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lse
2일차 스터디노트
2일차 복합연산자 연산 후 대입을 하는 연산자 (계산 후 계산한 값을 다시 데이터에 저장하는 것) 비교연산자 두 조건을 비교하는 연산자 결과는 항상 Bool이다. 논리연산자 결과가 True/False인지를 나타내는 연산자 조건식 IF 조건식 else = 조건식의

😁🛒[프로그래머스] 이모티콘 할인행사
카카오톡에서는 이모티콘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플러스 서비스 가입자 수를 늘리려고 합니다.이를 위해 카카오톡에서는 이모티콘 할인 행사를 하는데,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이모티콘 플러스 서비스 가입자를 최대한 늘리는 것.이모티콘 판매액을 최대한 늘리는 것.

🏛[프로그래머스] 기둥과 보 설치
본 풀이는 프로도님의 풀이를 해석하였음을 미리 밝힙니다.빙하가 깨지면서 스노우타운에 떠내려 온 "죠르디"는 인생 2막을 위해 주택 건축사업에 뛰어들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죠르디"는 기둥과 보를 이용하여 벽면 구조물을 자동으로 세우는 로봇을 개발할 계획인데, 그에 앞서
Front-end 국비지원 #029일
JavaScript Number 1-1 무한의 양수 값 > JavaScript > 결과 1-2 무한의 음수 값 > JavaScript > 결과 1-3 문자열 '문자' 연산 > JavaScript > 결과 문자열은 나눌 수 없다. (+, -, *, /
Truthy and Falsy
Truthy vs Falsy 이 주제 선정의 계기 조건부 렌더링으로 버튼을 조건에 따라 보여지고 안보여지고를 하다보니, 빈 객체({})일때에도 조건부 렌더링의 결과값이 true여서 이에 대해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제일 처음의 생각: 빈 문자열("")이 fal
falsy 값, 헷갈리는 true 값
false 0 (number) -0 (negative Number) 0(숫자)n BigInt(불리언으로 사용될 경우, 숫자와 같은 규칙을 따름. 0n은 거짓 같은 값) “” (string) false (boolean) null (비어있음) undefined (비어있음
false가 되는 6가지
빈 값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undefind는 변수 선언 시 아무것도 할당하지 않으면 javascript에서 자동 할당typeof(undefined) = undefined빈 값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undefined와의 차이는 의도!! \- null은 개발

TIL 04 l JavaScript
TIL 04 에서는 조건문에 대해 집중적으로 배우고 정리한다.boolean 데이터인 비교연산자과 논리연산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코드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요즘 날씨가 따뜻해지니 졸립다..🥱 오늘은 커피한잔 땡겨서 집중력 만땅으로 채워서 다시 시작해보자!! ☕️• 조건문

거짓인 값
오늘로 수업에서 두 번째 다루게 된 거짓인 값. 중요해보여서 가져왔다. 숫자 0''falsenullundefinedlet FALSE = 0, '', false, null, undefined이 다섯 가지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거짓으로 보는 값이다.주의할 점은 0이 '0'이면
자바스크립트 boolean
boolean에는 true와 false 두가지가 있다.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if문이 있다고 하자.if (abc) { console.log(true);}abc가 0, -0, ' ', null, undefined이면 true가 출력이 안되며\-1, 'morning', '

Chapter 07. True, False 그리고 if와 그 형제들
이번 글에선 true, false, if문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책에선 if를 중간에 설명하는데 처음에 배우는게 낫겠다 싶어서 if문을 먼저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if문의 바로 뒤에 있는 조건이 참일 경우 if문이 실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if문에는 세 가
isalpha & isdigit in python
알고리즘 공부를 하다 기가맥힌 함수를 하나 발견했다. 바로 어떠한 문자열에 대해서 그 문자열이 문자인지 숫자인지 True False로 리턴해주는 함수 isalpha()와 isdigit()이다.

[Javascript] 변수와 자료형
\-선언은 한번만❗️let myname;\-할당은 myname = 'Steve'; ➡️ 대입\-표현식(expression)에서는 변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변수를 이용해 값을 나타내고자 한다면\-결과물을 다시 변수로 담을 수 있다.let areaOfCirc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