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ynamic route
next.js 다이나믹 라우팅
dynamic route(동적 라우팅) 만드는 법 폴더를 만들 때 폴더이름을 [폴더이름] 이렇게 만들면 '이 부분에 아무거나 입력했을 때' 라는 뜻이 됩니다. 예를 들어 /photo/[어쩌구]/page.tsx 이렇게 만들어놓으면 누가 /photo/아무문자 로 접속했을 때 page.tsx 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detail/[어쩌구]/page.tsx 이렇게 만들어놓으면 누가 /detail/아무문자 로 접속했을 때 page.tsx 를 보여줍니다. 그래서 이렇게 구성해놓으면 아까처럼 수많은 폴더를 직접 만들 필요가 없으니까 이거 쓰는게 낫겠죠? 그럼 이제 /detail/1 /detail/2 아무렇게나 접속해도 해당 page.tsx가 잘 뜹니다.

[Next.js] Next.js 프로젝트에서의 기본세팅과 라우팅
이번 블로깅에선 Next.js의 초기세팅에서부터 기본적인 페이지를 만드는 것을 해보려한다. 이 블로깅은 React문법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려 한다. 🙌 Next.js 프로젝트 생성 Next.js를 위한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가 나온다. 화살표 옆에 본인 프로젝트의 이름을 적으면 된다. 이번 연습 프로젝트는 test 라는 이름으로 하겠다. 그러고 나면 TS를 쓸건지 Router를 쓴건지 등등 물어보는데, 본인 프로젝트에 맞게 Yes/No를 입력해주면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기본 세팅이 완성된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된다. > np
[Next.js] Dynamic route
[ ] 폴더를 만든다. 예를 들어 _ /detail/[id]/pages.js _ 로 만들었을 경우, /detail/ 뒤에 아무렇게나 입력해도 해당 page.js를 보여준다. 이대로 끝내면 어느 것을 입력하든 동일한 page.js가 나올 것이다. /detail/(게시물의 id) 를 입력하면 해당 게시물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 동적 라우팅을 위한 조치는 다음과 같다. findOne()을 통해 보여줄 page를 특정한다. 특정 기준은 고유한 id로 설정하였다. Link를 이용하여 유저가 특정 게시물을 클릭했을 시, 해당 게시물의 id가 _ /detail/_ 뒤로 붙도록 한다.

네트워크교육 8일차(2022.01.11) - 정리
Dynamic route Dynamic Route 구성 Dynamic routing protocol 선정 directly connected network 확인 dynamic routing protocol 선정, 프로세스 동작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 할 network 정보를 선언 (directly connected network) 명령어 : Router> en Router# show ip route connected C network A C network B Router# conf t Router(config)# router [라우팅 프로토콜] (Rip,ospf ..) Router(config-Router)# network [networkA] = 다른 라우터들한테 Network A 전달해줘~ Router(config-Router)
Next.Js 정적 사이트 S3 + Cloudfront 배포와 Dynamic Route 설정
1. S3 버킷 생성 이름 적고 리전만 서울로 해서 기본값 생성 2. NextJS 빌드 3. S3에 올리기 빌드해서 생긴 out 폴더 통째로 1에서 만든 버킷에 올리기 aws cli 구성 되있으면 아니면 그냥 통째로 드래그 > S3 루트에 _next 폴더 있어야함 4. cloudfront 생성 원본 도메인 아까 만든 s3 선택 예, OAI 사용 선택 새 OAI 생성 누르고 예, 버킷정책업데이트 선택 나머지 기본값으로 하고 배포생성 5. lambda@Edge 생성 labmda 서비스에서 버지니아 북부 리전으로 변경 함수 생성 함수 이름 적고 런타임 node.js 최신 선택 6. 코드에 dynamic route 처리 함수 추가 >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096

Poke Docs 만들기 - Next router, Next dynamic route
Next router Next 에서는 routing 을 자체적으로 지원해주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react-router, react navigation을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pages/ 안에 파일을 만들면 그 파일 이름으로 path 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쉽게 routing service 를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최초로 사용하였던 Next 8에는 dynamic route 가 지원되지 않아서 custom 한 node server를 만든 뒤 각각에 맞게 pages 로 연결을 시켜줬어야 했는데 이제는 아주 쉽게 dynamic route 도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문서를 참고해주세요 >Next router useRouter Next 내에서 페이지 이동은 useRouter 훅을 이용하여 이동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 코드와 같이 useRouter 를 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