강은 오전에 DT특강, 오후에는 애자일 특강으로 진행되었습니다.오전에는 AWS에서 현업으로 일하

[클린 소프트웨어] chapter 11. 의존 관계 역전 원칙 (DIP), chapter 12.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SP)
클린 소프트웨어의 CHAPTER 11, 12 에 대해 정리한 글

[클린 소프트웨어] chapter 8. 단일 책임 원칙(SRP), chapter 9. 개방 폐쇄 원칙(OCP)
클린 소프트웨어의 CHAPTER 8, 9에 대해 정리한 글

프로젝트 협업에 대한 고민
저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했던 고민과 공부했던 이론 그리고 해당 이론을 적용하는데 사용한 툴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나를 포함해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인원들 모두 취준생 아니면 학생 이였기 때문에 협업에 능숙한 사람은 없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번 기회가
[Agile] Pair Programming
오늘 처음 Pair Programming이라는 것을 해봤다.평소 맨날 혼자만 해오다가 한 컴퓨터로 동료와 같이 하려고 하니 어려웠고 많이 낯설었다. 하지만 내가 놓치는 부분을 동료가 잡아줄 때도 있고 동료가 놓치는 부분을 내가 잡아 줄 때도 있어서 좋았고 동료에게 나의

깃허브 프로젝트 세팅
깃허브 깃허브를 자주 사용하는 입장에서 깃허브의 프로젝트 세팅을 어떻게 하는 것이 과연 좋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던졌었다. 하지만 자주 고민하는 것과는 별개로 지식이 부족하였고 이렇게 하는 것이 맞는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였었다. 하지만 여러 공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