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_service

4개의 포스트

쿠버네티스 - minikube

쿠버네티스 설치 macOS 기본 명령어 install Virtual Box kubectl 설치 클러스터 내 용량이 모자를때 > minikube start --driver=virtualbox 실행 후 > root 폴더에 생긴 .minikube 폴더를 goinfre로 심볼릭 링크하여준다. > 그럼 약 900메가 용량이 생김. > mv .minikube /goinfre/hekang/.minikube // goinfre로 옮긴 후 > ln -s /goinfre/hekang/.minikube .minikube // 심볼릭 링크 생성 kubectl 명령어 정리

2021년 4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3. API 호출

44BIT님의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API 호출 방법 원하는 상태(desired stats)를 다양한 오브젝트(objects)로 정의(spec)하고 API 서버에 yaml 형식으로 전달한다. 2. 쿠버네티스의 흐름 요약 image 위 그림은 지난 글에서 배운 ReplicaSet을 생성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데, 사실 이 과정이 쿠버네티트의 전부라고 봐도 된다. 이 과정 속에서 어떤 오브젝트가 있고, 어떤 스펙이 있는지, 그래서 띄우면 어떻게 되는지를 이해하면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3. 오브젝

2021년 2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2. 오브젝트 (Objects)

44BIT님의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쿠버네티스의 일반적인 구성 위 이미지처럼 쿠버네티스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포드(pod)를 그냥 띄우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Deployment를 먼저 생성을 하고, 그러면 Deployment가 ReplicaSet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럼 ReplicaSet가 pod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 오브젝트를 외부에 노출을 할 때는 Service(ClusterIP)를 하나 붙이고 거기에 Ingress를 붙인다. Ingress를 붙이면 NodePort와 LoadBalancer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즉, 실제로는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통해 접속을 하면, 로드밸런서를 거쳐서, 노드포트를 거쳐서, 클러스터IP를 거

2021년 2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1. 구성 및 설계

44BIT님의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쿠버네티스(kubernetes)? 쿠버네티스가 무엇인지, 그냥 컨테이너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는 공식 문서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에 잘 설명되어 있다.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어떤 느낌인지 이해한 바로는, 쿠버네티스는 기존 분산 시스템을 좀 더 탄력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유연성), 제공되는 프레임워크, 배포 패턴 등에서 서비스의 규모에 맞게 실행할 수 있도록 개발자의 선택지가 더 다양한 것 같다(선택권). 즉, 쿠버네티스는 사용자의 선택권과 유연성을 지켜주면서 확장과 이식이 용이한 컨테이너 관리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2021년 2월 16일
·
1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