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lt

Hilt Module을 object or class로 선언했을 때 차이점?
위의 코드를 보면 NetworkModule은 object로 정의되어 있다.class로 정의하여도 문제없이 잘 돌아가는데, 두 정의 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공식문서에는 이러한 문장이 있다.💡 In Kotlin, modules that only contain @Pro
[Android] Hilt 에서 provide와 bind의 차이
의존성 주입이란? 의존성 주입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의존성 주입은 클래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로, 객체가 필요로 하는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hilt hilt는 안드로이드에 제공되는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기 위
Dependency Injection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4-27-dependency-injection/DI(dependency injection):A클래스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B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있어야 함.이러한 경우 A클래스는 B클래

(2) 프로젝트 시작 + DataLayer 구조 잡기 + ViewModel 구조 잡기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기초가 되는 DataLayer와 ViewModel 구조를 작성했다.
Hilt를 이용한 DI(의존성 주입) 방법 (2)
gradle에 세팅이 끝났다면 설정을 진행해보자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다음을 따라해보길 바란다.먼저 Application을 상속받는 class를 하나 만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자.@HiltAndroidApp 이라는 어노테이션으로 나는 hilt를 쓸꺼에요~ 라고 선언
Hilt를 이용한 DI(의존성 주입) 방법 (1)
한국어로 '의존성 주입'이라는 뜻이다.외부에서 의존객체를 생성하여 넘겨준다고 생각하면 된다.의존성은 무엇일까?예를 들어 자동차를 만든다고 하자 자동차에는 달리기 위한 기능이 있으니 다음처럼 차를 만들었다하자하지만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얻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