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se

SSE(Server-Sent Events)
HTTP에서는 데이터를 가져올 때 기본적으로 Request-Response 중심으로 진행됨.서버에서 변경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기존 방법은?Pooling: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요청.Long pooling: pooling의 변형. 서버는 새 데이터

[Spring + SSE] Server-Sent Events를 이용한 실시간 알림
코드리뷰 매칭 플랫폼 개발 중 알림 기능이 필요했다. 리뷰어 입장에서는 새로운 리뷰 요청이 생겼을 때 모든 리뷰가 끝나고 리뷰이의 피드백이 도착했을 때 리뷰이 입장에서는 리뷰 요청이 거절되었을 때 리뷰 요청이 수락되었을 때 리뷰어가 리뷰를 완료했을 때 공통적으로
[인사이드 머신러닝] 다중회귀모델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앞의 두 포스트1\. \[인사이드 머신러닝] 단순회귀모델: 회귀계수의 추정2\. \[인사이드 머신러닝] 단순회귀모델: 회귀선의 적합도 평가
[인사이드 머신러닝] 단순회귀모델: 회귀선의 적합도 평가
아래의 내용을 읽어보기 전에 이전 포스트(\[인사이드 머신러닝] 단순회귀모델: 회귀계수의 추정)를 먼저 보는 것이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이전 포스트에서 살펴본 방식대로 단순회귀모델에서 회귀직선을 추정한 후에는 그 결과가 얼마나 타당한지 검토하여야 한

12.01 - 캐시, 실시간 동기, 비동기 요청
이미지 같은 자원들은 한번 요청을 해서 응답이 나가면 브라우저가 캐시에 저장함. 이미지 새로고침으로 다시 요청하면 200->304로 바뀜. 이미 한번 캐싱이 됬다.\-> 서버상에서 자원이 바뀌어도 한번캐싱한거 계속 쓰려고 하는 특성이 있어서 잘 안바뀌는 때도 있음=>

웹 소켓, SSE란 무엇일까?
기존의 http, https 요청의 경우를 생각해보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되죠. 이것을 단방향 통신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HTML5에서 웹 소켓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단방향 통신이 아닌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