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ryeongk

REST API? 난 GraphQL!
🥴 "그래프큐엘.. 너 혹시.... 뭐 돼..?" 그래프큐엘, 뭐하는 친구인지 알아봅시다! 본 게시물에서는 그래프큐엘의 개념과 타입시스템을 예시와 함께 설명합니다.

[기획&개발] 아동 장난감 색감 분석하기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동 장난감 회사 Toys“R”Us의 2018년 당시 홈페이지에는 장난감을 여아용/남아용으로 구분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장난감의 색상도 성별에 따라 하나의 색상으로 맞춰진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React] react-router-dom v6 업그레이드 되면서 달라진 것들
react-router-dom이 v6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 v5와 다른 점이 몇 가지 있으니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안그럼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을지도....
[HTML/CSS]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간과하고 있던 것들 2
1. position 내가 만든 영역을 2차원 평면의 공간으로 할지, 3차원 공간의 영역으로 할지를 결정짓는 요소입니다. 1-1. 2차원과 3차원의 차이 ||2차원|3차원| |:---:|:---:|:---:| |부모 자식 지간에 발생하는 마진 병합 현상|O|X| |top, left, right, bottom|X|O| |자식의 높이값이 부모의 높이값에 ...
[AWS] 아마존 가상 서버에서 Jupyter Notebook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에본 게시물은 2018년, 처음 AWS를 공부하며 다른 블로그에 남겨두었던 내용을 재업로드하는 것입니다.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혹시 달라졌을지 모를 최신 버전을 함께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CSS] 다 안다고 생각했지만 간과하고 있던 사실들
지금까지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CSS의 기본을 간과하고 있었던 것같아 몇 가지를 정리해봅니다.

[기획] 연락을 이어가는 가장 쉬운 방법, Cherish를 소개합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 사회에서 현생에 지쳐 소중한 인연에 소홀해진 것은 아닌지, 나의 관계를 되돌아보는 서비스, Cherish를 소개합니다.

[기획] 의류 공유 서비스, dibker를 소개합니다. - 1차 와이어프레임
dibs는 의류 공유 서비스입니다. 기존의 의류 대여/공유 서비스의 문제점은 줄이고, 대여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간소화하고, 잡지처럼 사람들이 이미지를 쉽게 소비할 수 있으면서, 상생의 의미를 더한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기획] 의류 공유 서비스, dibker를 소개합니다. - 기획안
기존의 의류 대여/공유 서비스의 문제점은 줄이고, 대여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간소화하고, 잡지처럼 사람들이 이미지를 쉽게 소비할 수 있으면서, 상생의 의미를 더한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dibs 기획 단계에서 조사한 내용과 확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했습니다.

[상권분석] 소상공인 홈페이지에서 역전할머니맥주 서울 중앙대점 상권 분석하기
소상공인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해 "역전할머니맥주 서울 중앙대점"이 위치한 흑석동의 상권을 분석합니다. 고등학교 동창이 모교 앞 지점의 매니저를 맡게 되었고, 같은 시기 해당 점포의 상권조사 과제를 받아 이렇게 블로그 글까지 작성합니다.

[기획] SOPT를 위한 휴식 레퍼런스 FISHING
본 게시글은 아카이브를 위한 것으로,서비스 웹페이지 구동영상과 발표 영상, 발표 자료는노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솝커톤(SOPTKATHON)이란, IT 벤처 창업 동아리 SOPT에서 진행하는 무박 2일 서비스 개발 해커톤을 말합니다.

[개발] 슬랙봇으로 연락 관리 서비스(Cherish)의 MVP 만들기
본 게시물은 프로그램 작성 전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MVP를 제안하기 위함입니다.(MVP : Minimum Viable Product)

[기획] 오프라인 매장 활성화를 위한 MVP 제안서
본 게시물은 프로그램 작성 전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MVP를 제안하기 위함입니다.(MVP : Minimum Viable Product)프로그램 작성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기획&개발] 서울시 인기 카페 색감 분석하기
팀원 : 5명 주요역할 : PM, 기술리딩, 클러스터링, 데이터정제, 웹페이지 구현 사용기술 : 데이터정제(Python), 클러스터링(Kmeans), 웹페이지구현(HTML & JavaScript) 프로젝트 기간 : 2018.08.01 ~ 2018.08.31

[JavaScript] convention 정리하기
제대로 개발을 공부함에 있어서 해당 언어의 스타일 가이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각 언어가 가지는 특징을 파악할 수도 있고, 추후 다른 개발자들과의 협업에서도 가독성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JavaScript] 기초잡기
혼자서 뚱땅뚱땅 공부했던 JavaScript를 보다 깊이 있게 공부해보기 위한 포스팅 시리즈, 첫 번째입니다. 대학생 IT 벤처 창업 동아리 SOPT 28기 WEB PART의 2주차 세미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제공해주신 권소희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