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splay

CSS | 레이아웃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는 CSS는 여러가지가 있다. HTML은 순서대로 페이지에 그려지는 반면 CSS는 위치에 상관없이 설정을 할 수 있다. 레이아웃은 구성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다. 배치하며 분할, 정렬 등 원하는 기준에 맞게 배치하여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다. 레이아

[html/css]position, display , float
position프로터티를 사용하면,html코드와 상관없이 위치하고 싶은곳에 요소를 위치할 수 있다.position:static일단 모든 태그들은 처음에 position: static 상태다. 차례대로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쌓입니다. (기본적으로 static이
.png?w=768)
TIL 04 | CSS Layout (position, display속성)
position 속성의 default값. position과 관련된 properties인 top,left,right,bottom등을 써도 기존 위치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position 관련 properties가 있을 경우 기존의 코드가 원래 자리에서 빠져나와,

[애니메이션 초기작업] 윈도우 창이 변할 때마다 Canvas 크기 새로 지정
2차원 비트맵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그릴 수 있는 HTML 요소패스, 도형, 글자 등을 그리고 이미지를 추가하는 다양한 함수들이 존재width와 height 속성만 존재 (default width: 150, height: 300)캔버스는 고정 크기의 드로잉 영역을 생성

TIL 08 [CSS] DISPLAY AND POSITIONING
1. Position static : 기본값 > relative : 원래 위치해야 할 자리에서 위아래 좌우 여백 설정 > absolute : 부모 요소 안의 모든 다른 요소들이 없는 것처럼 자리 설정. > fixed : 스크롤 해도 고정. >  <span>, <a>, <em>content의 크기만큼만 공간을 차지 하기 때문에 width와 height속성을 지정해도 무시된다.margin과 paddin

CSS | Display
display의 값 기본 값: block, inline, inline-block, none 이 외: list-item, table 등 전체 목록 링크 block 요소 대부분의 HTML element(이하 요소)가 해당 의미 이

[TIL] position, display, float
CSS position을 이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지정할 수 있는 프로퍼티로, 복잡한 레이아웃을 만들 때 사용한다. position 속성 값에는 여러가지로 사용할 수가 있다. 기본적으로 postion: static; 기본 값을 가지고 있고, 다음과 같이 속성 값을

Position & Display
처음 Web 개발을 시작했을때는 막연하게 내용을 넣고, 이미지를 넣고, 그 다음에 하나씩 위치를 옮겨주면서 꾸몄습니다.

[HTML / CSS] Display 속성
css를 통해 레이아웃을 컨트롤할 수 있는 Display 속성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block, inline, inline-block에 대해서 알아보자!block은 한줄의 영역을 모두 사용하는 박스형태이며, 기본적으로 width값이 100%이다. 그렇기 때문에

TIL 4 | CSS(layout)_1.position
나중에 지금까지 배운 HTML 과 CSS 를 한번정리해서 올릴 예정이다. 그전에 오늘은 css 에서 중요한 3가지 Property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Position > CSS position 속성은 문서상에 요소를 배치하는데에 사용한다. static - de

모바일 별 화면 사이즈 가져오는 법
MediaQuery.of(context).size 로 화면 사이즈 가져오기. -> 버튼의 크기나 기타 아이콘의 크기를 모바일 사이즈에 맡게 조정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