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ck chain

32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블록 체인 개론 #5

블록 체인 개론 암호 화폐 지갑 지갑의 개념에 앞서 어떻게 비트코인을 주고 받는지 알아보자. 사실 비트코인을 보낼때 아무것도 보내지 않는다. 내가 비트 코인을 소유한다는 것은 내가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니다. 비트코인은 네트워크 상에 영원히 존재한다. 즉 지갑에 비트코인을 넣는다는 개념이 애초에 잘못된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비트코인을 소유할 수 있는 것일까? 예를 들어서, 집을 산다고 했을 때 집의 주소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그 집 문서가 바뀐다. 즉 비트코인을 거래할때 A가 B에게 5개의 비트코인을 준다고 할 때 5개의 비트코인의 소유주의 이름을 B로 변경하는 것. 여기서 이름을 지갑으로 바꿔보자. 비트코인 지갑은 굉장히 긴 문자열이다. > 16faewiobng1egBASkbsakn2 : 비트코인 지갑 비트코인을 보낼 때도 받을 때도 지갑이 필요하다. 존재하지 않는 지갑에 보내거나 다른 사람에게 보내면 해당 비트코인은 나에게서 영영 사라지는것

2023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 체인 개론 #4

블록 체인 개론 NFT NFT - 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이란 의미이다. 예를 들어서 1달러 화폐와 1달러 화폐는 1 대 1 교환이 가능하다. Fungible 땅, 포켓몬 카드, 한정판 신발 등은 1 대 1 교환이 불가능하다. Non-Fungible 이더리움을 이용하면 블록체인 기반 나만의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이더리움 기반의 코인들을 보면 블록체인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코인을 발행해 화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토큰 발행 돈을 받으면 토큰을 보내준다. 라는 스마트 컨트랙을 작성하자. 예로 1ETH를 보내주면 100화니코인(토큰)을 보내준다. 만약 딱 한 개의 화니코인만을 발행하면, 그리고 그 토큰 안에 데이터 ( 포켓몬 카드, 작품, 땅 계약 문서 등등 ) 을 넣는다면? 그러면 사실 NFT 작품, 그림 등을 사는 것이 아니라 딱 1번만 발행되는 토큰을 사는 것이다. 그럼 왜

2023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 체인 개론 #3

블록 체인 개론 Smart Contract 스마트 컨트랙 덕분에 NFT, ICO (Initial Coin Offering), DEX(Decentralized EXchanges) 가 가능해졌다. 비트코인은 다른 사람들고 교류할 수 없다. 주고 받는 것만 가능하다. 하지만 스마트 컨트랙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고 코드로 소통할 수 있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DecenterlizedApp ( dApp )을 개발 할 수도 있다. 개발자가 코드를 실제 검증이 이뤄지는 체인에 올려 영원히 거기에 존재하고 수정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도 있다. 내가 만든 프로그램을 주인 없는 백엔드에 올리고 코드를 검증받고 실행한다는 점이 스마트 컨트랙의 큰 매력이다. 예시 은행 나만의 은행 계좌를 만들 수 있다. 돈을 저축한다. 시간이 흐른 후 나에게 돌려준다. 라는 내용을 스마트 컨트랙에 적어서 온체인 시키면, 시간이 흐른 뒤라는 조건이 성립되면 나에

2023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 개론 #2

블록체인 개론 작업증명 작업증명은 어떤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올라갈 수 있는가를 정하는 것이다. 전체 블록체인 시스템에 거짓말을 하지 않고 진실을 말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를 위해 작업증명이 필요한 것. 작업 증명을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다양한 크립토들이 사기꾼으로부터 블록체인을 보호하고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채굴자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채굴 채굴자의 일은 블록체인에 들어오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일이다. 채굴자가 데이터를 블록안에 넣어서 블록체인에 보내는 역할을한다. 예를들어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비트코인을 친구한테 보내면 그 거래내용은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채굴자가 거래내역을 보고 확인한 후에 친구에게 돈을 보낸 모든 내용을 확인한다. 내용의 검증이 끝나면 데이터를 블록에 넣고, 꽉 차면 블록을 닫고 온체인시킨다. 채굴자들덕분에 블록체인에 올라가는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탈중앙화 방식으로 진행한다. 누구나 채굴자가 될 수 있고

2023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 개론 #1

블록체인 개론 정의 간단히 말하면 고유한 해시값을 기준으로 링크된 링크드 리스트의 집합. 링크드 리스트 각 원소는 노드라 불리고 그 노드는 previous block hash , current block hash, data, nonce 의 요소로 구성된다. 해시값은 아주 작은 부분의 변경도 전체 큰 부분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수정 불가능하며 일방향성이란 특성을 가지고있다. 각 노드들은 해시값을 기준으로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노드에서 위변조가 발생하면, 링크된 노드들의 해시값들을 모두 변경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아주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짧게 다시 정리하면 블록체인은 신뢰할 수 있는 분산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다.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특성때문에 Append Only라는 특성을 가진다. 서비스 수준의 신뢰성이 아니라 시스템 수준의 신뢰성이라

2023년 5월 8일
·
0개의 댓글
·

Project EWE

MainPage Responsible Web Pagination with Searchbar Login MyPage Donate in Sidebar NFTmint & NFTdetail P

2023년 1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블록체인 입문하기 - 개념 크게 묶어보기 ✨

서론 입문자를 위한 블록체인 개념 크게 묶어보기입니다. 이 포스트는 전체적으로 흐름을 훑기 위한 요약형 바로가기 모음에 가깝기 때문에 기술을 자세히 다루지는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목차별로 연결된 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블록체인(Blockchain) > 📌 자세한 내용은 [블록체인(Block Chain) - 블록체인(BlockChain)](https://velog.io/@devjeenie/%EB%B8%94%EB%A1%9D%EC%B2%B4%EC%9D%B8Block-Chain-%EC%8B%9C%EB%A6%

2022년 8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Block Chain) -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이미지 출처 > 이 포스트는 [케블리] #44. 합의 알고리즘 마스터하기 - 1편 (PoW, PoS), A Proof of Stake Design Philosophy, 이더리움 지분증명을 참조하여 요약한 글입니다. 1.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이란?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로, 시스템이 분산화 되어 있을 때 시스템 간의 특정 데이터에 대한 동일한 값을 유지하기 위해 고

2022년 8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이더리움(Ethereum) - 토큰 표준 ERC-20이란?

이 포스트는 ERC-20 토큰 설명과 ERC-20 , Ethereum/이더리움 - 스마트 컨트랙트로 토큰 발행하기 , [스마트 컨트랙트와 ERC-20 개발](https://velog.io/@yonaaaaaaa_a/%EC%8A%A4%EB%A7%88%ED%8A%B8-%EC%BB%A8%ED%8A%B8%EB%

2022년 8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Block Chain) - 암호화폐의 문제점과 단점

이 영상은 암호화폐의 단점? 개발자가 설명해드림!을 요약한 글입니다 서론 BTC 네트워크는 초당 5개 거래 처리 ETH 네트워크는 초당 30개 거래 처리 반면, VISA는 네트워크는 초당 2000개 거래 처리 1개의 비트코인 거래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는, 한달동안 한 가구가 쓰는 에너지 용량과 같다. 반면 같은 에너지로 VISA 네트워크는 60만개 처리가능. 전체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1년간 사용하는 에너지 총량은 체코의 국가 총 에너지 샤용량과 같다. 이런 상황에서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을 대체할 수 있을까? 암호화폐의 문제점을 알아보자. 1. Government Regulation Can the government regulate bitcoin? - 정보는 비트코인을 통제할 수 있는가?

2022년 8월 1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Block Chain) - 디파이(DeFi)

금융과 거래소의 중앙 / 탈중앙 > 이 포스트는 금융의 미래? '디파이(DeFi)'를 꼭 알아야하는 이유를 요약한 글입니다. > 디파이는 비트코인보다 더 혁신적일 수 있다. CeFi(Centralized Finance) : 중앙 집중식 금융 암호 화폐 산업에 있어, 현재의 금융 산업을 모방하는 방식. 예시: Binance, Coinbase, Celsius와 같은 대규모 거래소 DeFi(Decentralized Finance) : 탈중앙화 금융 암호 화폐 산업에 있어 중앙 통제 지점이 없는 거래소 네트워크 수수료만으로 운영되는 P2P 거래소 핵심은 이것이 탈중앙화된 금융 이라는 것. 그래서 중간 거래자나, 서드파티가 없다. 모든 거래는 `스마트 컨트랙(Smart Contra

2022년 8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Block Chain) - NFT

https://www.business2community.com/kr/nft > 게임 체인저. 예술가가 그들의 작품을 금전적으로 바로 보상받는 세상! NFT(Non Fungible Token) Non Fungible 대체 불가능 한 땅, 포켓몬 카드, 한정판 신발, 전세 계약 등. Fungiblility란? 대체 가능한. 1:1 대체가능한 것. e.g.) 1달러와 1달러. 대체가능 Token 이더리움 같은 블록체인은, 그들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나만의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 블록체인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화폐를 발행해서 맘대로 활용할 수 있다! 2. 어떻게 토큰을 발행하는가? 두가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 컨트랙이 만든 것. 1) 돈을 받으면 2) 토큰을 보내준다 > 간단예제 ) JN 코인을 만들자. JN Coin 컨트랙을 만든다 이더나 달러를 받으면, JN Coin을 보내준다 1 이더(ETH)

2022년 8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Block Chain) -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이미지 출처 : https://blockgeni.com/how-to-write-your-first-smart-contract/ > 이 포스트는 스마트 콘트랙트란 무엇인가요? , Why are "Smart Contracts" such a big deal? ,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 글 한 편으로 제대로 이해하기 , 스마트 컨트랙트란 무엇인가?를 요약해서 작성했습니다. 1. Smart Contract란? *제3의 인증기관 없이 개인 간 계약

2022년 8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Block Chain) - 트랜잭션(Transaction)

이 포스트는 블록체인에서의 거래 (Transaction)와 트랜잭션, UTXO, Ethereum/이더리움 - 스마트 컨트랙트로 토큰 발행하기, [트랜잭션 입력 (Transaction Input)

2022년 8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록체인 이해하기 [#1]

실행 계층 - Smart Contract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 특정 계약을 스스로 수립, 검증, 이행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토콜 스마트 컨트랙트 in ethereum : evm계열 account의 상태를 변경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이더리움 P2P 네트워크 상에 배포되어 블록체인 내에 상태정보로 존재 및 evm에서 작동되어 상태변이를 유발. 새로운 스마트 컨트렉트 생성, 컨트렉트 함수 실행, 이더 전송 중 하나로 실행되며 이 실행은 user account에서 발생된 트랜젝션이나 다른 컨트랙트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 Transaction Cost 이더리움에서는 무한반복 같은 악의전인 코드를 막고 데이터 무결성을 지키기 위해 트랜잭션 실행시 비용을 지급해야한다. 이 비용은 "가스"라고 하며 서명비용과 트

2022년 5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lockchain]Bitcoin mining step by step

Detailed mining process 비트코인의 분산화된 합의는 네트워크상의 노드들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아래의 프로세스에 따라 이루어진다. 모든 full node 가 각 거래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증 작업 증명(PoW)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이너들은 검증된 거래들을 새로운 블록에 추가한다. 모든 노드들이 새 블록을 검증한 후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모든 노드가 작업증명을 통해 연결한 체인들 중 가장 긴 체인을 선택한다. 위 네 과정을 자세히 보고, 이 과정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지 확인하자 1. 각 거래의 검증 자세한 검증 과정은 (https://en.bitcoin.it/wiki/Protocol_rules)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이중 몇가지를 가져온 내용이다. 1. 트랜잭션의 구문과 데이터 구조가 정확한지 확인 2. 코인 베이스 거래는 전송할 수 없음.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 보상

2021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lock Chain] KLAYswap: 탈중앙화 거버넌스의 도입 독후감

목적 클레이튼의 디파이 서비스인 클레이스왑 거버넌스 문서를 읽어보고 거버넌스 적용 및 파악을 위한 목적 내용 거버넌스의 기본 명제 KSP인플레이션(보상) 보다 더 많은 디플레이션(소각)을 통해 KSP의 가치상승으로 자생력을 강화한다. 가치상승이 없다면 원동력을 잃어가는것이다. 거버넌스는 가치상승을 위해 구축된 원칙과 체계 위에서 돌아간다. 클레이스왑 거버넌스의 도입 구성 KSP 가치 상

2021년 12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lock Chain and Bit Coin

블록체인 Light 정의 블록체인은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기술이다.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소규모 데이터들이 체인 형태로 무수히 연결된 블럭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 블록에는 해당 블록이 클라이언트(열람자)에게 발견되기 이전에 사용자들에게 전파되었던 모든 거래 내역이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P2P 방식으로 모든 사용자들에게 똑같이 전송되므로 거래 내역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누락시킬 수 없다. 블록은 발견된 날짜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들의 집합을 블록 체인이라고 한다. 목적 상호 간의 데이터 비교에 의한 데이터 위변조 변의 및 유효성 검사 전자화폐와의 차이 - 기술적 기존의 전자화폐는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고 있었지만, 블록

2021년 11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ardHat

dapp 개발을 위한 개발도구로써 HardHat을 선택하였다. HardHat은 Truffle과 유사한 Smart Contract개발 도구로써 이전엔 Builder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이 후 현재의 HardHat으로 변경되었다. Smart Contract 전문 개발 도구로써, Smart Contract작성, 컴파일, 테스트, 배포 등을 가능하게 해준다. HardHat은 Truffle과는 다르게 내부적으로 Ganache와 같은 가상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제공해줌으로써 단위 테스트를 실행할 때 Ganache가 필요하지 않다. <- 장점 HardHat을 이용한 Contract 작성과 Unit Test Hardhat 초기 설정 먼저 hardhat.config.js 을 통해 초기 설정을 진행

2021년 11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oken Economy

Token Economy란? 여러 전통적인 인터넷 기업을 생각해보면, 사용자들이 많아질수록, 기업의 수익은 높아지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은 없었다. 예를 들어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많이 작성하면, 네이버는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의 수를 늘리고,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이점을 얻을 수는 있을 것이다. 반면, 블로거들이 네이버로부터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없다. 토큰 이코노미는, 블록체인에서 사용하는 코인 또는 토큰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윤을 창출하면서도, 참여자들에게 보상을 주어 참여자들에게 특정 활동을 독려하는 경제 생태계다. Token? 토큰은 코인의 배경이 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여러 어플리케이션인

2021년 11월 1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