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preter

[Programming]컴파일 / 인터프리터 언어
작성한 코드를 모두 기계어로 변환한 후에 기계어 코드로 실행하는 방식의 언어소스코드를 목적코드(컴파일러나 소스코드 파일을 컴파일해서 생성하는 파일)로 옮기는 것.번역과 실행이 따로 이루어진다.Compiler : 번역기라고 불리며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른 언어로 옮기
바이트 코드와 머신 코드
머신 코드는 CPU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이진 코드이고, 바이트 코드는 컴파일러에 의해서 생성된 중간 단계의 코드라고 할 수 있다. Java에서 바이트 코드는 JVM에서 실행되고 JVM의 JIT 컴파일러는 바이트 코드를 머신 코드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머신 코드
compiler와 interpreter
우리와 컴퓨터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선 몇가지 개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간단하게 저레벨 언어는 컴퓨터가 알아듣기 쉬운 언어이고, 고레벨 언어는 우리(개발자)가 알아듣기 쉬운 언어이다.컴퓨터 프로그램은 고급언어로 작성되는데, 이는 사람이 이해하기 위한

Python -01 기본개념
인터프리터 언어변수 :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자료형함수 : def(정의함수)등을 사용하여 메소드 저장파라미터 : 매개변수. 함수내에서 정의되는 변수를 예로 들 수 있다.while i < 10: i += 1 print(i)break, continuea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
두 방식은 소스 코드를 어느 시점에 해석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컴파일러는 런타임 이전에 기계어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변환하여 실행파일 생성인터프리터는 런타임에 소스코드를 Row 단위로 즉시 해석→ 컴파일러가 인터프리터보다 실행 속도 빠름컴파일 방식은 런타임 이전에 코드를
[Python]인터프리터언어?컴파일러언어?
compiler : high-lvl prgming language를 low-lvl prgming language(기계어)로 바꾸는, 소스코드를 실행가능한 CPU명령어로 바꾸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다.interpreter : compiler와 다르게, 한번에 한줄씩 읽으

Compiler vs Interpreter
const, let, var로 시작하여 모르는 단어들이나 개념들이 많아 공부하면서 정리하다보니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데, 오늘은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는 원리인 인터프리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원리인 컴파일러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Compiler vs In
Compiler/Interpreter 차이점 정리
프로그램 언어를 해석하고 실행시키는 방법으로 compiler, interpreter가 있다.컴파일러는 작성한 소스코드를 한번에 번역하기 때문에 중간중간에 코드의 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다시 컴파일을 해주어야 한다. 한줄의 코드만 고쳐서 확인하려고 해도 규모

☕🌱 스터디 1주차 정리 Java의 실행 모델: Java의 Compile and Run!
Java의 실행모델: Java 11 JVM specification 기준으로 Java의 컴파일부터 실행까지 알아봅시당 :)
스크립트(Script) 언어
프로그래밍의 스크립트 언어는 기존에 이미 존재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를 쓰이는 언어다.특정 작동을 구현한 코드를 컴파일러를 통해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언어는 컴파일언어프로그램이 스크립트를 읽어서 특정 작동을 구현하면 스크립트 언어

컴파일러 & 인터프리터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둘 다 C 나 자바같은 고레벨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것은 맞으나 그 과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JVM] Interpreter & Compiler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한 문장씩 읽고' 기계어로 바꿔준다. 그 후 변환된 코드를 실행한다.전체 소스코드를 '모두' 기계어로 파일로 바꾸고 그 후에 변환된 코드를 실행시킨다.Build시에, interpreter는 별 일 하지 않지만 Compiler는 기계어 소스
[JavaScript] Engine - Compiler & Interpreter
컴퓨터가 코드를 인식하고 실행하는 방법. 그리고 JavaScript Engine 특히 V8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