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teinit

코틀린 lateinit과 lazy의 차이점이란?
제목의 2가지는 변수를 늦게 초기화하는 방법들이다. 클래스 안에서 이 변수를 사용할 것이다 라고 선언만 해 놓고 나중에 해당 변수를 사용하는 시점에서 값을 입력해주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도 방법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가지 걸리는 상황이 있을 수
lateinit vs by lazy
개발하다 lateinit을 쓸 지, by lazy를 쓸 지 뭐가 맞는지 이야기가 나왔다.그래서 정리하는 글자 우선 이 코드를 보면 얘도 늦게 초기화 한다. a를생각해보면 kotlin은 nullsafe인데 왜 이렇게 코딩할까그래서 lateinit이나 by lazy를 사용
[Kotlin] lateinit, get(), set()
변수를 선언하고 나서 나중에 값을 넣으려 할 때 null로 넣어 놓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나중엔 꼭 값을 넣어야 되지만 실수로 잊어버리면 error가 날 것이다.lateinit는 그걸 방지해준다. 즉 선언은 하지만 나중에 꼭 초기화를 할 거라고 알려준다. 그러지 않으
Kotlin 변수 : 상수, lateinit, lazy
var : 한번 할당 된 객체를 다른 객체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val : 한번 할당하면 변경할 수 없다 (단, 객체 내부 속성은 변경가능)상수 (const) : 컴파일 시점에 결정되어 절대 변경이 불가하다 (기본 자료형만 선언 가능)사용할 경우 Sample.CON

스코프 함수(scope function), Data Class, Lamda expression, lateinit vs lazy init, 인텐트(intent), Collection
📝 스코프 함수 (scope function), Data Class, Lamda expression, lateinit, lazy init, 인텐트(intent), Collection
Lateinit& By Lazy
늦은 초기화 lateinit 프로퍼티를 선언하지 않고 초기화를 미루는 방법이다. 전역 변수로 선언 후 null값을 지정하지 않고 초기화 할 수 있다. var를 이용한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User1의 lateData를 선언할때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았다. 이것을 후에 user.lateData = "Hello" 를 통해서 사용한다. 이런것이 늦은 ...

[Kotlin] by lazy, lateinit
lazy by 와 lateinit 모두 지연 초기화에 사용하는데,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클래스 위임 키워드키워드로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현을 다른 객체에 위임 중이라는 사실 명시 Decorator 패턴의 위임을 언어가 제공하는 일급 시민 기능으로 지원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