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vis

[기타] IaaS 서비스 활용 실습 정리
AWS EC2 인스턴스 생성 / RDS, S3 생성프로젝트와 RDS, S3연동 및 EC2 프로젝트 배포배포 자동화를 위해 Travis-ci 설정nginx를 활용하여 무중단 배포 설정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포트 설정만 적절하게 해 주었다면 sftp 툴을 사용하여 직

Travis CI 배포 자동화
이 문서는 Travis CI를 사용한 배포 자동화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CI/CD의 개념과 규칙, 그리고 Travis CI와의 연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travis.yml 파일의 구성과 각 항목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App을 Docker로 Travis CI와 AWS 배포
React와 Node.js를 이용한 간단한 Full Stack 프로그램입니다.클라이언트에 글을 입력을 하면 리액트를 통해서 노드로 전달된 이후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그 저장된 것을 화면에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그리고 컨테이너를 재시작해도 DB에 저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 0114 ~ 0116
0114 SpringBootRDS 접근 및 자동 배포 오늘은 프로젝트로 RDS에 접근하는 방법 + 24시간 배포환경을 구축한다. 8.4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로 RDS 접근하기 > RDS는 MariaDB를 사용하기 때문에 > > 1. 테이블 생성 > 2. 프로젝트

Github - Travis 연동 에러
We are unable to start your build at this time. You exceeded the number of users allowed for your plan. Please review your plan details and follow the

Docker와 CI 환경 #4
도커 이미지 생성 순서 1. Dockerfile 작성 > DockerFile 이란? Docker Image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대한 설정을 정의함. 2. Docker 클라이언트 전달 Docker 서버 전달 Image 생성

Travis CI + AWS 배포 파일 작성하기
Elastic Beanstalk 으로 배포 환경을 구성하여 travis 파일에 배포 내용을 작성하겠습니다.둘다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EC2 는 일종의 하나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것과 같습니다.Elastic Beanstalk 는 EC2와 데이터베이스 같은 것들을

Travis CI 적용
Travis CI는 깃헙에서 진행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위한 지속적인 통합서비스이다. 2011년에 설립되어 2012년에 급성장하였으며 Ruby언어만 지원하였지만 현재 대부분의 개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Travis CI를 이용하면 깃헙 레포지토리에 있는 프로젝트를

Devbie 인프라 소개 (1)
CI Tool 도입하기 팀 프로젝트를 처음 설계 했을 때 'CI툴을 사용해보는 게 좋아보여요!'라는 말로 젠킨스와 Travis CI를 고민했다. 본인은 젠킨스를 쓰자는 쪽에 속했다. 하지만 Travis CI, 젠킨스를 둘다 사용해보지 않았으므로 확실한 근거가 없었다.

Travis CI 배포 자동화
코드 버전 관리를 하는 VCS 시스템(Git Svn등)에 PUSH가 되면 자동으로 테스트와 빌드가 수행되어 안정적인 배포 파일을 만드는 과정여기서 중요한 것은 테스팅 자동화입니다. 지속적으로 통합하기 위해선는 프로젝트가 완전한 상태임을 보장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가 구현

travis CI로 Serverless 애플리케이션 + Cloudformation Stack의 CI & CD 구축하기
이번 글에서는 앞서 만들었던 AWS lambda의 함수 코드와 이를 배포하는 인프라를 정의한 Cloudformation의 stack에 대한 CI & 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처음 구상했던 대략적인 파이프라인은 아래와 같다.CI 작업을 위해 작성한 .t

AWS Cloudformation을 이용해 Serverless 애플리케이션의 인프라 구축하기
IaC를 이용해 Serverless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구축하기

Travis CI를 이용해 Maven + SpringBoot에 CI 적용하기
CI CI란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로, 각각의 개발자의 개발소스를 한번에 통합 빌드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따로 어느시점에 코드를 모아서 통합빌드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배포를 위한 빌드와 테스트 단계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CI Server 빌드 프로세스를 관리해주는 서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