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w=768)
파이썬을 이용한 구글시트 읽고 쓰기 | Google SpreadSheets API | JMON
파이썬을 이용해 구글시트 데이터를 API를 이용해 읽고 쓰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png?w=768)
Google Apps Script에서 Fetch 사용하기 | Get, Post | JMON
구글 앱스 스크립트에서 API 를 호출 할 수 있는 Fetch 에 대한 설명입니다
스프링 시큐리티로 구글 서비스 연동하기
스프링 시큐리티는 막강한 인증과 인가 기능을 가진 프레임워크 입니다. 사실상 스프링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보안을 위한 표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인터셉터, 필터 기반의 보안 기능을 구현하는 것보다 스프링 시큐리티를 통해 구현하는 것을 스프링 팀에서는 적극적으로 권장

구글 ID_Token 을 검증하며 알아보는 JWT(feat. Go)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서 서드파티 로그인을 구현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직접 로그인을 구현하기 귀찮아서일 수도 있고, 혹은 애플처럼 정책에 의해 구현해야할 경우도 있겠습니다.최근에 갠프에서 구글 로그인을 구현할 일이 생겨서 한번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구글 로그인을

Recovering Gmail Account Via Using Date Of Birth: Quick Guide
Google accounts are quite popular for their extremely unique in-mail services and extraordinary features especially the Android services.

Get started with the USB Accelerator
본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coral.ai/docs/accelerator/get-started/ 드디어.. 2개월에 걸쳐서 물건을 받았다. 관세 5만원은 덤이다.(30만원 이상은 관세가 붙는줄 몰랐다) 이제 하나씩 이 녀석을 파헤

React 구글(Google)로그인
1. Google Cloud Platform 클라이언트 ID 발급 구글 로그인을 하기에 앞서 console.cloud.google.com에서 클라이언트 ID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Google GCP]Professional Machine Learning Engineer Sample Questions 풀이
Professional Machine Learning Engineer Sample Questions 문제 풀이

TIL 65 | Google Map API + 스타일링
프라이탁 홈페이지를 클론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지도 API를 꼭 다뤄보고 싶어서 store 안내 페이지를 맡게 되었다. 프라이탁 페이지에서는 OSM Mapnik 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나는 이를 앞으로 더 자주 사용하게 될 구글맵으로 바꿔서 적용하기로 했다

[react-native] 안드로이드 APK(AAB) 파일 생성하기📱
Production test build 하기 전에 먼저 해당 프로젝트 에뮬레이터 또는 Android device에서 성공적으로 컴파일이 되고 실행이 되고 오류는 없는지 확인한 후 진행하여야 합니다. 1. key store 생성 Android 용 React Nativ
[TIL] 01. Google 홈페이지 클론 프로젝트 (4) - css #footer, Wrap-up
해당 프로젝트 관련 마지막 포스팅. #footer 설정 방식 및 전체적으로 느낀점을 정리했습니다.
[TIL] 01. Google 홈페이지 클론 프로젝트 (3) - css #navbar, #main
(2)에 이어, css를 이용한 #navbar 및 #main 스타일링을 진행했습니다.
[TIL] 01. Google 홈페이지 클론 프로젝트 (2) - html 및 css 전체 페이지
이전 글에 이어서, 본격적으로 프로젝트 작성 과정을 기록합니다. (1) 결과 화면, (2) 소스 코드, (3) 배운 점, (4) 질문 순으로 작성했습니다.
[TIL] 01. Google 홈페이지 클론 프로젝트 (1) - 들어가며
Why 클론 프로젝트? 위코드 12기 시작을 약 한 달 앞두고, 나는 매일 벽에 머리를 박는 기분이었다. Codecademy와 freeCodeCamp를 통해 개념 한 개씩 익히는 과정을 매일 반복했는데, 세상에 이렇게도 지루할 수가 없었다. 이미 다 구조가 짜여진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