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

15개의 포스트

dsfsdaf

fsdafdsfadsfsafsdaf h \\ hjk

2023년 9월 18일
·
0개의 댓글
·

파이썬 공부

set() 함수는... 중복 제거할 때 쓸 수 있다.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다. {}를 활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add()로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dic() 함수는... (key,value)로 이루어져 있다. key는 불변값이다. 수정, 삭제, 추가가 가능하다.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다. dic[1] = '이' ==1을 이용해 '이'를 저장 sys.stdin.readline() 함수는... 빠른 input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sep() 함수는... ,sep = ' ' sort() 함수는... 기본값은 오름차순 정렬이다. 내림차순 정렬을 원할 때는 괄호 안에 Reverse = True 를 넣어주면 된다. sorted() 함수는... 마찬가지로 기본값은 오름차순 정렬이다. 내림차순 정렬을 원할 때는 괄호

2023년 6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309 TIL

자료구조 Array를 적용시키면 좋을 데이터의 예를 구체적으로 들어주세요. 구체적 예시와 함께 Array를 적용하면 좋은 이유, 그리고 Array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함께 설명해주세요. 어레이는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해서 인덱스를 사용한 빠른 검색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삽입/삭제는 비교적 느린 자료구조입니다. 어레이를 적용하기 좋은 대표적인 예는 주식차트가 있습니다. 주식차트는 날짜별로 주가가 저장되어야하지만 삽입이나 삭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어레이를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는 자료구조를 사용한다면 저장되어있는 자료를 빠르게 찾기가 어려워 효율적인 조회가 불가능합니다. Stack과 Queue의 실사용 예를 들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스택은 단방향 자료구조로 가장 늦게 저장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쓸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을 사용한 실례는 브라우저에서 뒤로가기, 문서 작업에서 ctrl

2023년 3월 8일
·
0개의 댓글
·

rf

ff

2023년 2월 21일
·
0개의 댓글
·

[230206 - TIL] Django - F() expressions

1. 개요 > F 표현식을 사용했을 때의 쿼리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 > F expressions F() 개체는 모델 필드의 값, 모델 필드의 변환된 값 또는 주석이 달린 열을 나타냅니다. 모델 필드 값을 참조하고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서 Python 메모리로 가져오지 않고도 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https://docs.djangoproject.com/en/4.1/ref/models/expressions/#f-expressions 2. 값을 수정할 경우 > Text 수정 일반적인 경우 할일의 타이틀 값을 가져와서 "쿼리테스트라니깐" 문구를 더하고 더한 값으로 수정한다(덮어씌우듯이). > **F expre

2023년 2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sdfasdf

sadfsadfsadfasdf

2022년 12월 3일
·
0개의 댓글
·

ORM cookbook 3

7. 서브쿼리 User와 1대1로 연결된 UserParent 모델에서, UserParent이면서 User인 object를 조회하는 쿼리 OuterRef를 이용하면 서브쿼리가 외부 쿼리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https://docs.djangoproject.com/en/4.0/ref/models/expressions/#referencing-columns-from-the-outer-queryset 가장 착한 Hero와 연결된 Category를 구하는 쿼리는 아래와 같다. 8. F expression: 필드의 값을 서로 비교 우선 테스트할 오브젝트를 생성하자 F expression은 필드와 필드를 추가적인 쿼리 수행 없이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annotate한 필드에 대해서도 F expression을 사용할 수 있다. Substr은 DB에서 str을 slici

2022년 5월 3일
·
0개의 댓글
·

Django F()

F 객체 > 데이터 베이스에서 python 메모리로 가져오지 않고 데이터 베이스 레벨에서 연산을 해준다. 1. 위 코드는 파이썬에서 불러오는 값을 참조해 +1 한 값으로 update 쿼리를 날린다. 2. F 객체를 사용하면 코드는 아래와 같고 쿼리문은 이와 같다. 주의할 점 >값을 변경하고 save()까지 호출헀지만, student의 값은 변경되지 않아서 실제 변경된 값을 알지 못하는 상태로 저장이 되어있다. >따라서 값을 가져올 때는 get() 메서드나 refreshfromdb() 메서드를 사용한다. > 아래를 보면 주의할 점이 보인다. jack.score 에는 기존 값에서 하나 증가시킨 값으로 변경하라는 표현식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다시 save()를 호출하면 한 번 더 값이 증가하게되어 예상하지 못했던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2022년 3월 16일
·
0개의 댓글
·

(java) printf 를 이용한 소수점 출력 포멧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표현 7자리에서는 반올림

2021년 12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ello!

hi hi hi hi > hello hello hi hi 🎶😉🤞😊 window+. > hihihi #한개는 == #두개는 -- hi hi hi 인라인 링크는 아래처럼 인라인 링크 url 링크는 아래처럼 참조 링크 velog velog2 끝

2021년 9월 13일
·
0개의 댓글
·

sdfasdfsadf

afasdfsda

2021년 6월 4일
·
8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기초

VS2019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과 C언어 기초다지기 링크텍스트 -출처 : 유투브 나도코딩 - C 언어 무료 강의 (입문부터 게임 개발까지)** #include int main(void) { // 정수형 변수의 대한 예제 /*int age = 12; printf("%d\n", age); age = 13; printf("%d\n", age);*/ // 실수형 변수에 대한 예제 /*float f = 46.5; printf("%.2f\n" ,f); double d = 4.428; printf("%.2lf\n", d);*/ // 상수의 대한 예제 //int YEAR = 1

2021년 3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장고 Q() & F() 이해하기

1. Q() 1-1. Q 사용 Q는 언제 사용할까? Q는 장고 model orm으로 where 절에 or문을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1) or 조건 2) and 조건 3) not 조건 1-2. Q 조건 연결 Q를 처음에 선언한 후, add 로 값을 추가할 때 처음 선언된 앞의 조건과 연결된다. 2. F() F()객체는 언제 사용할까? > 파이썬으로 메모리를 가져오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작업을 처리할 때 간단한 예제 2-1. F() 사용법 f()를 사용해서 표현한다면 아직 정리중,,,

2020년 9월 27일
·
1개의 댓글
·

sadsadasfef

sdafdafsfs

2020년 8월 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