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ue2
Vue2 - SVG Raw Data (String) 으로 import 하기
과정 vue-d3-network 모듈을 사용해서 그래프를 만들려고 하는데 노드 Icon을 지정하려면 svg 파일을 불러와야했다. 이렇게 svg를 불러온 뒤 속성값에 넣어줬는데 변화가 없었다. 차이점을 찾으려고 예제 소스를 보니 아래와 같이 svg 파일을 불러오고

Vue 프로젝트 GSAP 적용하기
간단한 벤치마킹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gsap를 사용해보려고 한다.greensock animation platform별거 아닌 애니메이션이야 대충 끄적여서 눈속임은 가능하겠지만..뭔가 제대로 된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를 써보고 싶단 생각에 적용했고영어영어한 검색 결과만

Vue는 어떻게 반응성을 유지하고 있을까?
너무 멋진 개발자분들이 미래 개발자를 위해 더 좋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등을 만들어주시면서 10년전에는 보통 직접 구현한 내용들이 지금은 많이 추상화 된 것 같다.실제로 이는 나에게 코딩을 할 때, 내부 구조에 대해 소홀히 만든 것 같다.이를 해소하고자

Pinia - 컴포넌트 외부에서 사용 시 (vue2)
현재 개발 환경은 vue2+composition api 이다.router에서 pinia에 있는 store를 호출하여 값을 꺼내올 일이 생겼는데 자꾸 스토어가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는 에러가 발생했다.컴포넌트 외에서 스토어 사용 시 공홈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라고 되어있

Pinia + vue2
기존 프로젝트는 Vue2 위에서 Typescript를 적용하다보니 타입 정의가 매우 복잡했는데요. (참고로 vue3+vuex4 사용 시 더 편해졌다고 해요.)예를들어 Action 별, Mutation 별, 각 타입 지정을 위해 Enum으로 함수명을 정의해야하고 또 각

vue2와 vue3의 차이 _01. template작성법
vue2에서는 아래처럼 template구절 안에 하나의 큰 div가 모두 감싸고 있어야 했다. vue3에서는 div하나로 묶어주지 않아도 작성 가능함.그러나 v-bind=$"attrs"를 1군데 이상 적어주어야 함.

Vue2에서의 v-model
부모 페이지에서 쓰는 위는 와 동일하다. 이는 my-component 컴포넌트 내에서 props: ['value'], model: { prop: 'value', event: 'input' } 이러한 기본 설정이 생략 되어있다. :va
이름이 있는 슬롯(Named Slots)
사용하는 쪽 (page) 컴포넌트 (component) 이름이 있는 슬롯에 내용을 전달하려면 `에 v-slot` 디렉티브를 쓰고 그 속성에 앞에서 지정한 ‘name’을 넣으면 됩니다. 렌더링된 HTML