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a taxonomy
총 1개의 포스트

[Amplitude] Data Taxonomy
1. 사용자의 모든 행동을 분석하려고 하지 마라. 보통의 회사들은 회원가입 전환율 주문 전환율 등 다른 지표들 과 같은 지표들을 한 번에 모두 분석하려고 하는데, 제품의 핵심적인 가치(행동)에 관련된 지표(KPI)를 설정해야 한다. 어떤 이벤트를 트래킹할 지 정하기 전에 우리가 트래킹하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우선순위 설정)이 좋다. 단순히 궁금해서 데이터를 보려고 하지 마라. 데이터를 보려고 하면 그에 해당하는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목적(분석의도)이 있어야 한다. 분석의도가 명확하면 어떤 이벤트를 어떻게 수집해야할 지가 명확해진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는 숫자(Data)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행 가능한 전략(Action)으로 도출되어야 한다. 2. 어떤 지표를 측정해야할 지 모르는 경우 대화식으로 정리하자. 예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어떤 수단(이메일/네이버/카카오)으로 회원 가입
2022년 3월 5일
·
0개의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