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penstack
Openstack
openstack 개요클라우드 컴퓨팅의 IaaS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무료 오픈소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이며 사용자는 웹 기반의 대시보드나 명령행 기반 또는 RESTful API 를 사용하여 오픈스택을 관리한다.IaaS : 통합 개발 환경, 스토리지,

ELK Stack - Openstack API 실습
연구실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Openstack상에서 metric을 수집하여 이용할지 말지 고민하고 있던 찰나에,일단 간략하게라도 사용해보기로 결정해서 ELK Stack을 써보았다.Ubuntu 20.04 Serverdevstack으로 Xena버전 Openstack 구축\*

Trouble Shooting - Openstack Volume 생성 에러
Ubuntu 20.04 Serverdevstack으로 Xena 버전 Openstack 구축Volume 생성 시 Volume의 Status가 Error로 표시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아래 명령어 수행 시 cinder-volume State가 down으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CLI활용 3
여기 써있는 것은 이전에 해온 프로젝트의 각 요소들의 uuid 또는 인스턴스의 이름으로 작성한 예시들이므로 각 명령어를 수정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1. 인스턴스 삭제 2. 볼륨 삭제 3. floating ip 삭제 > 보통은 delete가 아니라 release라는 표현을 쓴다. (제거가 아니라 해제라는 뜻) 4. 라우터 삭제 5. 서브넷 및 ...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CLI활용 1
1. 오픈스택 인증 여기서 인증 네임과 패스워드, 인증서버 주소가 적혀있다. keystonerc_admin으로 로그인하는 것. 만약 제대로 로그인이 안되면 이후 작업에서 권한 에러가 뜬다. 2. 오브젝트 스토리지 활용 > 여기서 object create 명령어는 container에 파일을 올린다는 의미로 pwd했을때 "현재 위치" 또는 "경로 + ...

[클라우드 아키텍트] Cirros 간단한 웹서버 올리기
OpenStack에서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용으로 생성할 인스턴스 이미지이다.Ubuntu나 CentOS랑 달리 테스트 용이기 때문에 파일이 크지않아 인스턴스를 빠르게 생성하여 테스트 해볼 수 있다.다운로드오픈스택에서 인스턴스 생성을 위한 OS이미지를

가상화 - OpenStack 운영 3 및 삭제
전체 명령어 sudo mv ./wordpress/\* .sudo chown -R apache:apache /var/www/\*/var/www/\* 들을 apache 유저 그리고 apache 그룹으로 소유권 이전전체 명령어v내부 네트워크 제거위치프로젝트 탭 - 네트워크순

가상화 - OpenStack 운영 CLI 2
전체 명령어 sudo mv ./wordpress/\* .sudo chown -R apache:apache /var/www/\*/var/www/\* 들을 apache 유저 그리고 apache 그룹으로 소유권 이전전체 명령어v내부 네트워크 제거위치프로젝트 탭 - 네트워크순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인스턴스 생성 및 관리
프로젝트 -> Compute -> 인스턴스 -> 인스턴스생성인스턴스의 이름과 설명 작성인스턴스에 실제로 부여할 디스크 할당 및 이미지 선택인스턴스에 할당할 vCPU와 RAM선택※ Flavor는 관리자 측에서 설정하는 것. Flavor에 적혀있는 디스크는 실제 할당할 디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키페어 관리
프로젝트 -> Compute -> 키페어 -> 키페어 생성 -> 이름 및 SSH 선택 후 생성\[주의] 키를 생성하면 .pem 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이 파일이 private key이므로 관리를 잘해야한다. 앞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마다 키 페어가 등록하는데 해당 키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이미지 관리
클라우드에서는 VM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사용할 OS를 올리는 느낌으로 진행된다. 때문에 처음부터 OS를 설치하기 보다는 초기 설정이 진행된 이미지 파일을 VM에 올리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속도 측면이나 자동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초기 설정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Floating IP
Floating IP 생성 프로젝트 -> 네트워크 -> Floating IP -> 프로젝트에 IP 할당 > Pool만 선택하고 바로 할당하면 Floating IP가 생성된다. Floating IP 할당 프로젝트 -> Compute -> 인스턴스 -> 인스턴스 목록 우측에 드롭다운 -> 유동 IP 연결 나중에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위와 같이 UI가 생기는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보안그룹
보안그룹 생성 보안그룹 생성 프로젝트 -> 네트워크 -> 보안그룹 -> 보안그룹 생성 > 이름만 짓고 생성 프로젝트 -> 네트워크 -> 보안그룹, 보안그룹 선택 -> 규칙추가HTTP, SSH, HTTPS를 각각 선택해서 나머지 옵션그대로 추가 이론 개념 방화벽은

가상화 - OpenStack 운영 CLI
오브젝트 스토리지 활용 및 웹서버 설치 결과 
[클라우드 아키텍트] OpenStack 네트워크 설정
먼저 클라우드 환경을 꾸미고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꾸며줄 필요가 있다.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나누고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VM들을 내부 네트워크 상에 놓고,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생각이다.외부 네트워크는 관리자로

가상화 - OpenStack 운영 2
20230406인스턴스 시작(Start); 위에 인스턴스 시작은(Launch; 설치)인스턴스 잘 구동 확인하기 위해 콘솔 확인WebShare 같은?프로젝트 탭 - 오브젝트 스토리지 - 컨테이너 - + 컨테이너컨테이너 (디렉터리)공개 누군가가 접속해 다운로드 가능공개되

가상화 - OpenStack 운영
오픈스택 접속; dashboard(Horizon)http://<OpenStack_IP>/dashboard/project/openstack은 타임아웃 시간을 늘릴수 없다. 그래서 로그인 정보를 저장..컴퓨트 개요의 (간략학 요약의 대시보드) 데이터가 정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