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xus
NEXUS로 관리되는 jar파일 → 로컬에서 수정한 것 확인하는 방안
nexus로 관리되고 있는 jar파일 수정 건을 로컬에서만 반영된 걸 확인하고 싶을 때jar 프로젝트에서 해당 내용 수정 후 jar로 묶는다.root 프로젝트에 libs 폴더 생성 후 ( jar가 하나의 서브 모듈에서만 사용한다면 그 서브 모듈 안에 폴더 생성해도 된다

Jenkins-Kubernetes CI/CD (with Nexus)
Application 개발 환경을 셋업하면서 CI/CD 툴에 대한 고려가 나왔습니다. Jenkins는 가장 유명한 CI/CD 툴 중 하나로 Jenkins를 이용해 이미지 빌드 부터 Kubernetes에 배포까지 할 수 있습니다. Docker, Kubernetes를 위한
[Maven] Nexus
Sonatype에서 만든 저장소 관리자 프로젝트다양한 Format의 사설 저장소를 만들 수 있으며 메인 저장소를 Cache 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제공하여 저장소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자 도구Maven에서 사용 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무료 저장소

경매야 사전 가입 서비스 EC2에서 Lambda로 마이그레이션 작업
어려웠던점prisma 배포시 용량 이슈prisma 배포시 바이너리 파일 이슈RDS 연결시 VPC 이슈

Nexus Repository 구축 하기(docker,pypi,npm)
플랫폼 개발을 진행하며 docker image,package, helm 등의 자료를 공개적인 저장소가 아닌 사내에서 팀원들이 공유할 수 있는 Private Repository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Nexus Repository를 설치하고 테스트 하는 과정을

사내 Docker Registry 만들기 (Nexus3 기반)
Private Docker Registry 라고도 합니다. Nexus 기반으로 구축하여 GUI 환경도 제공됩니다. 스크린샷 위주로 작성하려고 하였습니다. 데모환경 - Ubuntu 18.04 - Docker version 18.09.1 - Nexus 3.20.1
Sonatype Nexus Repository
실행 docker_repos.png 8081: Nexus 웹 서버 5555: Docker Remote 저장소가 HTTP 프로토콜로 커뮤니케이션 할 포트 5556: Docker Local 저장소가 HTTP 프로토콜로 커뮤니케이션 할 포트 구성 Local 저장소 Remote 저장소 Proxy 저장소 docker_repos.png 저장소 이름 때문에 복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