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ile
소프트웨어 설계2 - 애자일과 SCRUM
애자일(Agile) 개발 방법론 애자일 방법론 날렵한, 재빠른이란 사전적 의미 특정 방법론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빠르고 낭비없이 제작하기 위해 고객과의 협업에 초점을 두고 소프트웨어 개발 중 설계 변경에 신속히 대응하여 요구사항 수용 가능 | 특징 | 짧은 릴리즈

TDD(Test-Driven-Development)에 대해
TDD란?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한다.

유데미 X 웅진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백엔드 3기 - 12주차 학습 일지_Design-Thinking
이번주부터 파이널 프로젝트 팀과 함께 모든 일정을 진행했다. 구성원들과 처음 이틀 동안 Design Thinking 강의를 들으며 애자일 방법론과 실습을 집약적으로 접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 날에는 공감 / 감정이입 / 동감 / 동의 네 가지 단어를 정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 날 가장 와닿았던 부분은 집단 내 위계가 의견 조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Waterfall vs Agile
WATERFALL : 전통적인 개발 방식 중 하나이다. 순차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으로도 불린다. 순차적인 흐름은 요구사항정의 -> 분석/설계 -> 구현 -> 테스트 -> 운영 순으로 이어지고 각 단계는 이전 단계가 완료된 후에만 진행되고 이전 단계로 역행할 수 없다
The Nature of Software Development를 읽고
ch05. 태스크 vs 스토리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커다란 피쳐를 태스크 단위로 쪼개는 것을 추천하지는 않는다.

데이터 조직이 일하는 방법: 칸반과 스크럼의 이해
TLDR: "애자일 선언문"과 "애자일 선언 이면의 원칙"을 통해 애자일이 추구하는 가치와 원칙을 공유합니다. 애자일의 대표적인 프레임워크인 스크럼과 칸반이 어떤 가치와 원칙을 통해 애자일을 추구하며 일하는지 알아봅니다. 마지막으로 스크럼과 칸반의 이론적 경험적 차이

(애자일 위주의) Agile vs Waterfall
애자일이 무엇인가? Agile Manifesto (애자일 선언서)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를 조기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고객을 만족시키는 것 이 개념을 적용하면 프로세스의 민첩성을 높이고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음 고객은 '지불하는 가치'를 더 자주 얻을 수 있기 때문

Agile을 따른 개발 협업 경험 요약
[Agile] 협업 개발 프로세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구성으로 협업에 따른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 같다. 위에서 본인이 경험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간단히 요약하겠다. 1. JIRA를 활용한 협업 현재 근무하는 곳에서는 Jira를 사용하고 있었다. 주로 프론트

애자일 방법론
✍️ 첫번째 회사 입사 후 제일 처음으로 했던 프로젝트를 하면서 알게 된 방법론이다. 당시에 수정을 정말 정말 정말 많이 하였는데, 그 당시 도대체 애자일이 뭐길래! 속으로 한탄 했던게 생각이 난다. 그 때 기억을 회상하며 애자일 방법론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업무 방법론] Agile과 Water fall
과거의 회사에서는 단순히 맡은 바 일만 잘하는 것이 능사인 때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많은 회사들이 능동적인 업무 스타일을 원하는 쪽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는데, 대표적인 업무 방법론인 워터폴 방식이 에자일로 변화하는 최근의 분위기는 회사가 원하는 직원의 상이 변화하는

Agile
목적을 달성하고, 성과를 최대화하는 방법 관계자는 목적 달성을 위해 서로 협력한다. 이용자나 관계자의 피드백을 들어가며, 계획을 조정한다. 한번에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만든다. 실제로 만든 것이, 원래 요구와 맞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Agile 방법론 개요-2 Waterfall Model
이 전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은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이 대중적이었다. 이 모델은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모델이다. 이때, 앞의 단계가 끝나야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요구사항이 모두 정의되고, 이를 바탕으로

Agile 방법론 개요(1) Plan vs Value driven
개발 프로젝트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Plan DrivenValue Driven자세한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 용어 정리를 하고 넘어가겠다.Output: 프로젝트가 끝난 뒤 나오는 Product를 의미한다.Outcome: Output을 가지고 고객이 얻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