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orepo
maimovie 프로세스 정리
maimovie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는데, 기존에 구축되어 있던 환경, 빌드, 배포 등 전반적으로 복잡한 내용이 많아서 회사 내에서 공유할 목적으로 문서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마이무비 프로젝트는 총 3개의 리포지토리에서 관리되고 있음마이무비 영문 1개(mai...
MonoRepo
⭐ 여러개의 개발 프로젝트를, 잘 정의된 관계를 통해서 하나의 Repo에 담은것새 project를 만드는데 편리쉽게 다른 project에 기여 가능Monolithic은 project 끼리 분리가 안되있고 거대하지만 Monorepo는 repo만 하나 일 뿐 project
pnpm workspace with React TS & TailwindCSS (1)
pnpm workspaces를 사용하여 React TS & tailwindcss를 적용해보자. monorepo 설정 구조 설계 프로젝트마다 다르지만 보통 두 타입의 구조가 존재한다고 한다. package centric 오픈소스 코드(Angular, React, V

JavaScript monorepo tools
npm workspaces - https://docs.npmjs.com/cli/v7/using-npm/workspacesyarn workspaces - https://classic.yarnpkg.com/lang/en/docs/workspaces/ler
모노레포(Monorepo)
모노레포 모노레포란?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프로젝트 코드가 동일한 저장소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분리된 모듈들은 모노레포에서 여전히 독자 프로젝트로 존재하지만 저장소는 같은 곳을 사용한다. 모노레포의 특징 프로젝트 간의 관계 단순히 여러 프로젝트가 하나의 저장소를 사용한다고 해서 모노레포 구조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하다. ...

[React]yarn berry, vite, React TS 환경에서 라이브러리 포함한 모노 레포 만들기
레퍼렌스 https://velog.io/@projaguar/Yarn-3-MonoRepo-with-Typescript-Next.js-Nest-React-Native 특히 이 글을 많이 참조했다. https://techblog.woowahan.com/7976/ h

MONOREPO, MULTIREPO
우리는 프로젝트가 작을 때는 하나의 레포지토리로 프로젝트를 관리하지만, 커지면 커질수록 하나에서 관리할 지 나누어 관리할 지를 정하게 되는데, 프로젝트 내부의 개별 레포지토리에서 관리할 것인지, 하나의 레포지토리에서 관리할 것인지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하나의 레포지토
monorepo란
monorepo란? monorepo란 싱글 레포지토리에 잘 정의된 관계를 가진 여러 다른 프로젝트들이 있는 것을 말한다. polyrepo 모노레포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polyrepo가 존재한다. 폴리레포는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으

아이웨딩 Yarn workspace 모노레포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아이웨딩에서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스케줄 관리가 생겼고, 스케줄 관리를 서비스운용팀에서만관리하기 힘들어 협력사와 힘을 합쳐 스케줄 관리를 하기로 하였다.협력사는 로그인 및 사용이 불편하면 사용을 잘 안한다. 조건 1. '아이웨딩'과 다른 도메인

모노레포와 Turborepo
모노레포란 하나의 repository에 두 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저장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모노레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노레포의 등장 배경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저장소에 모든 코드를 저장하는 방식이었다. 그래서 코드를 짜다가 무언
2023.02.10
팀에서 모노레포 세미나를 진행해주셨다.한가지 말이 와닿아서 적어둔다."모노레포의 궁극적인 목표는 표준화의 자동화이다"표준화를 위한 설정파일들 (eslint, tsconfig) 와 같은 파일들을 npm 모듈로 관리한다면,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프로젝트별로 최신표준을 맞출

Yarn Berry(v3) Workspace - 부록 VSCode Plugins
yarn workspac 연재를 진행하면서 많은 글을 구글링 하다 몇가지 관심가는 흥미로운 캡쳐 화면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찾게된, monorepo환경에서 개발을 도와주는 Visual Studio Code 플러그인. packages 하위에 있는 패키지 루트를 vs

Yarn Berry(v3) Workspace #4 - React Native 설정
목표로 하는 연제의 마지막 React Native를 yarn workspace 적용 입니다.React Native는 폴더 내부의 node_modules를 사용하도록 설정 해야 합니다

Yarn Berry(v3) Workspace #3 - Next.js 설정
Yarn Berry workspace를 사용해서, 프로젝트에서 활용하고 있는 프레임웍을 하나씩 설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순서는 Next.js 입니다.

Yarn Berry(v3) Workspace #2 - Nest 설정
Yarn Berry workspace에 nest project를 포함하고,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