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agrant

41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2.3 실습 환경 구축하기

가상 머신 추가로 구성하기 vagrantfile #-- mode: ruby -- #vi: set ft=ruby :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define "m-k8s" do |cfg| cfg.vm.box = "sysnet4admin/CentOS-k8s" cfg.vm.provider "virtualbox" do |vb| vb.name = "m-k8s(github_SysNet4Admin)" vb.cpus = 2 vb.memory = 2048 vb.customize ["modifyvm", :id, "--group

2023년 8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2 베어그런트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

가상 머신에 필요한 설정 자동으로 구성하기 vagrantfile을 작성하여 원하는 구성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합니다. 베이그런트 코드는 루비(Ruby)라는 언어로 작성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복사 붙여넣게 하여 C:\HashiCorp\Vagrantfile 을 수정합니다. #-- mode: ruby -- #vi: set ft=ruby :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define "m-k8s" do |cfg| cfg.vm.box = "sysnet4admin/CentOS-k8s" cfg.vm.provider "virtualbox" do |vb| vb.name = "m-k8s(github_Sy

2023년 8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1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이제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 환경 구성을 하겠습니다. 아래는 프로그램 별 버전 정리입니다. 프로그램의 버전이 안 맞을 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Virtual Box : 6.1.12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OldBuilds61 설치는 기본 값으로 설치하면 됩니다. vagrant : 2.2.9 https://developer.hashicorp.com/vagrant/downloads 설치 완료후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 재부팅 후 아래 테스트를 통하여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실행창에 cmd 검색 후 실행(윈도우키 + R) >cd c:\HashiCorp >vagrant init C:\HashiCorp 경로에 있는 Vagr

2023년 8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ARNING: Kubernetes configuration file is world-readable.(group-readable) This is insecure. Location: /home/XXXXX/.kube/config

vagrant로 Kubernetes를 설치하고 나서 helm repo update 등을 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메시지를 보게 된다. 헐... 왜 일까... 아래와 같이 처리하게 되면 한방에 처리되니까..꼭 진행하길 바란다.

2023년 8월 22일
·
0개의 댓글
·

Vagrant VMware windows10 포트 충돌 해결 방법

현상 vagrantfile에서 내가 설정한 port가 자꾸 출동이 나서 새로운 포트를 할당해준다고 한다. vmware vagranfile 예시 아래는 vagrant로 vmware 가상머신을 올리기위한 vagranfile 예시이다. 해결 방법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및 종료 호스트 머신에서 아래 명령어로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해봤다. 잘 살아난다.. 아무리 반복해도 죽지 않는다. VMware 종료 무슨 방법을 써도 죽지 않다가, vmware 프로그램 자체를 종료하

2023년 7월 10일
·
0개의 댓글
·

[Vagrant] Vagrantfile로 가상머신 만들기(간단)

Vagrant란? 가상화(Virtualization)는 실제 운영체제 위에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후에 소프트웨어를 통해 하드웨어(CPU, Memory, Disk, NIC 등)를 에뮬레이션한 후에 이 위에 운영체제(Guest OS)를 설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상화를 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라고 하며 종류로는 이 책에서 사용하는 VirtualBox, 그리고 VMWare, Xen 등이 있습니다. 에뮬레이션은 컴퓨터 또는 기타 여러 주변 장치의 기능을 다른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것을 의미 프로그래밍 언어: 루비 Vagrant 설치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윈도우 버전을 설치 CMD창 열기 mkdir test test파일을 만들

2023년 7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vagrant] vagrant 시작하기

vagrant - 스크립트 기반의 가상 머신 구축 솔루션 - virtual box, VMware 지원 vagrant Docs 1. install 🍻홈브루로 설치 후 버전 확인~ (하이퍼바이저는 vbox7.0 버전으로 진행) 2. command 3. test _ 🎈 vagrant box는 여기서 확인 가능_ 3-1) vagrant init ![](https://velog.velcdn.com/images/haryun_209/post/54996d2a-8b78-4d38-9

2023년 5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8s]쿠버네티스의 구조

책: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 3장 컨테이너를 다루는 표준 아키텍처, 쿠버네티스 인프런 강의 :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 쿠버네티스 환경 구성 쿠버네티스 이해하기 vagrant로 테스트 환경 설정 저자의 github에서 제공하는 Vagrantfile을 다운로드받아 vagrant up으로 마스터노드 1개, 워커노드 3개로 구성된 가상머신 테스트환경을 구축하였다. 파드 배포하기 Kubernetes — Architecture Overview (이미지 : [Kubernetes — Architecture Overview](https://medium.com/devops-mojo/kubernetes-architecture-overview-int

2023년 2월 23일
·
0개의 댓글
·

[k8s]virtualbox로 쿠버네티스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책: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 2장 테스트환경 구축하기 인프런 강의 :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 쿠버네티스 환경 구성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서버를 관리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연습하기 위해서 가상머신으로 여러 대의 노드를 구성한다. 2장에서는 virtualbox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1개의 마스터노드와 3개의 워커 노드로 구성된 테스트 환경을 준비한다. virtualbox로 테스트 환경 구성하기 환경 구성 도구 virtualbox : 가상머신을 구성할 수 있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vagrant(베이그런트) : 코드로 인프라 설정을 미리 작성해두고 실행하면 해당 설정으로 인프라를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provisioning) 툴 자주 사용하는 vagrant 명령어 vagrant init: 프로비저닝을 위한 기초 파일인 Vagrantfile 생성 vagrant init:

2023년 2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로컬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환경 구축하기

개요 최근 사내에서 빈스톡 기반에서 EKS 환경으로 대규모 서비스 전환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쿠버네티스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그렇게 인프런에서 한 쿠버네티스 강의를 신청해 수강하던 중 신세계를 맛보고 말았다! 필자는 개인 프로젝트도 사내 환경과 비슷한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이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는 도구를 발견했다. 바로 Vagrant 라는 녀석이다. Vagrant Vagrant는 가상 머신 환경을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수동으로 가상머신의 자원을 할당하고 OS 이미지를 설치하고 초기 세팅들을 설정할 필요없이, 인프라를 코드로 작성(IaC)해두면 자동으로 인프라를 프로비저닝 할 수 있다. > 프로

2023년 2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기 D+34

Review : Shell 은 멱등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되도록 Shell 은 쓰지말자 1. 실습 sample.war 파일을 배포하는 tomcat 서버를 playbook으로 작성해보기 extra_opts: [--strip-components=1] - 바로 앞 상위디렉토리를 무시한다 remote_src: true - 타겟서버의 src path에서 압축파일을 해제한다 nohup "/tomcat/apache-tomcat-10.0.27/bin/startup.sh" - 백그라운드에서도 실행 시킬 수 있다 즉, 끊기지 않는다는 소리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uijoo3233/post/8eb7ddfd-0c1e-4e

2022년 12월 19일
·
2개의 댓글
·

kakao Cloud school 2기 D+33

1. Vagrant (Docker의 VM Version) Vagrant 란 VirtualBox 등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GUI 가 아닌 CUI로 조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고, 가상환경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Vagrant는 사용할 수 없다. 커맨드 하나로 가상 구축이 완료 가상 머신의 설정이 간단 설정 정보의 공유가 가능 환경 구축의 자동화 2. 실습 Virtual Machine 생성 Core: 4 RAM : 8GB Disk : 100GB IMG File: CentOS DVD Software Selection : server with GUI ![](https://velog.velcdn.com/images/euij

2022년 1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vagrant Hyper-V 이슈 해결하기

문제 상황 Hyber-V를 제어판에서 실행해주어야 하는것 같다. 그리고 virtual box를 설치해주어야 하는것 같다. 해결 하고 컴퓨터 리부팅 위 그림과 같이 체크박스 활성화 위 그림과 같이 체크표시 활성화 하고 컴퓨터 리부팅 ![](https://velog.velcdn.com/images/repush/post/149d88ec-878

2022년 11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부터 시작하는 ANSIBLE 공부 - Vagrant 를 이용한 환경 구성

1. 구성한 Network 환경 사용한 Image > - Vagrant 에서 인스턴스 생성시 다운 받은 image 들은 위의 디렉토리에 모두 저장된다. 이는 Hyper Visor 로 KVM 을 사용하기에 libvirt 디렉토리 안에 다운 받아 진다 지금까지 구성한 Network 환경 > - 보통 forwarded_port 설정을 통해 Host 와 Guest 의 Port 를 forward 시키고, 이를 Vagrant ssh 명령어를 통해 접속하는 것은 ' 관리용 ' 으로 사용한다. 이때, SSH 연결을 하면 br0 를 거치는 것이 아니라, Host 에서 직접적으로 default Network 를 통해 인스턴스와 연결된다. 따라서 default Network 는 ' 관리용 '

2022년 9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부터 시작하는 ANSIBLE 공부 - Vagrant 를 이용한 자원 할당

1. 할당된 자원 확인 > - ansible server node 의 자원 사용량을 확인하자. xml 파일 내용을 spec.txt 로 보내서 확인하자 > - xml 파일 내용은 위와 같다 2. 할당할 자원 지정 > - 위와 같이 내용을 추가한다. libvirt 를 이용하여 안에 자원을 할당하는 resource 라는 작업을 정의한다 > - cpu 는 2, memory 는 1024 로 설정했다 > - 변경 사항을 적용하자 3. Server 추가 구성할 것 ansible-server2 생성 > - box : generic/ubuntu1804 > - cpus : 2 > - memory : 2048 Vagrantfile 작성 > - 위 내용을 Vagrantfile 에 추가해주자 > - 생성해주자 만약, 이미 생성한 인스턴스의 설정을 바꿀려면 > - 위 코드를 실행해주면 된다

2022년 9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부터 시작하는 ANSIBLE 공부 - 구성한 환경 살펴보기

1. Vagrant & KVM 구조와 Provision Deploy & Provision Deploy 는 app 을 제공하고, Provision 은 Infra ( network / storage / DB 등등 ) 을 제공한다 > > - Deploy 의 경우 도커를 예시로 들면, app 을 컨테이너로 배포한다 > - vagrant 와 유사한 것으로 heat / cloud formation / terraform 이 있으며, 이는 틀과 변수명으로 이루어진 template 과 parameters 로 구성된다 > - provision 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화를 해주는 것이다 Vagrant & KVM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

2022년 9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부터 시작하는 ANSIBLE 공부 - Vagrant & Ansible 를 이용한 환경 구축

1. Vagrant Vagrant 란 Vagrant 는 여러 대의 가상 환경을 쉽게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비저닝 도구이다 Vagrant 는 IaC ( Code 를 이용하여 Infra 를 구축하고, 사용 가능한 준비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 프로비저닝 ) 이다. 추가적으로 아주 정밀하지는 않지만 자동화도 지원한다 > - 현재 vagrant 와 kvm 간의 연결을 위한 모듈 ( terraform 과 kvm ) 은 결합도가 낮다 > - vagrant + virtual box 가 결합도가 높다 > - 실제 클라우드 환경에 IaC 를 적용할 때에는 terraform 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Vagrant 는 ruby 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 구성은 Vagrantfile 을 이용한다. 각 Project 는 디렉토리로 구분한다 > - box : 사용할 이미지 > ![](https://velog.velcdn.com/image

2022년 9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virtualbox reset adapter 오류

문제 발단 vagrant를 이용해서 k8s 사용 중 ssh 접속이 계속 멈추는 일이 발생했다. 머신 전체가 멈췄나 싶어 virtualbox를 확인하였더니 로그에 enp0s3 reset adaptor가 ssh가 멈출 때마다 발생하는 것이었다. 해결 구글링 결과 기본 설정으로 네트워크 어댑터가 Intel e1000이 쓰이는데 이걸 변경해주면 해결된다는 것이었다. 현재 가상머신을 켜둔 상태에서 캡처를 했지만 가상머신을 종료하면 저 부분을 변경할 수 있다. Intel e1000에서 반가상 네트워크 virtio-net으로 바꿔주었더니 문제가 해결되었다.

2022년 6월 23일
·
0개의 댓글
·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목표 VM 3대에 Jenkins와 ansible로 kubenetes 클러스터에 Maven Java Project 배포. 시스템 구성 >노드 구성 k8s1: 젠킨스와 Kuberspray로 다른 노드에 클러스터를 배포하기위한 노드 Jenkins, Ansible, Kubespray k8s2: Kubernestes ControlPlane과 Worker Node, Docker Image빌드 및 Dockerhub에 업로드 Ansible, Kubernetes k8s3: Kubernetes Worker Node Kubernetes Vagrant를 사용하여 Virtualbox에 Ub

2022년 6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spray로 Kubernetes설치

Vagrant |코드|의미| |:--:|:--:| config.vm.provision|프로비전중에 실행할 스크립트 <<-SHELL ... SHELL|쉘 스크립트의 시작과 끝을 알림 sed -i 's/PasswordAuthentication no/PasswordAuthentication yes/g' /etc/ssh/sshd_config| 패스워드 인증을 열어준다 이후에 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키인증을 등록할 예정이다. sed -i 's/archive.ubuntu.com/mirror.kakao.com/g' /etc/apt/sources.list|우분투는 기본값으로 영국에 있는 서버에서 업데이트 목록을 가져오기 때문에 mirror서버를 사용해서 업데이트시에 더욱 빠르게 업데이트 목록을 받아올 수 있게 된다. SSH 키 생성 및 복사 kubespray 소스 다운로드 ansible, netaddr, jinja 등 패키지 설치

2022년 5월 1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