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 domain
Cloudfront 배포 이후 jwt 쿠키가 사라지는 문제
로컬 환경은 CORS처리가 이미 완료되어 있고, 프론트 3000포트와 백 5005 포트가 통신이 잘 된다. 언제나 그렇듯, 로컬 환경은 잘 되기 마련이다. JWT + OAuth를 활용하여 인증 / 인가를 구현한 상황이었고, JWT 관련 토큰들은 "쿠키" 형태로 저장되고
Cross Domain 회피
For WindowsClose all open windows2.관리자 권한으로 Chrome Icon property(속성) 입력\--args\--disable-web-security\--user-data-dirFor Mac

Cross-domain 환경에서 oauth를 통한 access-token 쿠키 등록하기
Cross-domain 환경에서 cookie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oauth 인증 서버를 거쳐 cookie를 등록할때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법
크로스 도메인이란(Cross Domain)?
크로스도메인(Cross Domain) 서로 다른 도메인간의 호출을 말한다 웹 사이트 개발시 주요한 이슈 중 하나인 크로스 도메인(Cross Domain)이 있다. 웹 브라우저 Javascript(JQuery)를 이용하여 AJAX 등을 통해서 다른 도메인의 서버의
지긋지긋한 CORS 파헤쳐보자
CORS (Cross Domain)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ajax나 XMLHttpRequest를 사용하다보면 CORS 에러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할때마다 설정 방법이나 우회 방법을 항상 찾다보니 매번 고생하는거 같아 정리해봅니다. CORS 란?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보안상의 이유로, 브라...

XMLHttpRequest로 Cross Domain Cookie값 읽어오기
사연 Next.js + React.js (프론트엔드) 쪽에서 Express.js (백엔드 API서버) 쪽으로 JWT 쿠키값을 요청하는 과정중 Express.js 서버와 Next.js + React.js가 서로 다른 포트(port)위에서 실행되고 있다보니 Cross Domain 에 걸려서 여러가지 셋팅을 해야했다. 1. header값에 Access-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