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o-repo

[React] pnpm 기반의 모노레포
이전에 yarn berry 기반의 모노레포 구축하기라는 글을 간단하게 쓴 적이 있다.그러나 yarn berry의 단점을 느끼며 pnpm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 대해 간단하게 서술해보고자 한다.자세한 내용은 https://engineering.ab180

JavaScript monorepo tools
npm workspaces - https://docs.npmjs.com/cli/v7/using-npm/workspacesyarn workspaces - https://classic.yarnpkg.com/lang/en/docs/workspaces/ler

모노레포 with Turbo
모노레포란 같은 레포지토리에서 서로 다른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각 프로젝트를 서로 다른 레포지토리에서 관리하는 전략과 비교했을 때 코드 재사용, 외부 의존성 관리, 모든 프로젝트를 아우르는 리팩토링.코드 재사용, 외부 의존성 관리, 모든 프로젝트를
모노 레포에서 react-native 설정 방법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웹 프로젝트들과 함께 관리하고 유틸 함수를 함께 관리하면 용이할 것 같아서 구성을 해보게 되었습니다.NX를 이용해서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포함한 모노레포를 구성할 때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NX에서 재공해주는 React N
모노레포 구성하기 with lerna
도입 회사 여러 프로젝트에 중복 사용되는 유틸리티 코드와 통일되지 않은 버전들이 너무 많아 관리가 힘들어 lerna를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해보려 한다. lerna >“A tool for managing JavaScript projects with multiple packages.” Lerna는 여러 개의 패키지를 관리하는 JavaScript 프로젝트를...

mono-repo와 lerna
하나의 repository 안에 하나의 프로젝트가 들어있는것을 의미한다.일반적인 경우 대부분 multirepo를 사용한다.package 별로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repository별 owner를 지정할 수 있다.⇒ 패키지 관리가 수월해진다.하나의 reposit

Lerna를 활용한 Mono-Repo 구축 완벽 가이드 - 개념 정리
아직 Mono-Repo나 이를 도와주는 lerna가 널리 알려지지 않을 것 같다.근래에 Mono-Repo 구축과 lerna를 사용할 기회가 있어서 실제로 반영하고 정보를 수집해 보았다. 모든 lerna 관련된 포스팅을 보았지만 lerna에 관련된 주요 명령어라든가 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