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inuous delivery
Terraform과 AWS CodeSeries 기반의 기본적인 CI/CDelivery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4/4)
이 글은 총 4개의 파트로 나뉘며 각 파트별 다루는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테스트 먼저, 앞서 생성한 git 저장소 sample-pipeline으로 가서 커밋한 해시를 tag로 생성하고 push 하자. git tag 생성 및 push CodeCommit에 tag 생성 확인 CodePipeline 트리거 확인 CI에 대한 CodeBuild 로그 ...
Terraform과 AWS CodeSeries 기반의 기본적인 CI/CDelivery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3/4)
이 글은 총 4개의 파트로 나뉘며 각 파트별 다루는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Terraform 작성 및 배포 다음으로 CI/CD 관련 aws 리소스들을 terraform으로 배포해보자. main.tf 작성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provider aws블록에서는 이 terraform 파일을 실행하여 다양한 aws 리소스들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IA...
Terraform과 AWS CodeSeries 기반의 기본적인 CI/CDelivery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2/4)
이 글은 총 4개의 파트로 나뉘며 각 파트별 다루는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소스 작성 로컬 PC에서 앞서 생성한 CodeCommit git 저장소를 clone하고 아래처럼 워크로드 샘플 코드, k8s 매니페스트들, CI 작업 명세서, CD 작업 명세서를 작성하자. git clone fastapi 웹앱 작성 먼저, 간단한 fastapi 웹앱 코드를 ...
Terraform과 AWS CodeSeries 기반의 기본적인 CI/CDelivery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1/4)
이 글은 총 4개의 파트로 나뉘며 각 파트별 다루는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개요 AWS EKS 위에 배포할 워크로드에 대한 CI/CD pipeline을 AWS 리소스로 만들어보자. 특히, 여기서 사용하는 AWS 리소스들의 배포는 Terraform을 사용해보자. 시나리오 Source는 CodeCommit을 사용. CI는 CodeBuild를 사용. ...

깃랩(Gitlab) CI/CD 튜토리얼
깃랩(Gitlab)은 온프레미스 설치형 깃 호스팅으로 유명하고, 깃헙처럼 웹서비스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깃헙이 선점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지라 만년 2인자 자리를 지키고 있죠. 깃랩의 장점이라면 CI/CD가 잘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설치형이 아니라도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