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work

상대방 포트 막힌지 확인하는 법
아무 메시지가 없고 echo $0 을 해보면 0을 출력 (이전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끝났다는 뜻)오류 메시지가 뜨고 echo $0 을 해보면 1을 출력위의 경우 takeme.kr의 22번 포트는 열려있지만 3306번 포트는 막혀있는 상황이다.

TIL - 네트워크 물리 계층
매일 배운 것을 정리하며 기록합니다. 네트워크 물리 계층 공부를 하였습니다.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 지 모르신다면 TIL - 네트워크 캡슐화 & 역캡슐화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를 먼저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앞선 네트워크 공

Socket.io 모듈(feat. broadcasting)
Soekct.io 는 리얼타임, 양방향, 이벤트 기반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브라우저나 디바이스 등 모든 플랫폼 위에서 동작한다. 실시간 분석이나 영상 등 실시간 스트리밍, 채팅 등에서 사용한다.본 글에서는 Socket.io의 다양한 기능 중, 브로드캐스팅에 대
TCP/IP networking and Web socket
Posting about web socket and real time networkingForwarding request in certain interval to server and get the data. We are not sure when the request a

TIL - 네트워크 캡슐화 & 역캡슐화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매일 배운 것을 정리하며 기록합니다. 네트워크의 캡슐화와 역캡슐화에 대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캡슐화 & 역캡슐화를 살펴보기 전에 OSI 7 Layer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좋은데요,계층에 관한 정보는 이전 블로깅인 OSI 7 Layer을 참고해 보시면 좋아요.네트워크

(1) 네트워크 기본 개념 - TCP/IP, 도메인, 호스트, 호스팅, DNS, FQDN, LB(로드밸런서)
오늘은 네트워크 기초 개념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host는 guest를 맞이하는 주인이다. 이 의미가 그대로 적용되어 IT에서의 호스트는 무언가를 받아주는 객체다. 굉장히 추사적인 단어인데 이건 웹의 흐름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웹에 대한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있지
HTTP/2.0
출처 : https://tools.ietf.org/html/rfc7540 (HTTP/2.0 공식문서)HTTP/2.0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2015년에 IEFT에 의해 발표된 표준 프로토콜이다.기존의 HTTP/1.0과 H
L4 장비에서 client IP 가져오기
L4장비에서 실제 사용자 아이피를 tomcat access log에 찍는 방법https://djkeh.github.io/articles/Client-ip-over-load-balancer-and-its-access-log-kor/이거대로 안됨..그냥 {clie
[network] port forwarding
포트 포워딩 또는 포트 매핑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가로지르는 동안 하나의 IP주소와 포트 번호 결합의 통신 요청을 다른 곳으로 넘겨주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의 응용이다.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세계적으로 사

TIL - 네트워크 상식
매일 배운 것을 정리하며 기록합니다.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했습니다.네트워크 뜻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 시작하겠습니다.네트워크의 사전적 정의는 '망' 입니다.그물이 얽혀 있는 것처럼 네트워크는 여러 객체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뿐
REST / REST API / RESTfu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자원(resource)의

[CS지식] 네트워크2 로드밸런싱
둘 이상의 CPU 또는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웹 사이트 접속 인원 증가 -> 트래픽 증가 -> 1대의 서버로는 부족대응방안 : Scale up(하드웨어 성능 올리기), Scale out(작업을 여러대의 서버로 분산)하드웨어 향상 비용이 비싸고, 서버가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