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ckdata

React Main page 만들기
React로 기존에 만들었던 자바스크립트를 새롭게 만들면서 정말 React의 편리함을 사뭇 깨닫게 되었다. 특히 map함수를 활용하고 mockdata나 config파일을 만들어 코드를 간단하게 만들어 깔끔해짐을 볼때마다 느끼는 뿌듯함... 그래 이맛이야...
Mock Data 🐾
mock data란?mock: 거짓된, 가짜의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ock data 는 가짜 데이터, 샘플 데이터즉, 실제 API 에서 받아온 데이터가 아닌 프론트앤드 개발자가 필요에 의해 샘플용으로 만든 데이터 mock data가 필요한 이유API 가 아직 준비중인

Mock Data 정리
5주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 frontend 에서 웹사이트의 틀을 잡을때 Mock Data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걸 피부로 느끼게 되었다. 어떤 지식이든 필요성을 느껴서 실제 예제에 적용해봄으로써 기억에 남는 다는 것을 한번 더 느끼게 되었다. Mock Data를

TIL 50 | Mock Data
UXUI 디자인을 할 때 디자인 안에 실제 데이터가 아닌 가상의 데이터를 넣어 디자인을 하듯이, 프론트엔드 개발자 역시 API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mock data를 만들어 화면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테스트하며 개발을 진행한다.
React | Mock Data
Mock Data 란, 말 그대로 "가짜 데이터" 를 의미한다. API 를 통해 백에서 받아온 데이터가 아니라 프론트엔드에서 필요에 의해 임의로 만든 샘플 데이터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많은 경우에 API 가 나오기 전에 페이지가 먼저 만들어진다. 따라서 프론트

[react] Mock data 를 활용하기!
백엔드 API가 완성 되기 전인데 구현한 UI가 잘 나타나는지 테스트하고 싶다면? mock data!
(React) Mock Data
1차 프로젝트를 하면서 목데이터의 중요성을 느끼고벨로그를 작성하고있다..그냥 혼자 하드코딩으로 페이지를 만들때처럼 내가 원하는대로 맡은 페이지를 코딩하고있었다 이렇게 작성하고 백앤드한테 API를 받고나선 멘붕이 왔다.....내가 작성한 코드를 수정 OR 갈아엎어야하는
Mock Data 활용
import "./App.css";class App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 componentDidMount() { fetch("/data/data.json") } rende
[TIL] React Project - Route
📌 프로젝트를 하면서 필요한 이론 정리 / Route 이동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Routes.js에서 설정한 path로 이동하려면 Link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된다.react-router-dom에서 제공하는 Link 컴포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