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status
로컬 repository, 원격 repository
로컬 환경의 디렉토리(폴더)에서 로컬 git repository를 추가하면,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먼저 작업하는 디렉토리에서 git init 명령어를 통해 로컬 git repository를 생성한다.즉, 로컬 git repository에 내 코드

git status 실행시 브랜치가 master로 되있을 때.
내 깃허브의 default 는 'main'인데 자꾸 'master'로 현재 브랜치가 위치해있다고 해서 수정이 필요했다.git checkout -b 해당 브랜치명이렇게 했을 경우 해당 브랜치로 이동 가능하다.추가적으로 main에 push를 실행하려고 하자 아래와 같은 오

Git 사용법 (1)
위 사진을 예시로 간단하게 정리함기록을 남기고 싶을때 파일을 고르는것임 (Staging 했다 라고 표현함)ex) 스테이징했냐?ㅋㅋㅋrepository(저장소) 에 기록한(git add) 파일을 옮김현재 Staging 파일, 수정된 파일 등 상태정보를 알려줌commit

Git & GitHub | 작업완료 후 깃허브에 올리기
프로젝트 진행중...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코드를 완성했다. 내 로컬컴퓨터에서 라이브서버로 잘 작동되는 것도 확인했다. 이제 이 코드를 깃허브에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통상 작업완료 후 깃허브에 올리기까지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Git] Git 기본 용어 및 개념 요약
실제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디렉토리 공간을 지칭저장소에 commit 하기 전, 파일 상태를 기록(stage, 스테이징)하는 공간git add, git rm, git checkout 등으로 commit 하기 전 자유롭게 상태를 조정git status 명령어로 com

Git Work Flow
아직 추가 되지 않은 새로운 파일과 수정된 파일의 목록을 보여줍니다커밋을 준비하기 위해 파일을 stage 합니다stage한 내용을 커밋으로 영구히 저장합니다 이때 작업내용을 메세지로 적어 쉽게 어떤 작업을 해서 저장햇는지 보여줍니다.
[日本語/일본어 번역] GitHubの「.DS_Store」 ファイル概念と削除方法
.DS_Storeファイルとは 「Desktop Services Store」 の略字であり、appleにより定義されたファイルです。Macにアクセスするとき、自動的に発生するファイルとして、該当フォルダーに対して「metadata」を保存します。分析することで該当のdirectoryの大きさ、i

Git 사용법(1)
공통: github에서 repository 제공 주소를 복사.방법 1 : clone 명령어 ►git clone 주소방법 2 : remote 명령어►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주소에서 'origin'이름으로 원격지를 가져옴►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