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ple silicon

26개의 포스트

Mac Command Summary

업로드중.. Mac OS 명령어를 정리해 본다. mac의 패키지매니저인 homebrew가 있는데, gui app설치용 매니저는 따로 있다. cask라고, 이 명령어 사용 방법이 변경되었는데 아래와 같다. cask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 가능

2023년 8월 12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dis] Spring Boot 연동

프로젝트에서 Redis로 message server 구성했다는 말을 듣고 재밌는게 생각나서 이어서 글을 써봐요. 어떤 것을 하려고 하는지는 아직 비밀이고 일단 Spring framework쪽에 Redis를 붙여봅시다. 저는 Spring boot로 기본적인 jdbc나 mybatis같은 설정을 잡아둔 템플릿같은 프로젝트를 돌려서 사용해요. 이런거 할 때마다 라이브러리 찾아오고 application container 설정잡고 bean 만들고.. 테스트한다고 postman 켜고 하는것도 지겨워서 swagger 같은것도 붙여놨고.. 하여튼 이번에도 돌려서 사용할게요. 1. Redis 서버 연결 하고 싶은게 Oracle을 사용해야해서 미리 연결해뒀고, `spring.ca

2023년 7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dis] Mac 설치

실무프로젝트에서 redis를 message server로 쓰고 있다길래 개인적으로 재밌는게 생각나서 이것저것 해보려고 설치해봤어요. Windows에서는 Docker에 설치했는데 Docker는 정말 좋아요.(고래가 귀여운건가) Mac에다가도 Docker에 설치하고싶었는데 .. 그냥 brew로 설치했어요(이유는 음.. 없네요). 설치는 매우 간단하고 5분? 정도 걸렸습니다. 1. 설치하기 2. 실행 백그라운드에서 서버로 돌고있을거라서 Mac에서 암호를 계속 요구합니다. 왜일까요 ?

2023년 7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Unit5] 단위테스트 생성하기(토비의 스프링)

토비의 스프링 공부중에 2장 테스트에서 JUnit을 사용해서 단위테스트를 하길래 개인적으로 정리해봅니다. 토비의 스프링에서는 테스트 도구로 이런것들이 있다 정도로만 사용하는데, 깊게 공부하려면 테스트 코드 작성개발보다는 테스트 모델을 설계하는 관점에서 해야할 것 같습니다. 1. 라이브러리 추가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junit.jupiter/junit-jupiter-engine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junit.jupiter/junit-jupiter-params 2. Test Class 생성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직접 작성해도 되지만 IDE에서 대부분 자동생성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IDE의 도움을 받겠습니다. 저는 Intellij 기준입니다. 보통 이름은 테스트 클래스명 + Test로 생성합니다 (ex. Hamburger.java -> Ha

2023년 7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Beaver] Docker에 설치한 오라클에 연결하기

이전 글에서 Apple silicon에 Docker를 이용하여 Oracle설치를 했습니다. 이번에는 DB Tools을 이용하여 local Docker에 설치한 Oracle을 연결해보겠습니다. 저는 실무에서 Orange를 썼었는데 DBeaver가 무료이기도 하고 Orange 만큼 성능을 내주는 것 같아서 로컬에서는 DBeaver를 사용하고있습니다.(사실 아직까지는 Orange가 더 좋은것 같아요..) 1. DBeaver 설치 > DBeaver(Community) 다운로드 https://dbeaver.io/download/ 사용하시는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하셔서 설치하시면됩니다 2. DBeaver 실행 실행 후 왼쪽상단 콘센트를 누르면 DB Conne

2023년 7월 23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ocker] Mac + Docker + Oracle 설치

처음에 Docker에 Oracle을 Windows와 똑같은 방법으로 설치했는데.. 접속하려고 system / oracle로 로그인하는데 오류가 났습니다. 처음에는 Oracle Error에만 집중해서 전에 Docker에 설치한게 충돌났나 찾다가.. Linux-x86_64 Error를 찾아보니 Apple silicon에서는 colima를 사용해서 설치해야한다고 합니다. 1. colima 설치 한 .. 5분정도 ?? 걸립니다. 2. Docker 설치 🐳 Docker 고래는 언제봐도 귀여운것 같아요. 3. colima 실행(x86_64환경) 4. Docker에 Oracle 설치

2023년 7월 23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 M1 Mac MySQL Homebrew 없이 설치 Error: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tmp/mysql.sock' (2)

에러발생! MySQL을 설치했는데 도저히 실행할 수가 없다..! .. 등등 다 실행하려고 하면 제대로 되지 않거나 Error: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tmp/mysql.sock' (2) 이렇게 에러 메시지만 계속 발생했다. 구글링 구글에 검색하니 여러 해결책이 나왔다. > brew uninstall mysql brew install mysql (아니면) brew reinstall mysql 이렇게 홈브루로 재설치를 하면 괜찮다는 글도 있었고 그래도 안되면 재부팅 하라고도 했고 하지만 진짜 하나도 안됐음... 해결책 그래서 생각해 본 결과, 모든 해결책 포스팅은 홈브루 설치버전에서만 존재했음. 그래서 든 생각은, 홈브루 버전 말고 공홈에서 한 번 설치해보자!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렇게 하니 해결되었음. 일단, 홈브루로 받은 MySQL을 깔끔

2023년 7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pple Silicon(M1, M2)에서 NVM에서 node 특정 버전이 설치 되지 않는 이슈 대응하기

M1에서 NVM에서 node 특정 버전이 설치가 안됨 Apple Silicon(M1,M2등)에서 NVM을 사용하다보면 Node14버전이나 특정 버전들이 설치가 되지 않으면서 아래의 메시지가와 함께 무한에 가까운 수준으로 터미널에 텍스트가 출력되게 된다. Homebrew로 NVM 설치 및 기본 세팅 이러한 CPU 관련 문제는 대부분 해결하는 방법이 비슷하다. 바로 Rosetta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차례대로 homebrew를 통해 nvm을 설치하고 Rosetta를 적용하는 방법을 서술하려고 한다. 이렇게 세팅하고 nvm install v14.21.3을 설치 명령어를 실행 해보면 아래와 같은 문구와 함께 엄청난 텍스트가 무한반복되며 출력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터미널을 Rosetta를 사용하여야 한다.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 ![](https://velog.velcdn.com/images/jakob1/post/

2023년 6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애플 실리콘용 KDE Connect 빌드하기

Ecosystem? Android 스마트폰(Galaxy S23)과 MacBook Air라는 변태같은 기기 조합을 사용중인 필자는 어떤 생태계의 이점도 볼 수 없는 상황이다. Ecosystem은 커녕 간단한 파일 하나 넘기기도 벅차니 말이다. 불평해서 뭐하겠는가. 내가 길을 찾아야지. 이러한 상황을 위해 KDE에서 개발한 연동성 앱이 존재한다. 이름하야 KDE Connect. 다만 태생이 KDE용 앱인만큼 macOS는 nightly build로만, 그마저도 x86_64 바이너리만 제공할 뿐이다. 필자는 Rosetta 2 알레르기가 있어서 선택할 수 없는 옵션이었다. 인터넷 어딘가에는 답이 있을거라며 해맨지 몇 시간,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reddit 포스트](https://www.red

2023년 4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LibTorch] M2 Mac에서 LibTorch 사용하기

빠른 요약 - 공홈에서 다운받지 말고 직접 빌드하자 Pytorch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LibTorch 라이브러리 2.0.0 버전을 다운받아 LibTorch를 사용하고자 시도하였다. https://pytorch.org/get-started/locally/ [ ](https://pytorch.org/get-started/locally/) 다운받은 zip 압축파일을 풀고 나온 libtorch 폴더를 적당한 곳에 위치시키자. 그리고 파이토치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LibTorch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파이토치 공식 문서가 설명하는대로 바이너리 파일을 빌드하고자 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아래 코드는 전부 파이토치 공식 문서에 있는 것들을 수정한 것이다. https://pytorch.org/cp

2023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1 Part 15 [torch 2.0] "the kernel appears to have died. it will restart automatically"

썸네일 이미지 출처 INTRO 가끔 jupyter notebook에서 간단하게 이것저것 코딩을 할 때가 있다. 최근에 Pytorch 2.0 (Stable)과 Lightning 2.0이 동시에 같은 날에 런칭했다. 그래서 필자는 conda 가상환경을 싹 다 밀어버리고 최근에 다 다시 설치를 진행했다. 그 이후에 평화롭게 가끔 M1에서 코딩을 하고 있던 어느 날... 다음과 같은 팝업 메세지와 마주하게 되면서 커널이 죽고 다시 시작되는 현상을 겪게 된다. "the kernel appears to have died. it will restart automatically" 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고 그에 따른 방법들이 있다. 통상적으로는 RAM과 관련된 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내가 이 포스트를 쓰는 목적은 만에 하나 다른 특이한 경우의 수가 있기 때문에 공유하려

2023년 3월 24일
·
1개의 댓글
·

[RN-CheatSheet] React-Native M1 디바이스 환경설정

M1 이 나온지 얼마 안됐을때는 호환되는 프로그램들이 많지 않아서 Intel 맥용으로 빌드된 프로그램을 Rosetta2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실행해야 했다. 흔히 보이는 CLI 환경에서 명령어를 실행할때 붙이는 arch -x86_64 some-program 이것인데 엄밀히 말하면 m1 아키텍쳐가 나온지 거의 2년이 되어는 현 시점에서는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RN 환경설정을 하는데에는 더이상 필요가 없는 명령어이다. (오히려 꼬이면서 입문자들을 혼란에 빠트린다.) homebrew, ruby/gem, cocoapods 를 Intel 맥용으로 잘못 설치 혹은 사용하게 되면, 이는 이후 연관된 모든 명령어들에 arch -x86_64 를 붙여 실행해야 하도록 만든다. 이런 이유때문에, 아키텍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높지 않거나 어떤것을 설치했었는지 까먹는 경우 이런저런 케이스(ex: 프로그램 설치시 로컬에서 빌드를 하는 경우)에서

2022년 10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1. Macbook M1 Tensorflow 설치하기(for jupyter notebook)

정든 내 창업기업을 떠나보내면서 새로운 도전에 나선 첫걸음은 바로 ML 시작하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새로운 시작을 하기 위해 예전에 배웠던 텐서플로우를 설치하는 것부터 시작하였다. 새 시작을 위해 구매한 M1 Macbook Air는 아직 낯설기만 하다. Window에 길들여진지 너무 오래되어서 그런가.. 옛날에 분명 Ubuntu로 개발을 배우긴 했지만 그건 벌써 6~7년전 이야기라서 가물가물하다ㅎㅎ 컴공수업 듣던 시절에 개발환경 세팅했던 기억을 더듬어 각종 모듈과 프로그램을 pip install 로 다운로드하였다. 마지막으로 야심차게 을 했는데 이게 웬걸 jupyter notebook에서 import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루종일 뻘짓을 하던 도중 구세주가 등장하였다. https://webnautes.tistory.com/1639 바로 이 분이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Tensorflow 공식홈페이지보다 훨씬 낫다. 애플은 좀 까탈스러워서 설치과

2022년 7월 27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1 맥북에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로 게임 하기

들어가며 M1 맥북이 배터리, 성능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만족감이 높지만 아쉬운 지점을 굳이 찾으라면 블루스택이라든가 녹스라든가 하는 앱 플레이어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원래도 맥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었지만, 애플 실리콘으로 넘어오면서는 거의 포기하고 있습니다. 다만 게임이 목적이 아니라면 오히려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활용하는 건 더 좋아졌습니다. 인텔맥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돌린다는 건 고사양 게임을 돌리는 것과 같은 발열과 배터리 소모시간을 각오해야 하는 일이었지만, 이제는 맥북에어 같은 팬리스 환경에서도 가볍게 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서 게임을 돌리면 어떨까요? 그래서 방법을 찾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대부분 이미 설치가 되어 있으시리라 생각되지만, 아직 설치 전이라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합니다. 설치 방법은 총 세 가지가 있습니다. 홈브루 Homebrew 를 이용한

2022년 7월 7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ostgresql 설치

어쩌다 DB까지 공부하고 있다. 하긴 원래 나는 풀스택 과정을 밟은 신입이였지... DB를 공부하면 쿼리를 짜는데도 어느정도 익숙해지지 않을까 싶다. 지금 나를 괴롭히는건 수많은 테이블과 로그들이니까... 다 그만두고 싶다... 일단 개인적으로 postgresql에 대해 궁금했던 것은, postgresql이 RDBMS이면서, JSON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게 테이블 내에 JSON 타입을 저장할 수 있는 컬럼을 만들 수 있는 건지, 아니면 MongoDB처럼 저장을 하는건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궁금한 마음에, 직접 postgresql을 설치하여 부딪혀보기로 했다. 애플 실리콘 맥에선 어떻게 postgresql을 설치해야하는지 검색해봤다. EDB를 이용한 방법, postgres.app을 이용하는 방법, homebrew를 이용하는 방법, MacPorts, Fink... 등등 여러 방법이 있었다. 그 중에서 나는 그나마 친숙해보이는 homebrew를 이용해 설치

2022년 6월 20일
·
0개의 댓글
·

Mecab for Apple Silicon공개

금년 2월에 받은 m1에서 주 업무인 자연어 처리 모듈을 적용하기 위해 적용중 mecab이 aarch64 아키텍춰용으로 바이너리가 존재하지 않아 aarch64용 아키텍춰로 누가 포팅해 놓은게 없는가 뒤져 봤지만 없음 직접 코드를 내려 받아서 aarch64용 컴파일이 가능하게 환경을 수정하고 깃에 공유. 기존에 있는 설정 파일에서 aarch64용 설정이 없어서 최근 autoconf관련 코드를 가져와서 수정하여 컴파일 및 동작 확인 주요 수정 사항 config.sub 수정 aarch64용 내용 추가 config.guess 수정 aarch64용 내용 추가

2022년 3월 26일
·
0개의 댓글
·

[poetry] M1 mac에서의 cryptography 설치 오류

👉 발단 git으로부터 코드를 clone 해온 후 poetry를 이용해서 필요한 package 설치를 시도했다.() 인증 관련 코드여서 cryptography라는 package를 필요로 하는데 해당 package를 설치하는데에 있어서 계속해서 에러가 발생했다. 엄청 긴 에러문인데 결국 cryptography 설치가 안됐다는 얘기. 👉 문제 발생 이유 에러문을 읽어보니 openssl을 이용해서 cryptography를 설치해야

2022년 3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1 mac flutter 아이폰 실기기에 빌드 M1 mac flutter ios build using a real iPhone device.

필자가 가진 기기들 사양과 Xcode version: M1 Macbook Pro, Iphone12 Pro, Xcode(13.2.1) flutter로 만든 앱을 iOS 실기기에 직접 빌드하고자 할 때, project -> Runner -> build setting -> User-Defined에서 VALID-ARCHS에 arm64를 추가해줘야 하는데 xcode 버전에 따라 이걸 설정하는 게 있는 게 있고, 없는 건 또 없어서 애를 먹은 경험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xcode 12까지는 옵션으로 선택 가능했던 걸로 알고, Xcode 13부터는 옵션 선택이 없어져서 아래와 같은 플로우로 직접 추가해줘야 하는 걸로 압니다. Apple 개발자 계정 결제를 안 한 경우 일주일에 실기기에 빌드 딱 10번만 가능한 걸로 알구요, debug모드로 빌드시 usb연결을 해제하면 바로 앱이 막혀서 안열리니 release모드로 빌드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횟수 제한이 있으니 신중하게 진행

2022년 2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ocker] M1 mac 이미지 배포 오류

👉 발단 배포할 파일은 작성된 build.sh를 이용해서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고 registry에 올린 뒤 배포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이미지 생성과 push는 성공하나 배포에서 계속 문제가 발생했다. k9s에서 배포할 이미지로 값을 수정하면 pod가 만들어져야하는데, registry에 이미지가 존재함에도 실행이 불가하다는 에러가 계속 발생했다. 👉 문제 발생 이유 ✏️ 과정 찾아보니 **entrypoint.sh 파

2022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vm] clang: error: no such file or directory: 'CXX=c++'

1. nvm 설치 위 커맨드를 실행해 nvm을 설치하고, nvm --version 으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2. nvm 을 이용한 node 설치 M1칩을 쓰는 기기에서 15 미만의 버전을 설치하려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포함하며 설치가 실패한다. 3. 해결 위 커맨드를 실행한 후 다시 nvm install v14.16.0 을 이용해 설치를 시도할 경우 성공한다. v15 미만의 node 를 설치할 경우 Rosetta 2 를 이용해 설치해주어야 한다. 해당 커맨드는 셸을 Rosetta 2 하에서 시작하도록 한다. > 참고 https://github.com/nvm-sh/nvm/issues/2350#issuecomment-734132550

2021년 10월 2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