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sight

13개의 포스트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종류

데이터 분석이란 지표 성장(e.g. 매출/체류시간)을 목표로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의 변화를 이끄는 것입니다.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는 인사이트는 총 4가지가 있습니다. | Types of Insights | Description | Example | | --- | --- | --- | | Observational | 현상, 환경, 또는 행동을 설명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인사이트 | - Insight: 유저들이 홈페이지에서 오래 체류- Action: 홈페이지를 더 탐색하기 좋은 형태로 개선 | | Comparative | 두 가지 서로 다른 시점/그룹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하는 인사이트 | - Insight: 오거닉 유저의 유입이 저번달 대비 이번달에 크게 감소- Action: 감소 원인을 찾아보자 | | Causal | 다른 요소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요소에 대한 인사이트 | - Insight: 프로모션을 조회하는 것은 유저로 하여금 핸드

2023년 8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ore Web Vitals

본 글은 요즘 IT의 Core Web Vitals에 관한 글을 읽고 정리한 내용이다. > 낮은 품질의 성능을 가진 웹사이트의 경우 사용자 경험을 악화시키고 이는 사용자 이탈율 증가로 수익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능' 제공이 아닌 양질의, 성능 좋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Core Web Vitals 란 성능 최적화를 위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지표이다. 이를 준수해 웹사이트를 개발하면 성능은 물론 검색 엔진 최적화까지 진행할 수 있다. ★ Core Web Vitals의 세가지 지표 1.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 페이지 로딩 속도 측정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로드할 때 페이지의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브라우저 화면에 얼마나 빨리 렌더링 되는지 측정하는 지표 (이미지, 비디

2023년 5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이유가 중요하다

🙂 서론 개발자로 일을 하면 항상 수많은 trade off 속에서 선택의 기로에 선다. 이 선택의 기로마다 어떤 근거에 의해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데, 일을 하면서 아~그렇구나 원래 쓰는구나 그렇게 바뀌었구나 하고 아무 생각 없이 넘어가버리면 나중에 비슷하지만 다른 선택을 해야할 때 현재의 상황에 적절하지 않게 결정해버리는 일이 발생한다. 사례를 한번 살펴보자. 🔍 사례 - Header namming convention 사내에서 유통되는 api에서 custom header의 이름은 모두 x- prefix가 붙어있었다. 관용적으로 비표준 헤더에 대해 x-가 붙어있었던 것 같다. > 👀 TMI: x- prefix들은 "eXperimental" 또는 "eXtension"의 약자이다.

2023년 1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블로그를 왜 작성할까

필자는 블로그 유랑민이다. Tistory, Jekyll, github, notion 여러 블로그를 떠돌다가 velog까지 왔다. 블로그가 바뀌는 흐름은 비슷했다. 매일매일 배운것들을 정리해야지~ 근데 꽤 품이 많이드는걸? 이렇게 작은 지식은 인터넷에 널리고 널렸는데 내가 써야할까? 흠 근데 저 플랫폼은 좀 더 이뻐보이는걸? 블로그 플랫폼을 바꿔서 새롭게 시작해보자! GOTO 1 위 단계들을 반복하다보니 결국 노션에 혼자 정리하거나 아예 정리를 안하는 수준까지 갔다. 작은 지식은 이미 인터넷에 널렸다는 이유로, 방대한 지식은 회사의 대외비 정보와 연결되기도 하고.. 쓰려면 너무 오래걸리니까 안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하다 보니 이전에 해결했었던 이슈를 또 만나게 되면 아 그때 기록해둘껄! 적어도 찾았던 링크라도 기록해둘껄!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개발을 하면서 기술적인 지식이 필요한 이슈들은 무조건 해결이 가능하다는것을 안다. 그런데

2023년 1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으로..

서문 나는 스타트업을 두군데 거치고 큰 회사로 옮긴 개발자이다. 소위 말하는 네카라쿠배 중 한군데에 입사하였다. 대세는 큰회사에서 스타트업으로 가는거라는데.. 거꾸로 역행했다.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면서 코드 퀄리티가 짱이야 짜릿해! 개발자라면 무릇 클린한 코드를 지향해야지! 라는 생각에 휩싸여있었고, 주변 환경도 그러한 가치를 지향하는 개발자들 밖에 없었다. 그런데 큰 회사로 오며 다른 관점과 시야를 가지게 되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원래 머릿속으로 알고있던 관점들을 몸소 느끼게 되었다. 스타트업에서 큰 회사로 옮기려는 사람들이 조금이나마 참고할 수 있도록 내 경험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스타트업에서 나의 근무 환경은 빡쎘다. 내가 근무했던 회사는 리뷰가 상당히 엄격하고 빡빡했는데, 코드의 구조와 설계는 물론이고 코드 스타일과 가독성 if문을 쓰는 방식 주석을 다는 위치 및 방식 등등 꼼꼼하게 리뷰 받았다. (프로젝트의 규모와 일정과 리소스와는 전혀 상관없이 말이다.) 이

2023년 1월 1일
·
16개의 댓글
·

IT Corp Blog & Curation Site

GeekNews https://news.hada.io/ Naver D2 https://d2.naver.com/home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https://kakaoenterprise.com/developer/ 토스 테크 https://toss.tech/ 뱅크샐러드 공식 블로그 | 기술 블로그 https://blog.banksalad.com/tech/ 직방 기술 블로그 https://medium.com/zigbang 브랜디 랩스 https://labs.brandi.co.kr/ WIT 블로그 https://wit.nts-corp.com/ 똑똑한 개발자 팀블로그 https://blog.toktokhan.dev/ *scrap 자바스크립트의 이벤트 루프(Event Loop)란? https://blog.toktokhan.dev/t-767eb0fa38f3 네이버 라이브플레이어 ui 개선기 https://d2.naver.com/hellowo

2022년 12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Insight : 아이디어로 시작하기

2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Lenny's Newletter 에서 Consumer Business 를 시작(kickstart)하고 확장(scale)하는 법에 대해 6개 챕터로 플레이북을 낸다고 합니다. 길지만 좋은 내용이라 한 챕터씩 velog에 정리해보겠습니다. Step 1: INSIGHT: Come up with your idea Step 2: AUDIENCE: Identify your super-specific who Step 3: HOOK: Craft your pitch Step 4: REACH: Find your early adopters by doing things that don’t scale Step 5: RETAIN: Iterate until enough people sti

2022년 11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bout Typed

Typed(이하 타입드) 출처: Typed 메인 사이트 최근 여기저기서 나타나서 계속 눈에 띄는 스타트업이다. 사실 처음 타입드를 접하게 된 것은 작년에 인턴 모집 공고를 통해서였는데, 그때까지만 해도 재밌는 아이템과 BM을 가진 스타트업이구나 정도로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요 근래 다양한 스타트업들을 알아보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타입드가 걸어온 길과 나아갈 방향이 좋은 레퍼런스가 되는 것 같아 여러 방면에서 탐구해보고자 글을 시작하게 되었다. 타입드 메인 랜딩 페이지 타입드는 간단히 말해서 문서관리용 글로벌 SaaS라고 할 수 있다. >문서관리 툴? Notion 쓰면 되는거 아닌가요???????? 라고 말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Notion

2022년 7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tring/StringBuilder/StringBuffer (항해일지 5일차)

chapter2 알고리즘 주차가 시작되었다. 1) 학습일지 오전에는> 알고리즘 주차의 발제 세션을 들었고, 새로운 팀원 분들과 간단히 소통했다. 또한 InteliJ IDE(Ultimate)를 설치하여 Java 환경 세팅을 마무리했다. 이번 주의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아래와 같다. 40~ 53개의 알고리즘 문제 풀이 OOP 구현 코드 작성 주간 계획을 세우기 위해 각자 4번 까지의 문제를 풀었고, OOP 구현 과제의 틀을 잡았다. (알고리즘은 주특기 언어인 Java로 풀어야해서, 파이썬으로 풀 때에 비해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 GitHub URL 알고리즘 풀이: https://github.com/Kim-HJ1986/algorithm_Java OOP 구현: https://github.com/Kim-HJ1986/OOP_homework 오후에는> 4번 까지의 알고리즘 풀이 현황을 공유했다. 운 좋게도 팀장님이 전공자였고, 문법

2022년 5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시몬스의 행보에 관한 생각정리

최근 TV에서 매번 나의 눈길을 끄는 광고가 포착되었다. 관련 기사를 먼저 첨부하겠다. >Oddly Satisfying Video(by Simmons) 침대 브랜드로 유명한 시몬스의 광고였는데, 편안함 이라는 시몬스만의 철학을 그대로 녹여 낸 광고였다. 심지어 더 특이했던 점은, 본래 편안함을 강조하기 위해 되는 베이지, 아이보리 계열의 웜톤 색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쨍한 느낌의 다양한 색을 배치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특징은 TV 속 광고들의 현란한 폭우 속에서 고요함을 통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다. 처음 광고를 볼 때에는 '시몬스에서 특이한 마케팅을 시도했네.' 정도로 끝났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광고가 눈에 들어오면서 시몬스라는 브랜드 자체에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시몬스의 또 다른 행보 또한 적잖이 충격이었다. >[침대 없는 팝업 스토어 ‘시몬스

2022년 3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노션으로 아티클 정리하기

오랜만에 벨로그 ... ㅋㅋㅋ 요즘 근황으로는 모각코를 하고... 따로 DRF를 공부하고... 토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무튼 원래 쓰던 건 Think 부분이 없었는데 NotionBox 님의 템플릿을 보고... 아 그냥 모으기만 해서는 의미가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건 신문 스크랩과 다르게 펼쳐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때 그때 내가 생각한 것들을 간단하게라도 적지 않으면 생각했던 것

2022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How do I Unsubscribe from Insight’s email newsletter

Insight com webmail gives the ultimate benefit of creating 6 email accounts that can be directly operated by primary email address. This service is initiated by Time Warner Cable that sends the signal via insight broadband divisions. Here are some steps to unsubscribe from insight webmail From insight app go to the insight app and open it Click on the menu icon present inside the app from the menu icon, click on Account Management onc

2021년 8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taAnalyst_5. 게임 제작 · 배급사의 데이터 수집 방법과 JOIN을 통한 인사이트

오늘은 이전 게시물에서 다루었던 게임 제작·배급사가 다루는 데이터, 데이터 수집, 분석 방법, 도출 가능한 인사이트 중에서 데이터의 수집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수집한 데이터의 테이블들을 JOIN하여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로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자. 게임 제작·배급사의 데이터 수집 방법 저번 게시글에서 다룬 게임 제작·배급사(이하 게임사)의 유저 데이터 수집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유저 데이터 수집의 방법 로그 기록 유저 설문 커뮤니티 동향 파악 그 외 등등 로그 기록은 로그의 설계나 관리에 조금만 신경쓴다면 손쉽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이며 그 외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는 유저 설문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하는데, 커뮤니티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방법은 '크롤링(Crawling)'을 대표적인 예시로 들 수 있다

2020년 11월 20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