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stat

24개의 포스트

리눅스 네트워크 모니터링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한 시스템 모니터링 : 시스템 성능 측정을 위한 항목에는 cpu, memory, disk, traffic ifconfig : 네트워크 기본 모니터링 시스템에 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 및 변경할 수 netstat :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링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상태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옵션

6일 전
·
0개의 댓글
·

리눅스 커맨드

find : 파일 찾기 find : 파일 찾기 명령어 find [경로] [옵션] [파일명] find / -name 'ls' 최상위 dir에서부터 모든 파일을 찾음 find -name 'abc' 현재 dir에서부터 하위 dir까지 검색 awk : 필터, 가공 awk : 데이터를 조작하고 리포트 생성 위해, 파일을 원하는 대로 필터링하거나 추가해주거나 기타 가공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행과 열로 출력해주는 프로그램 형식 : awk 'pattern' filename : awk '{action}' filename : awk 'pattern {action}' filename :

7일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linux] 특정포트 방화벽 확인하기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포트의 방화벽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위 명령어에서 부분에는 확인하고자 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실행 결과에서 해당 포트가 열려 있다면 (LISTEN 상태), 방화벽이 해당 포트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결과가 비어있다면 (아무 출력이 없다면), 해당 포트로의 접근이 차단되거나, 프로세스가 실행 중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참고: netstat 명령어는 운영체제에 따라 옵션과 출력 형식이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 예시는 Linux/Unix 기반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입니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는 -ano 옵션 등 추가적인 옵션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2023년 9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ort] 충돌난 포트 죽이기

호기롭게 Spring으로 만들어서 실행시켰는데 8080이 이미 쓰고있댄다. 겹치면 죽여야지. > cmd창을 켜서 netstat -ano | findstr 8080 을 쳐줬다. > // netstat -ano: 모든 연결 포트와 수신 대기 포트를 알려주는 명령어 사실 그 전에 netstat -ano 까지만 쳤더니 오만 잡다한 포트가 죄다 쏟아져 나왔다.. 뒤에 | findstr [포트번호] 까지 쳐주면, 원하는 포트번호에 해당하는 부분만 아래와 같이 알려준다. 이 결과에서, 가장 우측의 숫자(PID)를 가지고 충돌난 놈을 없앤다. ![](https://velog.velcdn.com/images/jihoon729/post/e703578e-89f5-4964-a3ce-56

2023년 8월 26일
·
0개의 댓글
·

개발일지 - 2023.08.17 (방화벽 확인)

오늘은 서버사이드 측에 요청한 방화벽이 뚫려있는 지 확인하는 것에 대한 기록을 하고자 한다. 방화벽 관련 요청을 하기 위해서는 출발지 ip , 포트 , 도착지 ip , 포트 정보를 주어야 한다. 확인하는 방법은 내가 찾아본 바로는 4가지가 있다 ping [IP]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ping은 네트워크 공격의 위험성 때문에 차단해 놓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천하지 않는 방법이다. telnet [IP] [PORT] telnet 은 단순히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한다. 방화벽이 뚫려있다면 연결이 성공할 것이다. netsta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신 상태를 보여준다. 내가 주로 사용하였던 옵션은 nc -z [IP] [PORT] Netcat(ornc)은 TCP 또는 UDP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명령줄 유틸리티이다. 이는 리눅스 배포에 미리 설치되어 별도의 절차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2023년 8월 17일
·
1개의 댓글
·

Tomcat 서비스 중지 중 멈춤 해결 (netstat)

Tomcat 서비스 중지 중 멈추는 경우 윈도우 서비스에 등록된 apache Tomcat {version} 의 status 가 stopping 인 상태 tomcat{version}w.exe 파일의 start, stop 버튼이 모두 비활성화인 상태 해결 방법 cmd 실행 port 및 pid 검색 > netstat -ano | find "LISTENING" 해당되는 port의 pid 확인 Ex) 일반적으로 port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8080 port 사용, 위 사진의 pid는 12404 > taskkill /f /pid 12404 서비스 시작 윈도우 서비스 새로고침 후 우클릭 start tomcat{version}w.

2023년 3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로컬 Port번호로 Pid 찾기.

개발배경 퍼블리싱을 진행할때 express 를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테스트로는 playwright을 사용하게 되는데, playwright는 브라우저 기반이라, 서버가 존재해야 한다. 개발하기 위해 서버를 켜놓고, playwright을 실행하면이야 정상적으로 돌아가지만, 가끔씩(이라 쓰고 엄청 자주) 하라는 개발은 안하고, 테스트만 돌리게 되면, 서버가 실행되지 않아서 모르겠는데요 하고 누워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개발서버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포트번호를 확인해서, playwright을 동작 시키거나 주로 개발하거나 배포하기 위한 환경(express 나 storybook 같은)이 현재 살아있는지를 체크하려고 한다. 아이디어 모든 프로세스는 Pid(Process id)를 가지며 서버는 프로세스다. cmd 에서 netstat -ano 를 하게

2023년 2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작업예약 at 예약한 명령을 정해진 시간에실행 atq 현재 사용자의 등록된 작업 목록 출력 atrm 지정된 작업 번호 작업을 삭제 crontab(스케줄링 배치) 정해진 시간에 반복 실행 crond (daemon process)에 의해 crontab 파일 내용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정해진 작업 수행 crontab 파일

2022년 11월 17일
·
0개의 댓글
·

k8s pod 내 socket 사용 확인

k8s 파드가 계속 죽어나는데 이유를 못찾아서 netstat 쳐보고 싶은데 pod 내부엔 있지도 않고...ㅠ ㅠ.... 그렇다고 netstat 을 깔자니.... 그것도 좀 아닌 것 같고 이것 저것 찾아보니 netstat 없어도 비슷하게 보는 법이 있었음 난 맨날 까먹으니 또 써놔야함 아래 명령어 치면 from - to 로 예쁘게 나옴

2022년 10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Linux - 프로세스 종료

프로세스가 중복 실행이 되었거나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어 강제로 프로세스를 종료해야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됨 1-1. PORT 상태 확인 1-2.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2-1. PID를 통해 kill 2-2. 서버 IP 주소, PORT, 프로세스 상태등을 통해 프로세스를 특정하여 kill

2022년 10월 21일
·
0개의 댓글
·

vim, netstat 설치

컨테이너 bash 접속 apt-get 업데이트 vim install vim 실행 netstat 설치 포트 확인

2022년 10월 20일
·
0개의 댓글
·

[linux] port번호 찾고 죽이는(kill)법

전에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를 찾고 죽이는 법을 적었는데 이번엔 포트가 할당된 프로세스가 돌아가는 와중에 이슈가 발생할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럴 땐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자.

2022년 10월 6일
·
0개의 댓글
·

[netstat] open port check

netstat -tulnp 리슨 중인 포트 확인

2022년 9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Linux] netstat 명령어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 netstat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정리 네트워크 접속,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를 보여주는 도구이다. 리눅스 환경과 윈도우 cmd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사용 방법 : netstat [옵션] | [포트번호 or 서비스 명] 📖 netstat 옵션 -a : 모든 네트워크 상태출력 (all) -c : 현재 실행 명령을 매 초바다 실행 [continuous] -e : 확장된 정보 출력 [extend] -g : 멀티캐스트에 대한 그룹별 정보 출력 [-groups] -i : 인터페이스별 통계값 출력 [interface] -l : 대기중인 네트워크 [listening] -n : 도메인 주소를 숫자로 출력 [numeric] -o : 연결 대기 시간 출력 [timers] -p : PID(프로세서 ID)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 출력 [program] -r : 라우팅 테이블 출력

2022년 8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Linux Programming #6

앞으로 linux를 사용하기위해 kali linux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리눅스 프로그래밍을 해보았다. 먼저 VirtualBox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가상 머신을 생성한다음에 가상 머신에 Kali Linux를 설치한다. 💡 IP주소, MAC주소 확인 리눅스에서 IP 주소와 MAC 주소를 확인하는 대표적인 명령어는 ifconfig IP주소 네트워크의 연결에 제공된 주소를 IP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라고한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서 각각의 통신기기(컴퓨터, 노트북

2022년 8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 통신 체크 - 서버 네트워크 통신 체크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통신 체크 > application layer, network layer 등의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벽이 있다. 단순하게 타겟 서버로 네트워크 연결이 되는지, 서버 블랙리스트로 되어있진 않은지 등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체크해보자! 1. curl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와 명령 줄 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이고 libcurl와 cURL이라는 2개의 제품을 포함한다. command line tool이다. HTTP, FTP, LDAP, TELNET, HTTPS, DICT와 같은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SSL을 가지는 각각의 프로토콜 역시 지원한다. 또한 HTTP기반의 upload, proxie

2022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tstat, taskkill 사용방법

중복되는 포트 구성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이 안될 때가 많습니다. 이럴때 중복 되는 포트가 무엇인지 찾아서 그 프로세스를 제거해야 합니다. CMD linux 참고 https://kkh0977.tistory.com/386

2022년 2월 18일
·
0개의 댓글
·

Eclipse 비정상적인 종료 대응 (원도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프로세스 찾기 프로세스 KILL..

2022년 1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indows 10] 사용 중인 포트 확인 및 종료

Port 12000 was already in use IntelliJ로 작업하다 보면 사용하려는 port가 정상적으로 종료가 되지 않아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netstat와 taskkill의 조합으로 해결할 수 있다. 사용중인 포트 확인 > netstat -ano | findstr {port number} ex) netstat -ano | findstr 12000 netstat -ano | findstr 12000 > taskkill /f /pid {pid} ex) taskkill /

2021년 10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에 MariaDB설치(+Workbench설치)

0929 0930~ 5.5 리눅스 시스템관리5 - 네트워크관리 5.5.1 ping tcp가없다 (데이터가없다) icp icmp만 보낸다 = 서버가 죽었는지 확인용 사용법 ping [옵션] 호스트 ping 127.0.0.1 ttl = 128 //윈도우 cmd ttl = 64 //리눅스 핑 안되게 하는방법 vi /etc/sysctl.conf ----insert-------------------------- net.ipv4.icmpechoignore_all =1 //1로 세팅하면 핑이안됨//네이버,더존처럼 sysctl -p cat /proc/sys/net/ipv4/icmpechoignore_all 로 확인 5.5.2 nslookup 네임서버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가능 nslookup www.naver.com //서버,어드레스 나오면 인터넷된다는 뜻임 5.5.3 hostname

2021년 9월 29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