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h

가변크기단위 / em, %, rem, vw, vh, vmin, vmax
px 같은 고정크기 단위가 아닌 주변의 font-size를 기준으로 변하는 단위가 있다!하나씩 알아보자.간혹 1em, 2em 보일 때가 있었다. 배수를 뜻하는 가변크기 단위다.⭐ 기준 : 부모의 글자크기출력(부모의 크기값 \* 자식의 em 값) = 자식이 가지게 될 크

100vh, viewport 주의점
viewport 사용하지말자?! 최근 모바일용 웹을 개발하면서 한 화면에서 스크롤이 생기지 않도록 만들 필요가 있었는데.... 너무 고생을 해서 기록을 남겨놓는다.

CSS 프로퍼티 값의 단위
px은 픽셀(화소) 단위이다. 1px은 화소 1개 크기를 의미한다.픽셀은 디바이스 해상도(resolution)에 따라 상대적인 크기를 갖는다.이와 같이 디바이스 별로 픽셀(화소)의 크기는 제각각이기 때문에 픽셀을 기준으로 하는 단위는 명확하지 않다.%는 백분률 단위의

[개발일지44일차] 모바일 네이버 카피캣
모바일 버전의 네이버 홈 화면을 카피캣 해봤다.모바일 크기에 화면구성을 맞추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html코드가 있다.(helbak참고)대부분 모바일버전 화면을 보면 모든 구성이 가운데 정렬 돼 있다.그래서 모든 구성들 배열을 맞춰주기 위해서로 묶어주는 과정 진행. 위

width값 100vw와 100%
도대체 난 그동안 뭘한거지? width값 100vw 100%의 차이점은? 어라? 나 왜 모르지?? 어떻게 모를 수 있지??? 공부한지 1년이 다 되어가는데 모른다니 부끄럽고 스스로에게 화가난다. 그러니 이참에 제대로 공부해보자! (mdn과 여러 기술블로그를 구글링하여
css vh, vw
100vh - 화면 높이 전체를 쓰겠다.100vw - 화면 너비 전체를 쓰겠다.50vh - 화면 전체의 반을 쓰겠다.50vw - 화면 너비 반을 쓰겠다.
css - 화면에 배경 이미지 꽉 차게 하려면?
왓차 화면을 긁었는데, Home에 영화카드를 띄우면 footer와 겹친다.background와 같은 위치 속성에 height: 100vh;가 있었다. 따라서 화면 크기만큼만 background가 적용되고 스크롤을 내리자마자 footer 위치인데, 억지로 영화카드를 집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