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onciliation

[React] Virtual DOM? Reconciliation(비교조정, 재조정)이란?
DOM (Document Object Model) 이란?HTML과 XML과 같은 문서구조를 scripts나 프로그래밍 언어로 연결시켜주는 API이다.애플리케이션의 UI를 나타내고, 애플리케이션 UI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해당 변경 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업데이트된다.단

[React]Reconciliation에 대해 알아보자(재조정)
React 관련 교육 강의를 통한 정리 React는 선언적 API를 제공하기 때문에 갱신이 될 때마다 매번 무엇이 바뀌었는지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작성을 무척 쉽게 만들어주지만 React,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명확히 눈에 보이지

리액트 Reconciliation
render()함수는 브라우저에서 UI를 render 하려할 때 마다 불리우는 함수이다. 최상위 render 함수는 React element들의 트리를 재귀적으로 리턴하는 함수라고 볼 수 있다. 그 후 다음 렌더 cycle에서 해당 컴포넌트의 트리는 다시 생성된다(re

React Fiber 얕게 알아보기
리액트 화이바....? 어디선가 계속 언급되던 React Fiber를 살펴봐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react-fiber-architecture 문서를 읽다가 이해도 잘 안되고 금방 까먹을 것 같아 일단 대충 번역했고, 이외에 다른 문서 등에서 살을 붙였다.
React 재조정(Reconciliation)
하나의 트리를 가지고 다른 트리로 변환하기 위한 최소한의 연산 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의 복잡도는 O(n^3) 를 갖는다.리액트에 이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1000개의 엘리먼트를 그리기 위해 1000^3 = 10억번의 비교 연산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리액트는 O(n) 복

리액트, 커튼 뒤에서 과연 무슨일이??
color palette - navbar를 만들던 도중, 컴포넌트에 있는 state가 유지 되지 않는 걸 발견했다.도대체 뭐가 문제여...???구글링 하던 도중 리액트가 dom을 어떤식으로 출력하는지 까지 딥하게 알아보았다.리액트 동작원리를 제대로 알아두면 좋겠다 싶어

React에서 key의 역할, 컴포넌트를 다시그리는 과정(reconciliation)
리액트에서 리스트 형태로 컴포넌트를 렌더링 할때, key값을 넣어 달라는 console 에러가 자주 뜬다. 이 key값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리액트 공식 문서에서 설명을 해주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컴포넌트를 어떻게 다시 그려주는지 모르고 있어서 이를 알기 위해서 작성

[TIL] Reconciliation (재조정)
https://ko.reactjs.org/docs/reconciliation.htmlReact 만의 diff 알고리즘을 활용한 비교 후 rendering까지의 과정리액트를 활용하여 개발을 할 때 "리액트는 SPA이고 변경 되는 컴포넌트만 변경이 된다" 정도만

리액트의 조화(Reconciliation) 과정 정리
현업에서 리액트를 사용하면서 그 렌더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React Rendering
리엑트가 프레임워크 뒤에서 렌더링 될 때 진행되는 과정은 뭘까? 박스안에 든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리엑트의 랜더링 과정, 재조정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