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1

44개의 포스트

N+1 문제

연관관계를 가지는 Entity를 조회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상황을 가정해보자.사람이 10명 있다. 각 인물은 고양이를 5마리씩 키우고 있다.이 때 사람을 조회하면people을 조회하는 쿼리 1개 + 각 사람이 기르고 있는 고양이들을 조회하는 쿼리 1개씩 총 10개총합

2023년 2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Querydsl 검색조건에서의 N+1문제 해결 로그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Querydsl로 검색을 하는 기능을 만들었는데, 검색에는 스터디의 제목, 스터디의 지역, 스터디 관련 태그로 검색을 진행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바로 검색을 하면 쿼리의 N+1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스터디(Study)의 연관

2023년 2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jango, N+1 쿼리 문제

쿼리 한번으로 N건의 데이터를 가져왔을때, 원하는 데이털르 얻기위해 N건의 데이터를 가져온 데이터 수만큼 반복해서 2차적으로 쿼리를 수행하는 문제이다.코드

2023년 1월 21일
·
0개의 댓글
·

TIL - #24 N+1 이슈

N+1 이슈

2023년 1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Y18

@Entity : class가 실행될 때, typeorm에 의해 Entity 테이블을 만들어줌@PrimaryGeneratedColumn(' ') : 자동으로 생성될 값의 컬럼increment : 숫자로 데이터가 쌓일때마다 숫자가 하나 하나씩 올라가는 PK 키를 만들

2022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1 정복기 기본편4

이번엔 2개 이상의 자식 테이블에 fetch join을 하게 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학습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엔티티 입니다.Team5Member5Coach5우선 N+1이 발생하는 학습테스트를 만들어보았습니다.Team5Service학습 테스트학습 테

2022년 11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1 정복기 기본편3

이번 포스팅에선 fetch join, entityGraph를 사용할때 중복데이터를 왜 제거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전 N+1 정복기 기본편, N+1 정복기 기본편2에서 모두 fetch join일 때 쿼리에 distinct를 붙였습니다. 왜 distinct키워

2022년 11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1 정복기 기본편2

이번 포스팅에선 fetch = LAZY일때 N+1이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일대다 관계를 맺는 엔티티가 있고 fetch전략이 LAZY인 경우지연로딩 덕분에 findAll()을 해도 N+1이 발생하지 않습니다.하지만 프록시 객체로 가져온 자식의 초기화가 일어나게

2022년 11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1 정복기 기본편

N+1 정복기 기본편

2022년 11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ultipleBagFetchException

N+1 학습테스트를 진행하다 'MultipleBagFetchException'를 마주쳤다.어떤 예외인지 공부해보자.공식문서에 따르면 동시에 다수의 'Bag'을 fetch하려 했을때 발생하는 예외라 한다.아래와 같은 엔티티를 작성하면 'MultipleBagFetchExc

2022년 11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1 정복기

https://www.baeldung.com/java-hibernate-multiplebagfetchexceptionJPA를 사용하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N+1... 미리 공부했어야 했는데 이제라도 학습해보자. 학습테스트를 통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

2022년 11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 JPA N+1 문제 정리

JPA를 사용하다 보면 의도하지 않았지만 갑자기 여러 개의 select 쿼리문이 순식간에 나가는 현상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N+1 문제라고 부른다. 그러면 N+1 문제가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해결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요청

2022년 11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1 이슈에 대해서

sadasd

2022년 10월 20일
·
0개의 댓글
·

JPA - N+1 문제

N+1 문제!!

2022년 10월 20일
·
0개의 댓글
·

모의 면접(N + 1 문제)

N+1 문제란? 연관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로 연관 관계가 설정된 엔티티를 조회할 경우에 조회된 데이터 갯수(n) 만큼 연관관계의 조회 쿼리가 추가로 발생하여 데이터를 읽어오게 된다. 이를 N+1 문제라고 한다. 조회 시 1개의 쿼리를 생각하고 설계를 했으나 나오지

2022년 10월 13일
·
0개의 댓글
·

ORM은 무엇인가요? (+장고 코드로 알아보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객체형으로 매핑해주는 기술이다. 결제 정보와 같이 중요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고 가정해보자. 서버 컴퓨터의 전원이 나가게 되면 데이터가 날아간다. 이러한 데이터를 영원히 저장하기 위해서 파일 시스템이나, 관계형 데이터 베이

2022년 10월 5일
·
0개의 댓글
·

TDD 연습 프로젝트 14 - Member : Membership = 1 : N

이전까지의 개발은 Membership 따로, Member 따로 진행해왔다. HttpServletRequest 헤더에 사용자 식별값이 별도로 들어있다는 가정하게 개발을 진행해 온 것이다. 그래서 헤더에 값이 없으면 BadRequest 응답을 보내도록 되어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할 /api/v2 에서는 헤더에 있는 토큰 값을 파싱하여 Member를 찾아내...

2022년 9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 + 1 문제

현재까지 프로젝트내에 JPA를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 N+1의 대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서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었지만 JPA의 사용자로서 N+1의 문제 발생 시 성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때문에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하고 어떤상황에서 발생되는지,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에

2022년 9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PA] Fetch Join 파보기 1탄 (EAGER, LAZY, N+1문제)

객체를 조회시에 연관된 객체들까지 모두 N+1문제없이 가져오기위해 자주 쓰이는 Fetch Join + LAZY의 조합 너무 습관적으로 쓰다보니 어느샌가 왜 이렇게 쓰는지 헷갈리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서 제대로 정리해보기로 했습니다모든 예제에서는 user, folde

2022년 8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PA] N+1 문제 해결하기

1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 N

2022년 8월 1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